[묻고답하기 이용안내]

(2010-12-06)

제목만 수정했습니다. 제목이 '토론'과는 어울리지 않는 듯 해서요 ^^;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아래에 달아주신 댓글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모두 안전보딩하세요 ^^

==================================================================

(2010-12-05)

토론방에는 처음 글을 올리네요.


어떻게 보면, 스키장 베이스에서 하는 강습이 아닌!


슬로프에서 하는 강습 중에 가장 처음에 가르치는 것이 바로 '사이드 슬리핑' 입니다.


데크의 사이드 컷을 이용해 슬로프를 내려오는 것을 연습하는 것이지요~!


처음 가르치는 것은 내려오다가 멈추는 고, 다시 내려오다가 멈추고...

(토를 먼저 할 것이냐, 힐을 먼저 할 것이냐는...왠만하면 시야가 열려있는 힐을 먼저...혹 힐이 안되는 사람은 토를 먼저가 되겠죠~)


그 다음은 일정 속도를 유지하면서 내려가는 것


이 정도가 될 것인데요...


저는 여기에 앞으로 나란히를 해서, 시선을 손끝에 두도록 하고 자신의 자세가 망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급적 BBP 자세가 망가지지 않도록요~!!



제가 위에서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 가고 멈추고 하는 것을 보통 가르킬 때, (힐을 가르킨다고 가정하고)


보통은 자동차 엑셀을 밟고 띄는 것처럼, 밟으면 가고, 놓으면 멈추고로 가르키는 데,


저는 어차피 해야할 업다운이니, 에초에 위에 설명한 발을 쓰는 것이 아닌, 업다운으로 조절하도록 강습을 합니다.


업이면 가고, 다운이면 멈추게 되죠...


좀더 힘들게 배우게 되는 것이지만, 나중에 업다운을 하게 되었을 때, 도움이 많이 되더라구요.


이미 알고 있으니~!



그런데 과연 이게 맞는 것이냐~!는 게 제 궁금증입니다.


묻답에 올리는 것보다, 토론방에서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이렇게 토론방에 글을 올립니다.


1. 발만 까딱거려서 눈 위에서의 데크를 통한 이동을 먼저 익히는 것이 좋다.


2. 업다운 미리 알아두면 배우는 데 어려움이 있겠지만, 괜찮을 것 같다.


제 스승이랑 얘기 중에 나온 것인데, 저는 2번, 스승은 1번이라고 해서요...


왠지 수긍이 가지 않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여러분은 어떤 게 나은 것 같습니까^^

엮인글 :

Zety

2010.12.05 19:42:31
*.146.197.247

시작하시는 분들중 처음에 제대로 서는 분이 있기나 한지 궁금하군요.

보통은 바인딩 묶는 것부터 시작해서 스케이팅하고 리프트 타는법 가르쳐 준 뒤

균형잡는 bbp 자세 설명하고 사이드 슬리핑부터 가르쳐드립니다.

엉거주춤하게 엉덩이 빼고 시작하는 것도 힘든데 업다운이 될지 궁금하네요 ㅎ

그리고 턴 하는 것도 힘든데 업다운은 일단 턴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가르치는 것이 나을것 같다는 생각이네요.

기차나

2010.12.06 00:04:06
*.158.12.97

말씀하신 대부분의 것은 제가 글에 썼다시피, 슬로프에 오르기 전에 하는 것들이구요...

서는 것이 힘든 것은 당연합니다.

다만 서는 방법을 가르킬 때, 어떤 방법으로 가르킬 것인지에 대한 게, 제가 이번 토론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구요 ^^;;

조금 힘들진 몰라도, 나중의 단계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업다운을 가미한 데크 조절 방법으로 강습하는 것이 어떨지 궁금해서요....

발을 까딱거리는 것을 통한 데크 조절은 초급레벨에서 쓰일 일이 없기에(없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토론방에 글을 올린 것입니다. ^^;;

Ricky!

2010.12.05 19:43:12
*.195.78.108

WSF 의 경우... 토사이드를 먼저 합니다. 토사이드하고 나면 힐사이드는 그냥놔둬도 합니다.. ^^ㅎㅎ

 

일단 잡아주기가 편하며, 시선의 유도.. 그리고 자세의 교정이 쉽습니다.

 

그리고 프레스와 같이 시작하시는게 훨씬 효율적입니다. 깊은 프레스말고.. 무릎을 조금 사용하는정도는 도움이 됩니다.

기차나

2010.12.06 00:01:02
*.158.12.97

아래 댓글을 먼저 달아서;;;다른 논제로 풀면...

힐이 그나마 쉬우니 힐을 먼저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힐을 통해 눈 위에서 미끌어지는 감각이 생기면, 어려운 토가 그나마 좀 쉬워지지 않을까 싶어서요....


