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치과치료비용

조회 수 2277 추천 수 0 2017.01.31 19:56:15
어금니 신경치료 받아야되는데 예전에 어금니 두개가 연달아 썩고 신경치료도해서 두개 붙여서 어금니를 씌웠었거든요?
겉은 이빨색인데 안쪽은 은색으로된...

문제는 오늘 이빨통증이심해서 병원갓더니 어금니 두개중 하나가 신경치료해야된다더군요
한꺼번에 두개를해야되서 이상없는 부위값도 내야되서 비용이 두배로 든다하더군요 ㅜ
근데 둘다 치료한지 오래되서 하긴해야되는데

기존에 어금니에햇던걸로 하면 개당40만원
앞니가 라미네이트인데 같은 재질로 하면 이쁘고하니 추천하면서 60만원 부르더군요
비싸다고 갑자기 120부르니 당황스럽다햇더니 50으로 깍아준다며 110만원 부르네요 가격어떤건가요?

하루만 생각해보고 온다햇는데 여자분이 오늘 치료라도하고 정하는건 나중에해도된다고 유도?하길래
일하다갑자기온거라 일단 내일 다시 연락한다고하고 나왓는데

이근처에 하라고 권유도 잘안하고 비용도 좀 저렴한 치과가있다던데 거기로가서 진찰받아볼까 고민되네요
엑스레이 사진찍고 진료받고 11000원 냇구요
과잉진료 싫어해서 일단 하루만 약먹으면서 어디로갈까고민중인데 여기 비용 어떤편인가요?

여자직원이 권유하는거 뿌리치고 나와서 그런지 갈때 인사도안하던데 자기할일만하고.. 고민되네요
의사아저씨는 친절한거같습니다
엮인글 :

눈밭이좋아

2017.01.31 20:27:45
*.70.58.177

흠,,,
잘 모르긴 하지만 비싸게 느껴지긴 하네요.
보통은 파노라마 사진 보시면
치료해야 하는건지 기다려도 되는건지
알수도 있고, 설명도 잘 해주시는데,,
어디신지는 모르지만
저희동네(남양주)쪽은 지르코니아도
40~45정도 하는데도 있더라구요.
몆군데 알아보시면 좀 더 저렴하게 하실수 있지 않을까요?

나인티나인

2017.01.31 21:51:13
*.195.228.25

몇군데 가보고 견적내보심이...


유주파팡

2017.01.31 22:14:03
*.202.203.27

1. 라미네이트 적극 권하는 치과는 비양심적인 악독치과입니다. 방송에 여러번 나왔는데 아직도 상술에 걸려들어 고생하는분들 많죠.. 걸그룹 누구인지는 생각 안나는데 인기 빠져서 연기하려니 라미네이트때문에 발음이 안되어 포기했다는 인터뷰를 본적있네요. 재질만 라미네이트재질이니 답변이 좀 어긋난거같은데 그냥 기존에 쓰시던거 쓰셔도 무방합니다. 강성은 라미네이트가 더 강하다네요(사반더님 정보) 2. 의사가 아닌 간호조무 혹은 사무직원같은 사람이 재질과 비용을 무슨 보험팔듯 추천해주면 상술치과입니다. 심지어 견적내주는 사무실을 따로 운영하는 치과도 있더라구요. 조심해야합니다. 바가지는 당연하고 치료하지 말아야 할 부분까지 탈탈 털어먹습니다. 3. 두개를 연결했다는건 신경치료 후 포스트 등을 박고 브릿지로 연결한듯 보입니다. 그럼 두개 다 해야하는것은 맞습니다. 비용은 예전과 거의 변화가 없어서 개당 40만원 아래쪽으로 보시면 될것 같네요.(pfm) 4. 씌운이빨 안쪽은 깨기전까지 엑스레이상으론 질환판별이 어려운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신경치료를 바로 말한거보니 뭔가 미심쩍네요..여러군데 가보시고 적절한 진료 받으시는게 좋을듯합니다. 5. 브릿지 등 보형물 수명은 관리하기 나름이지만 스케일링 안받으셨으면 그것부터 한번 받아보시기를... 보험적용되서 안비쌉니다.

2017.01.31 23:32:42
*.70.52.219

중요한건 치과치료는 무조건 미루면 안댐.. 

한군데 뚫어서 정기검진 받으세요. 

