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미혼이고 30살입니다.

원래 라프디로 하려고 했는데 주위에서 다들 yf사라고 하네요.

 

가격은 제가 원하는 옵션으로 둘다 견적받아보니 625만원 차이가 납니다.

주로 고속도로 주행이 많고 시내주행은 잘 안하는데요

1년에 약 3만키로 정도 타구요..

 

출력같은건 라프디가 좋을거같은데 옵션이나 차 디자인 등은 소나타가 더 끌리네요

전에 타던차가 출력이 괜찮았는데 yf나 라프디가 많이 안 답답할지 걱정이 되는데 실제 타보신분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요약: 625만원 차이를 감안하고 yf 와 라프디 중에 뭘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두차종다 계약 직전에 와있습니다..

 

엮인글 :

슈팅~☆

2010.12.18 11:39:57
*.103.83.29

와입이랑 라프디라.. 쉽사리 결정하기 힘드네요.

 

얼마나 타실지 모르겠지만.

 

저라면 라프디 ...

1

2010.12.18 11:40:10
*.37.37.7

소나타가 디자인이 좋나요 ㅋ 갠적으론 라프디가 훨난데

깡통팩

2010.12.18 11:40:20
*.218.112.140

yf는 딱 3일정도 대충 천킬로 정도밖에 못타봤는데요.. 라프디는 구경만 해봄.. 그래서 걍 와엡소감만 대충;;

 

용평갈때 와엡도 잘나가더라고요.. 160정도 무난하게 올라가던데.. 그이후로는 휘청휘청해서 안밟았네요..

 

소음이야.. 뭐 고속도로서 쌔리밟으면 디젤정도는 아니지만, 시끄러운건 마찬가지이고..

 

기름값이나 돈 걱정없으면 당연 와엡이긴 한데.... 꼭 와엡으로 가셔야하는 이유가????

 

그리고 고속도로 자주 타신다면.. 현기보단 같은 중형급인 다른회사껀 어떨런지???  

 

갠적으론 고속도로 위주라면 현기는 별루더라구용..!!

 

 

 

 

 

EcoDrive

2010.12.18 11:49:09
*.110.23.23

혼자 주행이 많고 주행거리가 많다면 라프디젤입니다. 연비 및 고속주행시 안정감은

 

라프가 더... 허나 가족을 자주 태우고 패밀리카로 운행을 한다면 당연 YF 구요

 

유류비는 라프디>YF 입니다. 600만원 차이가 난다면...

 

사람이 여럿 타는게 아니라면 당연 라프디로 가야 하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sinclair

2010.12.18 12:28:20
*.112.127.33

급 자체가 중형대 준중형 아닌가여..

중형이 좋다면 yf고 연비나 효율성을 우선시하면 라프디져

갠적으로 yf로 감다  현기차 그런거 따지는거말고..

현기차 시러하시는분이 많은데 그래도 울나라에서 젤맣은 차가 현기차에여..

그만큼 수리나 부품수급에 용이하다는거.. 택시만봐도 알수잇져

 

아케론

2010.12.18 12:37:35
*.167.119.115

고속도로 주행이 많다면 라프디 2.0 좋을듯...

연비 무시 할 수 없는데.. 차이가 제법 날껄요.. YF 하고는

out

2010.12.18 13:02:43
*.143.213.79

소나 타는 그런차로 아무리 정속주행 별 쌩x랄을 해도 연비 초안습입니다

더군다나 3만???
1년 기름값 차이를 먼저 머릿속에 .... 비교해보시죠

서울시내주행3만이면   디젤이고 뭐고 그게 그거지만

고속도로라면 이야기는 전혀 달라짐

서울이라면 100% 소나를 추천하겠음

허나.......

 

세머

2010.12.18 13:22:35
*.32.0.176

갠적으로 와엪도 디쟌이 이쁘긴 하지만

라프가 더 이뻐보이던데요  ''/

저승사자™

2010.12.18 14:07:26
*.32.42.176

YF는 질리는 디자인의 정석....

돌몽

2010.12.18 14:08:30
*.159.29.123

중형세단이랑 준중형세단이랑 비교하는것 자체가 넌센스 아닌가요?

 

쏘나타냐 라프냐를 고민하기 이전에 중형이냐 준중형이냐를 선택하시는게 나중에 후회 없을겁니다..

인터넷에서 물어보시면 라프라고 선택하는 사람이 훨씬 많을테니 객관적인 답을 구하기는 힘드실겁니다.