일단 프레스 주는 연습을 같이 시작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하신 부분은 제 의견에 동의하시는 것으로 봐도 되겠지요?^^;;


저도 가능하면 이번 겨울에 WSF 따고 싶어하니, 토를 먼저하는 것은 염두에 두겠습니다. ^^

원에이티

2010.12.06 05:52:36
*.201.235.59

위험할것같고 초보자가 어려워할것같다는 생각은 보드에 대해 어느정도 아는사람이니 그렇습니다

보드처음배우는 사람은 아직 눈에대한 그리고 역에지에 대한 두려움이 없죠 이때 토우에지부터

가르치면 강습아주 쉬워집니다  강습자 역에지 먹을까봐 두려우시면 밑에서 등한번씩만 잡아주심되요

토우끝나면 힐에지는 혼자알아서 해요 거의 한번에...

선입견 가지고 토우먼저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하지마시고 한번 가르쳐보세요

강습 완전 쉬워지실거에요^^

기차나

2010.12.06 09:26:29
*.239.99.226

아;; 뒤에서 봐주면 되는 군요;;; 이 간단한 걸 생각하지 못했을까요;;ㅋㅋ

항상 눈을 마주 봐야한다고 생각해서 'ㅡ';;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__) ㅎㅎ

NEOLOGIC

2010.12.05 22:59:06
*.70.249.245

전 초보 가르칠때 토사이드부터 가르쳐요.

넘어져도 무릎 보호대가 있어서 별로 아프지도 않고 넘어져서 다시 일어나는데도 어렵지 않거든요.

 

일단 평지에서 먼저 연습하고 올라가요.

데크를 가르쳐주는사람이 밟고 있고요. 무릎을 앞으로 토스트랩에 걸쳤다가 풀었다가 그 연습하고 (업다운)

올라가서 가르쳐 주는사람은 상단 위쪽에서 따라오면서 평지해서 했던것처럼 풀었다 걸쳤다 하라고 시키고요.

평지에서 이걸 안하고 바로 올라가 버리면 발목에 힘을줘서 세울려고 해서 발목이 무척이나 피곤합니다.

 

Zety

2010.12.05 23:18:51
*.146.197.247

토사이드부터 가르치는 것도 괜찮긴 하지만

역엣지의 위험도 상당할텐데 좀 위험하지 않을까요?

뭐 힐부터 하더라도 앞으로 넘어져서 손목 나갈 위험은 비슷하긴 하겠지만 역엣지보다야 낫지 않을까 싶은데요?

기차나

2010.12.05 23:58:32
*.158.12.97

저도 토사이드 먼저 강습했을 시에 가장 걸리는 부분이 역엣지에 대한 것인데요...

힐에서 역엣지는 앞으로 넘어지는 것이니, 그나마 덜 두려운 데..

어차피 중심을 못잡아서 넘어지는 것이야, 엉덩이도 보호대가 있으니 ^^;;


아...평지에서 먼저 연습하고 올라가는 것은 대찬성입니다~~~

몸빵

2010.12.06 00:38:48
*.112.102.185

누굴 대 놓고 가르칠 실력은 아니지만;; 주변에 보드경험자가 거의 없어서 일행이 있으면 제가 가르쳐 주는데요...

우선 평지에서 이론설명과 동작시연을 합니다. 이론을 질릴 때 까지 주입시키는데 기본자세와  시선 상체로테이션만 설명합니다.

그리고 몇 번 연습시킨 후에 슬롭에 풀어놓는데 두어번 정도만 따라 다니면서 잔소리하다가 혼자 반복연습을 시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남성분들은 bbp에서 시선처리만 알려줘도 그날 낙엽은 가뿐하게 익히는데

운동신경이 전혀 없거나 몇 몇을 제외한 여성분들은 서는 거 조차 힘들어 하던군요.

 

전 그래서 슬롭상단에서 서는 방법 알려준 다음 bbp되면 2번방식(근데 업다운은 턴 전에는 설명조차 안 해줍니다;)

겨우 일어서는 분들은 1번으로 알려줍니다.

 

근데 한 두번 타고 말게 아니라 보드를 쭈욱 타고 싶어하는 경우엔

자세 못 잡아도 무조건 bbp와 시선처리만 세뇌시킵니다. ㅎ

기차나

2010.12.06 00:51:28
*.158.12.97

한줄 정리하면, 케바케라는 말씀이신 듯 ^^;

괜찮은 접근법인 듯 합니다. 일단 재미가 우선이니까요~ 다음이 실력이구요 ㅎㅎ

강습생의 태도를 자세히 살펴볼 필요도 있겠네요~

blow-up

2010.12.06 07:34:43
*.139.244.85

미쳐 경사면에 서기도 힘든 입문자에게 업다운까지는 무리인듯 싶습니다.

사이드 슬리핑은 그나마 에지감을 스스로 느낄수 있도록 하는 첫걸음이라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팬줄럼이 후 트래버스 단계에서 충분히 다운의 느낌은 배우게 되니까요^^

필리핀유덕화

2010.12.06 10:25:12
*.218.154.154

상체를 이용한 업다운을 가르칩니다.

 

강습생중에 상체를 이동한 업다운이 안될시에 슬롭에 대한 적응력과 안전, 재미등을 고려한 발목만을 이용한 사이드 슬리핑을 활수 있게 하기도 합니다.

