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키커라고 부릅니다

-크기가 정말 다양합니다

-한국 점프대는 크지 않은 편입니다(올림픽과 월드컵을 할땐 예외입니다)

-평창 올림픽 빅에어경기 점프대는 테스트 이벤트 때보다 작았습니다
( 테스트 이벤트 당시의 점프대는 상당히 엄했습니다 부상도 좀 나왔었죠)

-점프를 뛰면 갭이라는 구간이 있고 랜딩존 구간이 있는데 갭을 넘어가면 랜딩존이 나옵니다

-점프대가 커질수록 갭에 떨어지면 부상위험이 커집니다 (속도가 모자르게 뛰면 은 상당히 위헙합니다)

-랜딩존을 너무 많이 넘어가도 부상위험이 있습니다 (속도가 너무 빨라도 문제입니다)

-한국 파크에 있는 점프대는 위험한 편입니다 랜딩존을 길게 만들어야지 안전하지만 길게 만드려면 눈이 그만큼 많이 듭니다 그래서 위험한 키커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이직 보다 빽쓰리를 할때 오히려 공중에있는 체감이 덜 느껴져서 베이직보다 빽쓰리를 돌릴때 키커가 덜 크다고 느껴집니다(아는 지인이 처음에 베이직으로 속도재고 무섭다고 두번째 런에 바로 빽쓰리를 돌렸었습니다 그 점프대 갭의 거리는 무려 25m가 넘었었습니다)

-대회에서 기술을 심사할때 뒤집어지는 기술 즉 cork 기술이 더 점수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시는분이 있는데 요즘 정스핀이 오히려 유니크 해져서 점수를 더 많이 받는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회전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cork보다 정스핀이 어려워집니다

-한국 점프대 수준은 코리아킹스가 만들어지고 난 후에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현재 한국수준은 트리플콕까지 가능합니다

-코리아킹스 브러쉬는 눈과 비교했을때 빙판을 타는 느낌입니다

-킹스 브러쉬는 타는 방법이 눈과 차이가 있기도하고 없기도 합니다

-킹스브러쉬에서 제대로 연습을 하고 눈에가서 연습할때 아무 문제 없습니다

-문제는 눈에서 오래 타던 사람들이 킹스를 갔을경우 입니다 적응하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킹스에서 아무리 잘타는 라이더라 할지라도 눈에서 타다 킹스브러쉬로 오면 다시 적응해야하는 경우가 적지않게 있습니다)

-이 밑에는 저의 노하우 팁 입니다

-점프대 베이직을 하기위해 진입할때는 완전한 베이스가 아닌 약간의 토엣지로 진입하여 뛰는게 가장 안정적 입니다

-레귤러 기준 백사이드 스핀을 돌릴때는 왼쪽으로 날라간다고 생각하고 스핀을 돌려야하며 프론트 사이드 스핀을 돌릴때는 오른쪽으로 날라간다고 생각하고 스핀을 돌려야합니다(이것들을 연습하기 위해선 먼저 진입라인에 대해 이해하셔야합니다)

-작은 점프대에서도 부상위험은 언제든지 있습니다

-점프대에 양 쪽 사이드 끝에 깃발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바람을 읽으라고 둔것입니다

-어떤 점프대든지 진입해야하는 속도를 맞춰야합니다 첫 런이라면 다른사람에게 속도가 어떻게되냐고 물어보십시오

-스위치 프론트사이드 스위치 백사이드 프론트 사이드 백사이드 중에 뭐가 제일 쉽냐면 그건 사람마다 다릅니다(전 스위치 프론트사이드가 제일 어렵습니다 그리고 백사이드랑 스위치 백사이드는 비슷비슷하고 정위치 프론트사이드가 제일 잘 맞는 느낌이 듭니다)

-어떤 라이더는 스위치 프론트사이드가 제일 쉽다는 라이더도 있습니다
(저도 느껴보고싶습니다 스위치 프론트사이드가 제일 쉽다니...)