 

그리고 위에 연비에 대해 잘못된 시각이 있어서 한마디 남깁니다.

시내 연비는 라프가 월등히 좋고, 고속연비는 차이가 미미합니다.

 

또 고속주행 소음시도 준중형과 중형의 차이는 엄청나게 큽니다.

게다가 그 대상이 디젤과 가솔린의 비교라면 이건.. 비교할 필요도 없는 부분입니다.

소음은 라프가솔린과 비교를해도 상대가 안됩니다.

 

또 무시할 수 없는것이 실내공간과 트렁크 공간입니다. 라프의 실내공간은 준중형중에서도 가장 작은편입니다.

차체는 크지만 실내공간이 작은 이유로는 문짝같은 외부강판이 두껍ㄱ ㅔ설계되어 그렇습니다.

덕분에  안전성은 높지만 차가 무겁고 연비가 떨어지며 실내공간이 작아지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폐차시까지 차를 운행할게 아니라면 중고시세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우리나라 운전자의 특성상 차량관리가 외국에 ㅂ ㅣ해 개판입니다. 특히 디젤은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3-4년 이내에 경운기 소리가 나죠. 이후 내구성도 가솔린에 비해 떨어져서 유지보수비용도 많이 나갑니다. 이건 GM의 플래폼의 문제가 아니라 디젤로 한가닥하는 폭스바겐그룹이나 푸조의 모델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차인데 유독 우리나라에서 굴러다니는 폭스바겐 디젤차들은 상태가 안좋죠..

이 같은 인식때문에 자기차는 아무리 관리를 잘했다 하더라도 디젤차는 감가상각이 심합니다.

거기다가 메이커는 지엠대우,   상대는 현대의 베스트셀링카 쏘나타라면 감가상각에선 비교가 안됩니다.

 

또 라프디의 유일한 문제라고도 할 수 있는  피쉬테일현상이 2011년형에서 개선이 되었을지도 의문입니다.

쏘나타가 160이상에서 불안하다고 느끼는 분이시라면 라프디는 140이상만가도 불안할겁니다.

국내판매되는 소형-대형 세단 통틀어 리어그립이 가장 좋지 않은 차가 라프디입니다. (가솔린 모델은 멀쩡)

飛스Cat 

2010.12.18 14:47:49
*.86.155.40

YF 살거면 차라리 K5를 사는게...

랄라라

2010.12.18 15:01:38
*.32.21.47

라프디 공차중량 : 1475KG

YF소나타 : 1465KG

무게로 차 등급을 정하는건 아니지만 운전해보면 라프디가 더 묵직한 느낌이에요. 문짝닫을때도 아주 묵직하고 ㅎ

실내도 라프디가 더 이뻐서 저는 라프디에 한표를 던지면서도.. 사실 객관적으로 보았을때

K5정도로 사는게 가장 현명하지 않나 생각은 합니다 ㅎ

돌몽

2010.12.18 15:18:37
*.159.29.123

무게관련 참조하세요

http://market.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20213901&nid=000&sid=&type=0&nv=

 

그리고 라프에 장착된 트랜스미션은 성능은 둘쨰치고 굉장히 무겁습니다.

미션도 무거운데다가 엔진도 무거운데 리어서스펜션은 시보레-크루즈와는 다르게 원가절감이 들어가서 하급서스펜션이 장착되어있다보니 피쉬테일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같은 안전도를 기준으로 설계된 차량이어도 크기가 큰 차량이 안전합니다.

충격파가 도달하는 시간이 늘어나면 그만큼 충격에너지는 작아지게 되니까요.

 

마티즈가 아무리 별5개를 받고 1등급이니 뭐니해도.. 대형차랑 박으면 추돌하면 답이 없습니다.

즉, 아무리 안전하게 만들어도 뉴턴아저씨의 이론앞에서는 소용없다는것이죠~

EcoDrive

2010.12.18 17:33:17
*.10.148.73

라프디 2.0과 소나타 2.0 가솔린하고 고속에서 차이가 없다구요?

 

오히려 시내에서 단거리 위주 운행하면 유류비 차이가 없겠지만

 

2.0 휘발유와 디젤은 당연히 연료비 면에서 디젤이 고속으로 가면 갈수록 이익입니다.

 

물론 3-4년 지나고 관리해야 하는 부속은 디젤이 많지만 초기 구입비용이 600 차이나고

 

글쓴이님의 주요 관점은 1년에 3만 주행입니다. 그럼 보통 가족과 3만 주행할까요?