강습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강습을 하면 되겠네요.

 

WSF 에서는 사이드 슬리핑을 하기 전에 지상교육에서 보드위에 중심을 느낄수 있게

양발을 묶은채 전후 좌우, 앞뒤로 움직이게 합니다.

(MAKEING FLOWER 라고 양발을 묶고 점프 하면서 눈위에 꽃 모양을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강습생 스스로가 보드 위에서의 중심잡는 방법과 제어를 배워나가는 것으로

상체를 이용한 업다운 방식이 효율적이라는것을 느낄수 있게 유도하느것이 좋습니다.

 

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바로 시작하기 전에 두발로 선 상태에서 미리 연습을 하고

바인딩을 묶고 진행하는 방법이 훨씬더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

'데크의 사이드 컷을 이용해 슬로프를 내려오는 것을 연습하는 것이지요~!'

 

 

사이드 슬리핑은... 

데크의 토 사이드 엣지와. 힐 사이드 엣지를 이용해서 내려오는 것입니다.

 

츈샴이

2010.12.06 11:45:52
*.87.60.234

번외지만.. 저는 사이드 슬리핑부터 가르치지 않고, 스케이팅부터 가르칩니다.

 

평지에서 스케이팅으로 균형감을 익히고 나서 슬로프에서 사이드 슬리핑을 가르치면 더 쉽게 배우더군요

 

그리고 1번의 경우로 가르치면 발목의 피로감으로 쉽게 지쳐서

 

왠만하면 온몸의 근육을 고르게 쓸 수 있는 2번(업다운)방식으로 가르칩니다.

캥거루?!

2010.12.06 12:33:35
*.111.223.128

카시 자격증 있으신가요?! 설명이 카시랑 비슷하네요 ㅎ

 

일단 카시에서나오는 사이드 슬리핑은 토우부터 배우는게 정석입니다.

 

이유는 초보자가 힐부터 배우게 되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토우는 배우지않고 힐로만 탈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1번 이랑 2번중 어떤게 나은지 문의하셨는데.. 이것또한 카시정석은 1번입니다.

초보자는 말그대로 초보입니다. 한번에 여러가지를 받아 들이기 힘들어요. 한가지씩 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츈샴이님께서 말씀하신것 스케이팅을 먼저 배우는게 좋습니다. 

에찌는사치

2010.12.06 15:37:09
*.125.250.101

에찌를 이용한 몸의 균형이 가장 중요 하다고 봅니다.

 

다운시.. 궁뒹이 튀 나올 확율 99%~~

NACHO

2010.12.06 22:14:08
*.248.34.46

힐 , 토 사이드 슬라이딩  ... 뭘 먼저 하는지에 대해서 차이 나던가요? 슬로프 하나 내려올정도면 양쪽다 연습 끝내던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03
243633 리키님 쓰시는 헬멧 어디 제품인가요? [3] 용평~출정! 2014-11-21 1451
243632 경남 진주에서 하이원 셔틀버스 운행하나요?? [3] 여행자9092 2014-11-14 1451
243631 크로우바 렌즈 교체방법 문의 [4] 앵그리대두 2011-10-12 1451
243630 flat 캠버? 제로캠버?? [1] 박성준_1007689 2011-09-20 1451
243629 플럭스 바인딩 AS 및 부품구매 [7] 화이트초콜릿 2011-09-02 1451
243628 밀리터리 보드복 추천좀해주세요^^ [2] 보더동 2011-04-07 1451
243627 급합니다 ^^* 답변들 부탁드려요~^^* [3] Yong_Ja_a 2011-03-05 1451
» 사이드슬리핑 강습. 어디까지 알려줄것인가. [17] 기차나 2010-12-05 1451
243625 학동4거리 보드샵 투어가려는데 역삼역, 학동역 중 어디서 내려야 가깝... [5] 이마이 2010-11-14 1451
243624 RIDE DH2 타보신분 계신가요?? [16] 토니토니쵸... 2010-11-01 1451
243623 이번 스키장 시즌권 [11] 왕발렁엉 2023-09-05 1450
243622 버튼 스텝온 이온과 포톤 발볼차이? [3] 묵이홀릭 2022-02-19 1450
243621 니데커가 비인기상품인 이유가 뭔가요?? [27] 지누지누_ 2020-11-23 1450
243620 여자 스노우보드 데크 길이 질문 [7] jeyjey 2020-06-30 1450
243619 라마 의 바인딩 오른쪽 하이백이 꺽인 이유가 궁금해요 [3] 준인 2018-01-09 1450
243618 이정도면 피스 야마 난건가요? file [17] 엠삼이 2016-12-07 1450
243617 롬 앤썸 vs 오가사카FC [11] NooDle 2016-08-08 1450
243616 고글쓰는이유 [37] hhnjs 2016-03-09 1450
243615 011 플랫킹과 플랫스핀 플렉스차이 [3] sabana 2015-11-28 1450
243614 요 자켓에 어울리는 하의 색은? file [48] 사과~~ 2015-11-19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