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낙엽까지만 배운 보드러라 하기에도 부끄러운 23살 한 청년입니다.


군 제대하면서 모은 적금(200정두?? 턱 없이 부족했죠)으로 스노우보드를 배우겠다는 집념이있어 이것저것 알아봤었습니다만


아무래도 스키장이라는 접근성, 비용 부터가 크게 와닿더라구요 시즌강습비, 시즌권, 보드, 옷, 학생이 자가차량도 아닌 왕복 셔틀버스


시즌방도 돈이니.. 괜히 동기들이 우스겟소리로 '그 돈으로 해외가고말지'가 수긍이 가더군요 이만 각설하고


운좋게도 이번 2학기 교양수업을 스노우보드를 배우게 되었습니다 3박4일 하이원, 소규모강의인지라 비기너턴까지만하면 


a는 거져먹게되는 꿀교양과목인거죠 전역할때와는 달리 300가까이 모았고 시즌강습비는 부모님께서 지원해주시기로 하였습니다

 


1. 시즌강습이고 거액인만큼 여러 강사분을 알아보고있지만 라이딩 성향에 따라 배우는것도 다를거같고


카시 or 일본식 라이딩(테크니컬라이딩)에 따라 첫발 내딛는법도 달라지는건가요??


2. 강습받는것만이 끝이 아니라 배운거 복습하고 눈밭에서 구른만큼 실력이 는다고 들었습니다 사람 개인기량에 따라도 다르겠지만 초보가 한시즌 기준 최소 어디까지는 목표치를 이룰수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엮인글 :

준인

2019.09.07 11:44:26
*.223.49.134

자...
먼저 자금사정 봐서 이 민 방 위 님이 조언 드립니다

강습비 아깝습니다. 현재 자금 사정에 본다면

동호회를 들어가서 자주 탈거라면 스키장 자주 가세요.

알려주실분들 많습니다.

저는 강습 자격증이 없습니다 하지만 워낙 강습 자료랑 경력이 앗어서 저 같이 알려주는것에 익숙한 분들이 많습니다.

주변의 조언만 들으세요.

남들이 이거사라 저거 사라 필요없고 장비도 해머사라
쓸때없습니다.

글에서는 배우고 싶은 욕구가 보입니다

프리 올라운드 데크에 가격과 대중성 있는 장비들로 구입하세요 처분도 쉽거니와 초보자에게 보관과 관리도 용이합니다.

시즌권은 평일도 다니거나 저녁 시간대 사람들 모일때는 참가하세요 많이 타신분들은 실제 스키장에서 타는 시간보다 사람들 보고 동호회 사람 과 같이 타기 위해 오는분들이 많습니다

형돈아형돈좀

2019.09.07 11:49:46
*.174.72.115

저도 윗분과 같은의견..

낙엽까지 할줄 아시고 소규모강의로 비기너턴까지 한다면 거기서 혼자 더 연습하세요..

기울기부터 제이턴까지..

꿈꾸는보드

2019.09.07 11:53:13
*.89.134.51

저도 위에 댓글 단분의 이야기에 동의 합니다.

지금 현재 직장인이 아닌데 시즌강습비면 돈이 어마어마한데 직장인 저한테도 부담이 많이 갑니다.

동호회를 알아봐서 기본적인거는 배우고 나중에 나는 어떠한 스타일을 추구한다고 하면 그때 되서 자기한테 맞는

강습자를 찾아서 강습 받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그런 소리 무시하세요 ㅎㅎ 저는 30살때부터 보드에 미치기 시작했는데 왜 더 일찍 못했을까 하며

늘 후회 합니다. 처음에 돈이 많이 들어가는 스포츠 이지만 님이 좋아하시는거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Mandrake

2019.09.07 12:24:30
*.213.224.45

안녕하세요 대학교 4학년 끝물이 답변 드립니다. 그나저나 23이시면 동..갑...

1. 자신의 진로를 정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라운드 트릭을 하고 싶다! 파크에 들어갈래! 혹은 전향각 라이딩을 하면서 바닥을 쓸고싶어! 같은 거요. 그 방향이 정해진다면 맞춰서 강습을 받으시면 되나, 동호회나 주변 사람들에게 원포인트 부탁드려서 배우셔도 됩니다. (헝글비공식 단톡이 있습니다. 같이가기 게시판 참고해주시면... ) 그 시기를 정하는 것이 이제 너비스턴 감 오고, 베이직 카빙 하실 때 쯤? 결국엔 다 할거지만, 그 중에서 재밌는거로 선택 하세여!

“그 돈으로 해외여행 가지” 라는 말은 저희 같은 겨울병자에겐 해당되지 않는 소리기 때문에 걍 무시하시면 되고요. 초반에 돈이 좀 많이 들지만, 저는 싼마이로 사서 돈 생길 때 마다 하나씩 바꿨습니다. 그래서 올해 해머도 중고로 사구여.

2. 제가 전향각 라이딩을 하니까 여기에 맞춰 설명 드리면, 저희 같은 대학생은 겁만 좀 없으면 한 두시즌 정도면 바닥쓸기 흉내는 냅니다. 시간이 많거든요! 물론 계속 생각하고 이미지 트레이닝하고... 용평 놀러오시면 같이 보드 탑시다!!!

눈이무서운보더

2019.09.07 12:35:30
*.228.97.214

1. 우선 기본기를 갖추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2. 본인이 추구하는 스타일을 정해야 합니다.
2-1. 자주 갈 수 있는 스키장의 시즌권을 구입합니다.
3. 스타일에 맞는 동호회나 크루를 들어갑니다.
4. 동호회 혹은 크루 내에서 최대한 어울려 기본기를 몸에 익힙니다.
5. 스타일에 맞는 장비를 구입합니다.
6. 동영상 등등을 보며 공부하고 연습합니다.