사반더

2017.02.01 00:18:53
*.174.33.103

유주파팡님 잘못된 어중간하게 아는 지식을 진실인냥 다수가 보는 곳에 쓰시는건 삼가시기 바랍니다 1.라미네이트 권하는건 비양심적이다? 라미네이트는 치과보철 교과서에 실리는 정식 치료 방법이며 기존 보철(크라운)과 비교시 장단점이 있는 치료 방법으로 적응증에 따라 잘 사용하면 크라운에 대비 치아삭제량이 적으면서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연예인들 앞니 치료처럼 치아성형술이라는 이름으로 일부 상업적인 치과에서 무분별한 적용을 하고 있고 여러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일부의 문제를 가지고 라미네이트 권하면 비양심적이라고 호도하는 것은 잘못된 발언입니다 기존에 씌우던 것이 튼튼하다? -라미네이트 재질이라고 하는 것을 봐서 E.max인것으로 보이는데 E.max(이맥스)와 기존 보철방식 PFM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같은 치아색 도자기 치아라고 해도 이맥스와 PFM은 재질과 제작방식이 완전히 다른 방식의 보철물입니다 다 생략하고 압축강도 비교시 이맥스는 400MPa PFM은 아주 숙련된 기공사가 제작 시 80~100MPa 정도 나옵니다 쉽게 말해 4배정도 강하다고 보면 됩니다 강도 뿐만 아니라 까만 금속위에 도자기를 올리는 PFM 방식은 투명도와 잇몸 근처의 금속의 까맣게 비치는 부분때문에 심미성면에서 이맥스와 비교가 안됩니다 비교를 해서 그렇지 PFM이 무조건 안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4.바로 신경치료 권하는거 보니 미심쩍다? - 치아가 아픈이유는 치아내부 문제로 치수염이 왔거나 잇몸문제이거나 둘중에 하나로 치아 두개중의 하나만 신경치료를 권한걸로봐서 검사 결과 잇몸문제는 아닌걸로 배제하고 x-ray상 보철과 치아사이 틈이 관찰되거나 기구로 촉진시 치아 하나만 문제가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높겠네요 치과 의사 입장에서 환자가 하는 말, 전해 듣는 말로 다른 치과의사의 진단을 절대! 평가하지 않습니다 하물며 전문 지식 없이 공공 게시판에 이런 글을 쓰시는건 자제해 주십시오 제가 살면서 깨닳은건 싸고 좋은건 없다 입니다 물론 비싼게 제 값을 못할때도 있습니다 치과치료는 물건을 파는 상업이 아니고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하는 의료 입니다 싸게 환자를 많이 보는 병원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싼겁니다 꼼꼼하게 원칙 지켜가며 진료하는 병원은 비용을 싸게 받을 수가 없습니다 시간이 오래걸려서 환자를 많이 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무조건 비싼 병원을 가시라는 얘기는 아니고 지나치게 싼 병원은 피하는게 좋고 믿을만한 원장님을 만나서 잘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유주파팡

2017.02.01 01:01:28
*.202.203.27

치과 정말 이가갈리게 다니다보니 여기저기 다녀보고 검색해가며 얻은 정보들 알려드린것 뿐입니다.
긍정적으로 보시는 것들이 많으신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곳들이 넘쳐나는건 아셔야겠습니다.
님처럼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강성에 대한 이야기는 제가 틀린건 인정합니다. 싸고 좋은게 없다뇨. 논점이 그게 아니라 바가지에 촛점을 맞춘겁니다.

어차피 보철치료의 경우 접착제가 소실되는 시점이 보편적인 교체시점인데 강성이 좋고 나쁜것보단 큰 의미가 없다면 저렴한것으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심미적 효과를 많이봐야하는 앞니의 경우야 투자를 해야겠지만요. 전 20년째 pfm 잘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포스트를 박은 보철치료물의 경우 엑스레이로 이렇다 저렇다 판독이 제각각이기에 미심쩍다 한것입니다. 실력없는 치과의 경우 일을 크게벌리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과연 내 이빨이라도 저렇게 할까 싶을정도로요.

비싼건 비싼값 하지만 의료에서는 좀 다르게 봐야하지 않나 싶네요. 재료값보단 의사 개개인의 정확한 스킬이 더 중요하니까요. 기술도 없는데 재료값 비싼거 쓴다고 좋은게 되는건 아니죠.

제 글이 불쾌하신건 어쩔수 없는데 '어중간하게 아는 지식을 진실인양' 이란 말은 참 권위적인 느낌이라 거북하네요. 혹시 치과의사시면 이건 틀린것 같습니다 정도가 훨씬 정중해보입니다.

그리고 질문자님 글에서 느껴지는 저 치과는 상업적 느낌이 다분한건 저만 그런가 싶기도 하구요.

사반더

2017.02.01 13:07:47
*.154.172.50

치과 정말 이가갈리게 다니다보니 여기저기 다녀보고 검색해가며 얻은 정보들 알려드린것 뿐입니다.