-제대로된 지식만 가지고 있다면 다치지않고 누구나 탈수있습니다
엮인글 :

해일로

2018.10.30 20:59:29
*.178.48.197

킹스 동감ㅎㅎㅎ엣지를 안쓰는법을 첨으로 킹스서 배웠고 이제는 스핀까지 하네요ㅎㅎ눈에서도 이리 탈 생각 입니다

파라솔라파

2018.10.30 21:21:50
*.7.59.252

어려운걸 해내셨네요 ㅎㅎ

수용성

2018.10.30 21:28:14
*.120.113.46

어프로치 할때 약간의 토엣지.. 공감 갑니다. 플랫으로 내려가다 힐엣지 툭 걸려서 반 로데오 상태로 날아가 그대로 골절..ㅠㅠ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누구나 칼럼에 올려주셔도 좋을듯.

곰팅이™

2018.10.30 21:41:00
*.237.84.103

좋은 글인것 같아요...추천...

누구나 칼럼으로 가야할 글입니다..

앞으로도 좋은정보 부탁드립니다..

KUMI

2018.10.30 22:00:30
*.70.53.123

좋은 글잘봤습니다~ 개인적으로 다르게 생각하는 의견좀 적어보자면 킹스브러쉬에 너무적응하다 눈에나가면 초반에는 눈이 더 미끄럽다는 느낌이듭니다 킹스에서 엣지를 안쓰려하다보면 눈에서 엣지가 생각보다 안들어가집니다 또한 엣지라인이 거의없는 진입라인이 만들어지는 역효과가 생길수도있습니다. 빽스핀시 힐엣지. 프론트스킹시 토우엣지가 립에걸리는 상황이생길수도있습니다. 킹스에서도 최대한 눈과비슷한 느낌으로 엣지를 써주는게 좋다는 생각입니다..

파라솔라파

2018.10.30 22:48:19
*.7.59.252

저도 그랬습니다 눈이 더 미끄러진다는 나갈때 버티기 힘들다는걸 이야기하는것 같네요 제가 생각하는게 맞다면 이건 미끄러워서라기보단 눈에서의 점프대는 항상 똑같은 점프대만 타질 않아서 타이밍 맞추기가 어렵거나 눈위에서의 어색함에서 나오는 현상이라고도 볼수있습니다.(아이스빙판이 아니고서야 뽀송한 눈이라거나 녹은 눈이라면 브러쉬보다 미끄러울수 없습니다 엣지가 있기 때문이죠 애초에 킹스에서 엣지는 다 죽이고 탑니다)
그리고 역엣지가 쏠리는 현상은 일단 작성자분이 말씀하신데 맞습니다만 눈에서 역엣지 걸리지 않게 브러쉬에서 제대로된 연습방법이 있습니다 근데 이건 정말 고난도 연습입니다 아무리 잘타는 선수들도 이걸 항상 연습합니다

파라솔라파

2018.10.30 22:51:25
*.7.59.252

그리고 진짜 눈에서만 점프대를 타시던 선수분들은 또 타는방법이 킹스에서 연습하던 방법과 조금 다릅니다

KUMI

2018.10.30 23:11:56
*.137.66.237

킥을 잘타지는못하지만 코리아킹스는 4년째 타고있습니다 작성자분 회원정보란에 있는성함이 본명이신지요? 글로쓰기엔 제가 표현방식이 서툴러서요 작성자분과 동감하는부분과 약간씩 틀린부분들도 있긴하지만 큰틀은 같겠지요 킹스에서 혹시 보거든 커피한잔하며 이야기해요 커피는 제가쏘지요

파라솔라파

2018.10.31 00:28:17
*.7.59.252

가명입니다

KUMI

2018.10.30 22:16:38
*.70.53.123

그리고 테스트이벤트 당시 점프대가 엄하다고 하시는데 어떤점이 엄했다는건지요? 그점도 설명해주면 좋았을뻔했단 생각입니다 테스트 이벤트때 점프대가 인공점프대중 제일컸던 점프대였다는건 공식적사실입니다

파라솔라파

2018.10.30 22:38:16
*.7.59.252

압이 상당히 좀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기술하기전 점프대를 올라갈때 약간 어려움이 있었다고 해요 부상자도 있었구요