제 오지랖 같은 생각은 이렇습니다.

adfs

2019.09.07 13:16:51
*.236.193.70

멋져용

용인_병아리

2019.09.07 13:31:42
*.179.74.62

저도 1819 입문해서 낙엽만 하는 늙은 보드초보입니다.
주변에 보드타는 분들이 없어서 프로앤비기너 스노우보드 120분짜리 영상을 보면서 반복 연습만 했습니다. 여전히 더럽게 못타고 자세도 엉망이고 뒷발만 차지만... 처음에는 스케이팅도 못했습니다.
일단 슬로프 익숙해지고 어느정도 수준에 도달했다는 시점에서 클리닉 강의를 받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직장인이지만 강습 제대로 받으려고 적금 드시는 분도 있고, 강습 + 부대비용도 만만찮아서 학생분은 금수저가 아닌이상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스키처럼 레벨 취득이 보편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강습보다 재미있게 타시면서 더 높은 단계에 대한 욕구가 있을때 원포인트 강습 받으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 강습 받으시려면 연습할 시간도 충분히 확보하셔야 합니다..

조샌드

2019.09.07 13:52:46
*.138.249.64

저도 취미생활 한번 시작하면 끝을 보고싶어해서 욕심이 많습니다

작년에 보드 처음 입문해서 라이딩을 목표로 어느정도 흉내는 내는 수준으로 시즌 마무리했네요

주변에 보드 타는 지인들도 없었고 강습이라는 개념도 몰랐기에 막연히 유튜브보며 이미지 트레이닝하고

헝글보며 나름 공부도 많이 해보고 동호회 활동하면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강습이건 동호회건 장단점이 있겠지만 저는 함께 어울리면서 같이 즐기니 더 재미붙었고 역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시즌초 턴도 제대로 못할때와 비교했을때보단 많이 좋아진거같아요


ttps://www.youtube.com/channel/UCs-MGT3CCuPma5oKmPfoSCQ?view_as=subscriber 

아직 한참 멀었지만 한시즌 눈에 띄는 변화는 있었네요

날씬한곰

2019.09.07 18:30:47
*.200.53.64

와... 입문 첫시즌에 저리 타신다니.. 존경스럽습니다

데크는이쁘면삼팔광땡

2019.09.07 14:53:12
*.38.40.212

저도 이제 3년차 들어가는 초보입니다. 저는 돈이없어서 강습은 못받지만 동호회분들께 많이 배워가며 타는거 구경하며 막힐때마다 턴의 원리와 팁같은걸 들으며 한번씩 자세도봐주시며 타니까 빨리빨리 늘더군요.
자기자신의 스타일을 먼저 정하시고 자기자신이 추구하는라이딩과 같은사람을 동호회에서 찾습니다.
그리고 비시즌모임이있다하면 동갑내기가 없고 막내겠지만 무조건 참석합니다. 눈도장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렇게 눈밥 짱짱맨이신분들과 친해집니다.
그러면 강습하시는 쌤님들처럼 자격증은 없을지라도 뭐시문젠지 알려주실겁니다.
혹여나 강습을 받으신다면 최소한 베이직카빙이상 하실때 강습을 받으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진격의대인

2019.09.07 19:37:31
*.216.101.213

실력이 빨리 늘고 싶으시면, 낙엽만 하셨더라고, 강습 추천 드립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4~5년 걸려서 깨닫게 되는 걸 1시즌만에 클리어 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백지상태라 나쁜 습관을 뺄것도 없고...


방향성이 어디든...

전 강습을 추천 드립니다.


Happyy_ZOO

2019.09.11 01:35:01
*.223.45.221

"비밀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694
210888 데크추천해주세요. [3] 동탄범고래(... 2019-09-08 820
210887 장비 조합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스맘 2019-09-08 224
210886 휘팍 처음인데요 몇가지 질문좀.. [6] 묵이홀릭 2019-09-08 635
210885 휘팍 스마트시즌권 질문입니다 [4] 나여나여 2019-09-08 666
210884 시즌권 사진 넣어야되잖아요 [14] pockyjr 2019-09-08 744
210883 부츠좀 추천해주십쇼ㅜㅜ [4] 넘어지면아파용 2019-09-08 408
210882 데크 추천 해주세요~ [3] 수지 2019-09-08 462
210881 부츠 사이즈 고민 의견 부탁드려요 (7일이내 교환반품 하러가야함) file [3] 에리크샤 2019-09-08 453
210880 노빌레sbx165 어떤가요?? [23] 뀨류류 2019-09-08 442
210879 헤머데크 입문으로 타입알 [15] 핑퐁이 2019-09-08 864
210878 나이트로 빅토리아 외 다른 여성 데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ㅠㅅㅠ [7] 망망밍 2019-09-08 474
210877 세미해머 중 플렉스가 낮은건 뭐가 있을까요? [6] 수양님 2019-09-08 405
210876 오가사카랑 같이 쓸장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바인딩, 부츠 등) [6] 리규민 2019-09-08 384
210875 (K2 WWW) 중고장비구매 질문입니다. file [10] 아침놀 2019-09-07 392
210874 바인딩질문드립니다 [3] 먼준 2019-09-07 274
210873 베어스타운 어때요? [10] megun 2019-09-07 393
210872 1617 캐피타 DOA 올라운더로 입문자로 쓸만한가요? file [8] honeybae 2019-09-07 556
210871 비발디 vs 웰리힐리 [9] 루꼴라피자 2019-09-07 695
210870 라이딩 부츠 이월 트턴vs탈론vs써리투 팀투 [8] 반팔전사 2019-09-07 711
210869 1920데크 구매시기 문의입니다. [5] 달리미 2019-09-07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