--- 그 정보가 틀렸기 때문에 지적한 것입니다.


긍정적으로 보시는 것들이 많으신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곳들이 넘쳐나는건 아셔야겠습니다

 ---치과의사가 신뢰를 잃은 것에 대해서 인정합니다. 하지만 조용히 양심적으로 진료하는 치과 의사가 더 많은 걸 아셔야 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줄에 좋은 치과의사 만나셔서 치료 잘 받으시라고 적었습니다.


님처럼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강성에 대한 이야기는 제가 틀린건 인정합니다. 싸고 좋은게 없다뇨. 논점이 그게 아니라 바가지에 촛점을 맞춘겁니다

---싸고 좋은게 없다고 얘기한건 위에서 말했든 광고+덤핑 저가 진료로 상업적인 치과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고 그런 병원의 구조 상 과잉진료, 불법 위임진료를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피하라고 얘기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건 유주님이 쓴 글에 대해서 비판한 것이 아니고 원글 작성자님께 치과 선택시 참고 하라고 쓴 말입니다. 

어차피 보철치료의 경우 접착제가 소실되는 시점이 보편적인 교체시점인데 강성이 좋고 나쁜것보단 큰 의미가 없다면 저렴한것으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심미적 효과를 많이봐야하는 앞니의 경우야 투자를 해야겠지만요. 전 20년째 pfm 잘 쓰고 있습니다.

---강성에 대해서 얘기한 것은 유주님이 잘못된 정보를 얘기하셔서 반박하기 위해서 쓴 것입니다. 위에도 얘기 했듯이 비교해서 그렇지 PFM이 무조건 안좋은 것은 아니라고 얘기했습니다. 힘을 많이 안받는 앞니나 소구치 부위에서 잘 만든 PFM은 수십년 잘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포스트를 박은 보철치료물의 경우 엑스레이로 이렇다 저렇다 판독이 제각각이기에 미심쩍다 한것입니다. 실력없는 치과의 경우 일을 크게벌리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과연 내 이빨이라도 저렇게 할까 싶을정도로요.

---진단은 x-ray만으로 하지 않고 그외에 다른 검사들을 통해서 진단을 내리며 그 과정에 대해서 모르는 상황에서 진단이 맞고 틀리고 판단할 문제가 아닙니다. 원글 작성자님이 하는 말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를 정확하지 않은 지식으로 판단 하시길래 비판한 것입니다.

비싼건 비싼값 하지만 의료에서는 좀 다르게 봐야하지 않나 싶네요. 재료값보단 의사 개개인의 정확한 스킬이 더 중요하니까요. 기술도 없는데 재료값 비싼거 쓴다고 좋은게 되는건 아니죠.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논점이 잘못됐습니다. 비싸고 싸고 얘기는 재료에 대한 얘기가 아님을 위에서 밝혔습니다.

제 글이 불쾌하신건 어쩔수 없는데 '어중간하게 아는 지식을 진실인양' 이란 말은 참 권위적인 느낌이라 거북하네요. 혹시 치과의사시면 이건 틀린것 같습니다 정도가 훨씬 정중해보입니다.

---기분 나쁘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라미네이트라는 단어에 잘못된 지식으로 과민 반응을 보이시길래 저도 정중하게 말씀 못드린것 사과 드립니다.

그리고 질문자님 글에서 느껴지는 저 치과는 상업적 느낌이 다분한건 저만 그런가 싶기도 하구요.

---대부분의 정상적인 치과에서 치과의사는 비용에 대해서 직접 상담하지 않고 진단-치료계획 수립-설명 까지만 합니다. 그외에 재료 선택이나 비용에 관해서는 코디네이터나 실장에게 일임합니다. 환자가 선택한 재료로 최종 치료 계획이 수립되며 치료 진행 시 싼 재료를 선택한다고 치료를 대충 하지 않습니다. 다만 치료 방식이 다르고 재료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치과의사의 진단이 틀리지 않았고 잘못된 치료계획이 아니라면 딱히 상업적이라고 느껴지지 않습니다.

개인적은 소견이므로 유주님이 그렇게 느끼시는 것은 존중합니다.


