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프리덱으로 카빙 연습하다가 이번에 오가fc 구매했는데요 프리덱 탈때는 15도0도 또는 덕으로 타왔습니다 오가는 세미헤머라 하는데 전향각으로 타야하는건가요? 대부분 헤머덱 타시는분들 보면 다들 전향각으로 타시더라고요 근데 어떤글에서보니 전향각이 무릎에 무리가 많이가고 털리면 부상 위험이 많다고 하시는데 그럼 헤머덱전향각으로 다시는분들은 다들 위험과 부상을 감수하고 타시는건가요? 무릎에 무리가지않고 위험하지 않은 적정 전향각 각도가 있을까요?
엮인글 :

큰곰너구리

2017.08.15 16:47:32
*.223.44.246

전향과 덕으로 인한 무릎에 무리와 부상의 위험에 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무릎에 위험하지 않고 무리가 안가는 적정 각도는 사람마다 뼈의 길이 몸무게 키 관절의 가동 각도 등 모든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딱 이각도가 좋아요! 라고 확답드릴수 없는 부분이 될거 같습니다. 너무 과하지 않은 각도와 스텐스 안에서 차츰차츰 찾아가시는 방법이 최선일거라고 생각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양발의 각도 합이 30도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 그리고 세미해머 나 해머라고 해서 꼭 전향으로 타실필요는 없습니다. 덕으로 타시는분들도 많습니다.

구리구인

2017.08.15 16:51:18
*.7.19.118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세미헤머나 헤머데크 자체가 라이딩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으시고, 바인딩 각도를 전향으로 했을때 좀 더 다이나믹한 라이딩을 할 수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전향으로 탄다고 무조건 무릎에 무리가 많이 간다고 하기보다는 자신의 라이딩 성향과 자신에게 맞는 각도로만 탄다면 전향각도 크게 무리없이 탈 수 있지 않나 싶네요.^^
사실 스노우보드 자체가 어찌보면 익스트림스포츠고 언제나 부상의 위험 여지는 갖고 타는 거니까..
타보시면서 자신이 편하고 무리안가는 각도를 계속 변경해보시며 찾으시면 바인딩 각에 대한 점은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돈까스와김치찌개

2017.08.15 17:33:48
*.122.246.42

우선 라이딩 방식의 차이 입니다. 세미라고 전향각 타거나 해머라고 전향각 타지 않습니다.
이런 종류의 라이딩도 있고 저런 종류의 라이딩도 있죠^ㅡ^ 무릎에 무리가 가고 안가고도 개인 자세 차이입니다~ 익스트림 스포츠에는 항상 부상 위험이 존재하지요~ 위에 너구리님과 구인님께서 잘설명 해주셨네요~

ㅇㅇ

2017.08.15 17:38:19
*.104.196.196

해머 덕으로 잘타는분들도 많고요 덕으로 타도 전혀문제없어요 본인 취향 스타일의 차이일뿐입니다

NEKSA

2017.08.15 17:45:09
*.183.137.121

라이딩시 전향각으로 사용할떄 유리한점이 좀 있어서 저는 전향으로 타여

ruddns라이딩

2017.08.15 18:37:47
*.70.59.69

개인이 편한대로 타시면 될것 같은데요..^^
덕으로 바닥 쓸고 다니시는 분들도 많고요.
장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자신의 성향을 무시하면
더 큰 사고의 위험이 도사리더군요..
참고하실 부분은 제가 헝보에서 주워들은 정보 기준으로
덕은 30도 이상의 각, 전향은 12도 이상의 각을 주면 무릎에 무리가 간다는 정도 인것으로 압니다.ㅎㅎ

아씨랑돌쇠랑

2017.08.15 21:34:07
*.59.192.9

요즘 유행하는 일본식카빙 자세인 경우 뒷발이 0이나 덕스탠스면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 같아요. 양 무릎이 전향쪽으로 모아져야 하는데 관절은 그렇게 꺽이도록 생기지 않은 탓에... 저도 두 시즌동안 15,0으로 타봤는데 골반 틀어짐이 생겼고 무릎도 좀 아파요. 운동을 했던 덕에 유연성이나 탄력은 좋은편이라 단순히 나이탓이라고 하기도 그렇고... 일본식의 특성상 뒷발도 전향으로 놓는게 몸에는 무리가 덜 갈 거 같아서 올해는 18,6 정도로 바꿔 보려고요... 안전성에 대해서는 그 각도에서 이전만큼 제어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해야겠죠...알파인 보더를 보면 뭐 굳이 생각할 이유가...스노우보드 자체가 익스트림 스포츠인데요.

