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데크와 부츠는 라이딩이나 트릭시 영향을 준다는건 알고도있으며 느끼고도 있습니다.

물론 부츠보단 데크영향이 훨씬크다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근데 바인딩도 영향이 있나요? 전 가벼운 바인딩을 주로 선호하는지라... 그닥 잘모르겠더라구요..


게시판보면 라이딩시 추천바인딩 트릭시 추천바인딩 올라운드 추천바인딩이 다틀려서요;; 

전 이제까지 보드타면서 바인딩에대해선 크게 생각해본적이 없거던요...그냥 가볍고 깨지지않는 재질이면 된다라는 마인드랄까..

예를 들어 헤머덱엔 하드한 바인딩...트릭엔 소프트한바인딩??? 약간의 느낌은 있겠지만 차이가 심한가요?

정말 궁금하네요..제가 둔해서 느끼지 못한거였는지 ..


데크만큼 바인딩도 중요한지..정말궁금하네요~


엮인글 :

ㅇ꾸러기ㅇ

2017.10.19 00:04:50
*.36.150.167

하이백 차이가 가장크지않나생각해봐요 재질이나 모양새나 높이같은거요

cosmoswa

2017.10.19 00:09:35
*.125.35.85

네.중요합니다.
괴수분들은 어느걸로 하셔도 다잘타시겠지만.
라이딩용 덱에 소프트한 바인딩 올리면..
반응이 늦다고 할까요...
예를 들어 내가 다운 10을 주었는데 소프트한 바인딩은 7 다운이 되는 느낌..
반대로 하드한 바인딩으로 180 을 돌린다면 오히려 반응이 늦다고 느껴 지겠죠..

에고☆

2017.10.19 00:22:20
*.33.180.115

하이백모양이나 플렉스에 따라 자세가 약간씩 달라 지더군요^^

낙타뒷발

2017.10.19 00:24:48
*.65.206.203

영향은 주지만.3순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개인차를 굉장히 많이 탑니다

저같은 경우 다이오드랑 제네시스중에서 제네시스가 더 좋았어요

바네사

2017.10.19 00:51:34
*.213.96.176

이건 체감 하셔야 느껴지는부분일듯한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차이 납니다.


반응성이 괜히 있는게 아니고 차이가없다면 고가제품을 쓸 이유가 없죠...


부츠에서 얼마나 빨리 바인딩으로 힘을 전달하냐에 따라서 데크가 따라오는거고

중요한 순서는 몸에서 가까운 부츠,바인딩,데크 순이라 생각됩니다.

이여자가어딜

2017.10.19 01:03:07
*.7.19.86

엄청나게차이나지는않는듯요rk쓰다퀀텀 써도 하이백좀단단하구나느끼는정도 예민하분들은이게엄청큰차이일수도있겠네요 전둔해서

구리구인

2017.10.19 01:07:15
*.223.10.251

저도 바네사님 의견과 마찬가지로 부츠와 바인딩을 좋은 걸 사고 그 다음이 데크라고 생각합니다.
다 좋으면 정말 좋겠지만 자금이 한정적인 상황이라면 저라면 부츠와 바인딩에 일단 투자하고 그 다음 데크에 투자할 것 같네요ㅎㅎ
물론 데크도 중요하지만 제 말은 부츠, 바인딩은 가능하면 성능 좋은 새거, 데크는 총알이 좀 부족하다싶으면 괜찮은 중고를 사도 만족한다..이런 뜻입니다ㅎㅎ

세비~★

2017.10.19 08:21:54
*.45.7.254

저도 고민을 해봤던 부분입니다만,


하이백도 그렇지만, 반응성에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K2 포뮬라, 살로몬 치프, 버튼다이오드, 라이드엘헤페 요레 써봤는데요.


제 개인적으로는 엘헤페가 반응이 가장 빠른것 같았어요.

하지만 반응성 대비 착용감은 다이오드가 좋왔습니다.


가성비는 올라운드성향의 치프가 가장 좋왔습니다.


그래서 라운드덱에 치프를 올리고, 해머덱에는 다이오드 올려서 쓰고 있어요.

공랑붕어

2017.10.19 09:03:48
*.223.62.147

차이 많이 납니다^^

RedMonkey

2017.10.19 09:27:05
*.58.54.7

우드 데크랑 티탄들어간 데크에 같은 바인딩을 써봤을때 반응성과 받쳐주는 느낌이 매우 달랐습니다.