유주파팡

2017.02.01 14:50:15
*.140.203.185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저도 덕분에 모르던부분까지 알게되었네요^^

ㅇ꾸러기ㅇ

2017.02.01 08:13:19
*.36.150.67

누나가 치위생사인데.. 아금니는 그냥 크라운하시는게 제일 좋은거라고..하더라구요.. 그외에는 강도도약하고 문제가많다네요

디지를향해

2017.02.01 08:50:58
*.152.95.40

저는 금으로 했는데 후회되서 두번째는 이빨색으로 했어요.
금액은 50정도 했던 것 같아요.금이나 이빨색이나 가격은 같고..
그런데 신경치료가 기술이라.. 덜하고 씌웠을경우 속에서 더 썩어들어갈 수도 있고..
노력하게 잘 하는 곳에 가셔요. 금액이야 좀 싸다해도 그리 큰차이는 없는데.. 개판으로 해서 고생하고 이 다시뜯고 해야되는 경우 종종 있대요.

디지를향해

2017.02.01 08:55:45
*.152.95.40

노력하게->노련하게

디지를향해

2017.02.01 08:54:06
*.152.95.40

아.. 다시 읽어보니.. 이미 그런 경우신 듯 하네요.. 예전에 치료받았던 씌운 이 속이 또 썩는.. ㅠ
의사 기술 좋고 잘하는 곳 가셔야 고생 안하세요 대기 많고 다소 비싸도..
저는 그런데서 해서.. 한번 씌운이는 이십년이 돼도 멀쩡해요.

3

2017.02.01 10:58:16
*.193.204.15

많은 답글 감사합니다

15년전에 했던곳은 나이드신분이 하신곳인데 그당시 제 기억으로는 신경치료를 많이 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목나무와 비교하면서 뿌리가 다 썩어서 신경을 완전 죽였다고 한걸로 기억을 하는데.. 아닌가...

이번에 방문한곳은 정밀엑스레이를 찍은후 염증이 있는부위를 찾았다면서 신경치료 얘기를 하던데...

그당시 신경치료가 제대로 안됫던걸까요??

그런데 이게 15년만에 첨 듣는 부분이라 좀 의아하기도하구요... 수명이 다 해서 그런건지 뭔지........


그리고 제가 글을 잘못적은게 있는데 라미네이트가 아니라 올세라믹이네요


아무튼 제 결론은 여기서 하면 올세라믹과 같은 재질로 하면 60->55만원.

기존에 했던 겉은 이빨색인데 안쪽은 은색으로 된것은 40만원...

명칭이 PFM? 인가보네요 이게..


제기억으로는 그당시 사기로 했다가 깨져서 브릿지로 한걸로 기억하는데...

여지껏 아무리 딱딱한걸 씹어도 아무 문제없이 지내왔던지라... 40만원짜리 하고 싶고 어금니와 송곳니 사이에 위치한

이빨이라서 외관상 크게 문제는 없을거같습니다 웃을때 잘 안보이는 위치인거같아서요


그런데 궁금한게 40만원짜리와 55만원짜리의 강도차이가 55만원짜리가 더 좋은게 맞나요??

그렇다면 다시 생각해볼 부분인거같은데.................


제기억이 맞다면 예전에 했을때 치과에서 사기로 하면 외관상 이쁜데 강도는 약하다고 했었던걸로 기억나서 PFM?으로 한거거든요...


요즘은 의학이 발달되고해서 이쁘면서 강도도 좋아진건지 아니면 예전처럼 심미성이 뛰어나면 강도는 약한건지...


병원을 다른곳을 택해야되는데 고민이네요... 약빨로 지금 크게 아프진 않은데.. 생각해둔 두군데 전화해서 예약되는곳 한군데로 가야겟네요..

3

2017.02.01 11:08:34
*.193.204.15

아 그리고 적고나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는데

지금 기존에 했던것은 PFM (겉은 치아색 안쪽은 메탈색?) 이게 40만원이라고 하였고

15년간 써본바에 의하면 매우 튼튼합니다 단점이 웃을때 자세히보면 가짜티가 나긴합니다 잇몸 경계부분에 메탈색이 좀 보임


60만원에 부른건 앞니와 같은 재질이라 하였으니 올세라믹을 말하는걸까요/....?

아니면 지르코니아?를 말하는걸까요...

검색을 통해서 알아보니 올세라믹은 심미성이 가장 우수해서 앞니에 많이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제가 알기로는 어금니쪽에 사용하기에는 깨질우려가 의심되는데....아닌가요..?


지르코니아는 올세라믹보다 한단계 아래지만 심미성이 괜찮은편이고 탄탄함은 PFM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아닌지요...

이부분이 가장 궁금하네요.....

맞다면 PFM말고 지르코니아로 할까 고심되서요.. 돈 더주더라도 몇십년을 쓸꺼니까.....

깃쫄깃쫄

2017.02.02 01:18:22
*.108.0.108

치과는 무조건 세군데 이상 가셔서 견적(?)받아 보세요

전 하루에 세군데 돌아다녔는데, 260/150/120 세가지 견적을 받아왔습니다.=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