전향각

2017.08.16 04:42:38
*.136.137.186

무릎에 무리가 가는 원인은 전향이라서 혹은 덕이라서가 아니라

무릎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릎을 구부릴 때 무릎의 방향이 앞꿈치 방향이어야 무릎에 무리가 적을 텐데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돌린다든지 돌린 상태로 구부리느라고

또 그 상태에서 프레스가 더해지다 보니 무릎에 무리가 가는 것이지요.

또한 무릎을 돌리면 발목도 따라서 좌/우로 꺾이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그래서 발목에도 무리가 갈 수 있는 거구요.


바인딩 각도는 페이키(테일방향 라이딩)의 비중에 따라서 결정하면 됩니다.

페이키의 비중이 큰 트릭이나 파크, 파이프에서는 덕스탠스가 유리하겠지만

페이키의 비중이 거의 없는 라이딩에서는

힐턴에서 등뒤 시야가 좁은 덕스탠스를 굳이 고집할 필요는 없겠지요.

카빙 위주의 라이딩이라면 데크가 잘 비틀어지지 않는 큰 전향이 유리할 수 있지만

슬라이딩턴의 비중이 높다면 더구나 데크도 하드하다면

데크를 비틀기에 유리한 작은 전향이 더 나을 것이구요.


한편, 전향 스탠스라고 유리한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울기를 만들고 엣지를 세웠을 때, 전향일수록 발목에 좌/우로 꺾이는 방향의 힘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프레스가 큰 라이딩에서라든가 턴이 터져서 데크가 턱턱 걸릴 때

전향각이 클수록 더 발목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극전향인 알파인이나 스키에서는 하드부츠를 사용하지요.


<요약>

무릎에 무리가 가는 것은 전향이나 덕이라서가 아니라 무릎을 모으는 자세 때문이다.

무릎을 모으는 자세는 무릎 뿐만 아니라 발목에도 무리가 갈 수 있다.

바인딩 각도는 페이키의 비중, 슬라이딩턴의 비중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전향이 과하면 발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공랑붕어

2017.08.16 09:30:43
*.223.62.147

동감합니다

인택스

2017.08.16 08:40:00
*.111.8.46

전향각이 무조건 위험하고 무릎에 무리가 가는건 아니군요 저에 맞는 스텐스 각을 찾아야 되는거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4000
175853 플럭스XV 와 XF 체감상 많이 차이 나나요? [9] ОЙ플주스 2017-08-16 1374
175852 컨택프로 바인딩 사이즈 질문 [6] 살찌고 2017-08-16 381
175851 이거 ph3 사이즈맞나요?? file [3] 구리구인 2017-08-16 662
175850 데크허리사이즈 [6] 상초보 2017-08-16 507
175849 바인딩 추천 부탁드립니다. file [3] 또딴 2017-08-16 409
175848 82kg에 157짜리 데크로 상급은 털리는게 당연한거죠? [14] 장어구이 2017-08-16 1314
175847 여자 상급데크 문의드립니다!!! :) [6] 헝그리뚠뚠이 2017-08-16 1026
175846 와인자켓에 베이지팬츠 이상할까요?? [9] 토끼놀이 2017-08-15 524
175845 데페 우드 사이즈 문의 [16] 토리밤 2017-08-15 569
175844 라이디용 장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땡갑이 2017-08-15 514
175843 11월달 일본에 보드용품 팔까요? [4] 辛라면 2017-08-15 371
175842 부츠 관련 질문이요! (팀투,라쉬드) [5] 표로롱 2017-08-15 690
175841 타자와코 스키장 [2] megaguitar 2017-08-15 670
175840 웰팍 시즌권가격 [2] 플럭스핀 2017-08-15 589
175839 옥수수 질문좀 드립니다. [6] 강냉이 2017-08-15 434
175838 퀀텀 싸이즈 추천좀 [5] 겨울아빨리... 2017-08-15 413
175837 동탄에서 곤지암리조트 갈때요... file [3] 잘알지도못... 2017-08-15 676
175836 요넥스스텝인가지고계신분!!! [11] xpfk32 2017-08-15 690
175835 Thirtytwo jp부츠와 바인딩 조합! file [7] 또딴 2017-08-15 348
» 오가사카fc 전향각 질문좀 드릴께요 [10] 인택스 2017-08-15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