KUMI

2018.10.30 22:55:32
*.70.53.123

인공구조물 특성상 경사각이심한 어프로치 구간과 만나는 킥트렌지션전 셋업구간이 평지구간이 길지않은 구조여서 그렇지않았을까요? 어려운 환경에서 다들 땀흘려만든 점프대를 엄하다는 표현 한줄로 표현한글이 아쉬워서 댓글남겨봤습니다..올림픽때는 못갔지만 테스트이벤트때는 선수들 인스펙션타는모습 킥셋업구간 바로옆에서 지켜봤었습니다 외국 선수들 대부분은 제기량들 백프로는아니더라도 킥에잘적응해서 탔었습니다.. 당시 국대선수들은 인공점프대를 타본선수가 거의없는상황이어서 제 입장에서 지켜볼때는 빅에어와 슬로프스타일 하프파이프등 프리스타일 선수들에게 국가지원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실이 안타까울뿐이었습니다..

파라솔라파

2018.10.30 23:04:06
*.7.59.252

맞는 말씀입니다 확실히 엄하다는 표현 한줄로는 잘못된게 있군요 상당히 스노우보드 지식이 높으신분이시군요 리스펙합니다
그리고 국가지원에 대해서는 다른 쪽으로 생각하는게 있습니다 이건 그냥 제생각일뿐이지만요 나중에 따로 자유게시판에 글을 쓸때 댓글을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ol-보더

2018.10.30 22:23:22
*.100.173.91

점프....늘 하고싶지만 가장 하기 아려운 ㅜㅜㅋ

파라솔라파

2018.10.30 22:49:55
*.7.59.252

라이딩을 하실줄 아신다면 이미 준비는 다 되신겁니다

장실장

2018.10.30 22:39:56
*.76.219.90

아까 오전에 올리신 파이프 글도 좋았었는데, 오늘 그놈의 하이원 락커 대란으로 묻혔네요...감사합니다. 

조운c

2018.10.30 23:08:56
*.178.109.156

너무장문이네요

리틀 피플

2018.10.30 23:30:30
*.45.104.168

저번 시즌부터 파크에 들어가기 시작한 초보로서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파크 활성화를 위해서 파크 강습도 기대해 보겠습니다.

그나저나 하이원 파크 규모 축소한다는데...

그것이알고싶다

2018.10.31 11:39:37
*.220.116.130

^^ 킥 수준이 코리아킹스가 만들어지고 난 후 급격히 성장했다는건 도대체 어디서 나온 얘기 인가요??ㅎㅎㅎ

각 스키장의 파크 만드시는 분들..성함은 혹시 알고 계신지요...?? ㅎㅎㅎㅎ

꼭 같이 한번 타서 한수 가르침 받고 싶네요...

댓글 보다가 파이프 관련 된 글도 쓰셨다고 하셔서 보고 왔는데....

정말 누구신지 궁금합니다. 근데 왜 여기 가명으로 가입하셨어요?? ㅎ 

파라솔라파

2018.10.31 17:22:44
*.7.47.181

한국 킥 수준이라는 말은 트릭 기술적으로 수준이 높아졌다는 말입니다 혹시라도 잘못 이해하셨으면 죄송합니다.
가명으로 가입한 이유는 개인적인 보드노하우나 팁을 알리고싶지만 그와중에 아무도 저를 몰랐으면해서 입니다

해일로

2018.10.31 22:42:19
*.97.16.101

Backside 할때 토엣지성 베이스고 Frontside할때 힐엣지성 베이스 아닌가요? 전 이렇게 배웠어요ㅎㅎ 베이직 할때도 토 or 힐 베이직 두개 연습했구요

파라솔라파

2018.11.01 08:44:52
*.223.3.100

맞습니다 그렇게 연습하면 스핀 연습할때 아주 좋습니다 아주 좋은 연습방법이지요 하지만 베이직만 놓고 봤을때 약간의 토엣지를 밟고 베이직을 뛰어야지 가장 안정적입니다 20~30m키커를 가게되면 베이직을 할때 힐베이직으로 뛰지 않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9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