예를 들어 우드는 내가 생각한대로 다뤄지는 반면에 티탄은 한템포 늦게 반응이 온다던지 바인딩에 의지할 때 데크는 100을 요구하는데 바인딩은 70밖에 못받쳐주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데크 특성에 따라 바인딩을 고려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soulpapa

2017.10.19 09:56:24
*.96.183.186

전 잘은 못해도 트릭덱도 타고 라이딩덱도 타고 두루두루 타는 편입니다. 나름 느껴지는 가장 큰 차이는 하이백이 물렁하면 확실히 발이 편합니다, 하지만 반응성은 점점 안좋아 짐니다 특히 급사에서 반응이 늦다보니 필요이상의 동작과 힘으로 턴을 넘겨야 해서 오히려 체력소모가 더 커졌습니다. 반대로 하드하면 반응성이 좋아져 급사나 라이딩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주는 것으로 느껴졌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반적으로 발이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있어는 느낌이며 옳바르지 않은 자세로 라이딩을 하게되면 오히려 체력적인 소모가 더 많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respect4brotha

2017.10.19 12:00:48
*.163.255.54

포럼, 버튼말라비타, 플럭스, 유니온(팀바인딩, 컨택, 컨택프로, 커스텀모델) 등을 써 보았는데요...


위에 분들이 다양한 좋은 의견들 내어주셔서 덧붙일것 보다...


바인딩에 따라 차이 많이 납니다. 


데크도 중요하지만...(당연히) 개인적으로 데크별로 맞는 (바인딩 = 부츠:중요도) 이 조합이 매우 중요하게 느껴졌습니다.

모모랜드

2017.10.19 14:53:28
*.62.162.140

너무말랑하면 반응이 느려서 트릭할때 오히려 약간 단단한바인딩을 선호합니다
아는분은 말랑한 하이백을써서 발목에 무리없이 낮은자세로 카빙로을 하기도 합니다~
정답은 없지만 분명 차이는있습니다 :)

네이뷔

2017.10.19 15:11:07
*.24.45.127

글쎄요~ 저도 그닥ㅎㅎㅎ 물론 플럭스 예로 sf 랑 ds 는 성향상 다르더군요 

흙먹는애들

2017.10.19 16:37:44
*.39.58.172

입문 첫해 저렴한 셋트로 타다가...


다음해 인지도있는 반딩으로 갈아 탔을때... 신세계였습니다...


이후 계속 인지도 있는것만써서 이후 차이는 못느끼고있네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828
178495 판테라가 판테라sc보다 성능이 많이 떨어지나요?? [22] 엄마가보드... 2017-10-19 871
178494 오클리 라인마이너로 결정했습니다. [14] 샌드라이더 2017-10-19 898
178493 저 고글삿어요!!!!! IXNINE file [31] 촙춉히힝 2017-10-19 1436
178492 시즌중 장비관리.. [18] 선희아니곳... 2017-10-19 643
178491 카빙입문자 데페질문이요 [7] -낙엽고수- 2017-10-19 839
178490 언바인드 보드복 퀄리티 어떤가요? [22] 아무것도몰라요 2017-10-19 1036
178489 뵐클 바인딩 바인딩 사이즈 관련... [3] 고독방랑보더 2017-10-19 295
178488 저도 밑에분이랑.. 같은데 .. 인사노 사이즈265.. [9] 힘든초보보더 2017-10-19 498
178487 인사노260 플럭스xf xv S사이즈 가능한가요? [11] 쩜상!! 2017-10-19 569
178486 장비 질문 드립니다~ [15] CHERRYDRINK 2017-10-19 373
178485 1617 XV 1718 XV 선택 장애왔습니다. [34] 누렁e 2017-10-19 878
178484 써리투 포커스 보아부츠 [6] 미스터윤 2017-10-19 1547
178483 스노우보드 개인 용품 추천좀 해주세요ㅠ [33] skekfnn 2017-10-19 785
178482 데페우드 사이즈 선택장에 도와주세여 [4] 퍽j 2017-10-19 474
178481 12월초 캐나다원정 장비문의 [22] 보드윅 2017-10-19 513
178480 입문자용 역캠버 데크 추천 부탁드려요. [4] 바람사나이 2017-10-19 738
178479 에덴은 시즌락커 아직인가요? [4] rahe 2017-10-19 192
178478 초보 장비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8] 유창석 2017-10-19 314
178477 보드복(바지,자켓) 브랜드 순위가 있을까요? [38] 채니2 2017-10-19 1506
178476 이데크 이름아세요? file [19] 신야st 2017-10-19 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