 

제가 봤을 때 장거리 출퇴근이나 영업용이신것 같은데요~

 

디젤의 장점은 1년간 주행거리가 3만이상이면 유류비용으로 추후에 들어가는

 

수리비용을 상쇄하고도 남죠~ 돌몽님은 라세티 프리미어의 단점을 위주로 나열을 하셨는데요

 

소나타의 단점 또한 상당하죠? 그리고 중고차값은 라프디도 상당히 안 떨어집니다.

 

라프는 중고차 시장에서 엄청 인기있는 품목입니다.

 

그리고 사용목적으로 차를 비교한거지 준준형 vs 중형의 타이틀로 질문은 하신게 아니라

 

보통 주행거리가 3만 이상이면 유류비용의 부담과 초기 구입비용 600 이라는 거금의 차이이기 때문에

 

라프가 장거리용으로 더 적합하다는 것이죠...

1

2010.12.18 18:53:46
*.225.11.93

라프랑 yf랑 비교가 되나요.....

 

돈은 라프 살 정도 되는데....타고 싶은 차는 yf급이니....600 정도 무리해서라도 yf 사는 게 좋을까요...라는 질문이겠죠.

김무라탁구야

2010.12.19 18:24:14
*.151.73.92

라프디 2.0 말씀하시는거 아닌가요?

 

라프디는 차가 묵직하고

와이엪은 가벼운느낌

 

저라면 라프디, 아니면 가솔린가더라도 .8

뭉치 

2010.12.20 08:30:29
*.241.147.32

저라면 라프디.~~~

닭맨

2010.12.20 09:12:14
*.120.240.247

라프G1.6 몰고 있는데요... 차 디자인은 볼매 입니다.  인터페이스가 국내차량과 살짝 달라서

 

다른사람이 라프 몰면 많이 당황하기도 하구요... 암튼 안전성 과 디자인은 보증하는데요..

 

연비는... 캐안습..   시내주행시 9키로 중후반나오구요.... 고속연비는 13~14정도 나옵니다.

 

저라면 라프디!!!  아니면 라프G1.8이요~~

해내는넘

2011.01.18 16:02:22
*.253.47.205

지금 인식을 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요.. 제발 의식의 전환이나 확대를 합시다.

와이에프 2.0 라프디젤2.0 이면 둘다 중형급.. 배기량에 따른 결과.. 차의 크기가 기준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BMW320은 병신들이 타는 차입니까? 자신이 필요한 차를 합리적인 선택에 결정을 하면 되는 것.. 중형과 중준형의 차이를 크기로만 한다면 신형아반테는

중형입니까?... 이제 현대기아 내수와 차이난 공급에 화가 나기도 하고 대우도 또한 라디 미국현지 생산과 차이가 나서 약간 그렇죠..

그러나 라디(시보레크루즈)는 유럽형과 동일한 것에 안전성과 가격대비 효율에 현기차의 준중형을 넘어 중형급의 아래트림과 충분히 경쟁이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또한 중형차의 밸런스만을 본다면 그 경쟁력은 더 커지지요.. 라디 좋은 차지만 가격대비 좋은차입니다. 2천대 중반의 차를 5천대 차량과 비교하면 결국 웃긴 것과 같이 크기가 중요한 것이 아닌 자신의 합리적 선택에

배기량과 안전성 등 자신의 기준에 따라 결정을 하세요. 저도 라디와 스포R 중에 고민 중인 사람입니다... 그렇기에 배기량 보다는 효율성에 초점을 두죠.. 너무 말이 길었습니다. 좋은 선택을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780
3375 내의 하나만 추천바랍니다ㅜㅜ [1] 보드짱~! 2010-12-18 741
3374 여동생 시계하나 사주려고 하는데요, 여성 시계좀 골라주세요, 부탁드립니다. [12] 심심이 2010-12-18 815
3373 노스페이스 히말라야 잠바 문의요.. [2] 노스 2010-12-18 2418
3372 제가 이런 글을 쓰리라고는 생각을 못했습니다................도와주세요ㅠㅠ [34] Elovs 2010-12-18 1836
3371 호텔 아이스링크 [5] 12312 2010-12-18 633
3370 헝글 지금 좀 이상하지 않나용?ㄷㄷㄷ [2] 더블유 2010-12-18 660
3369 그란투리스모5 해보신분?? [3] 그란 2010-12-18 707
3368 공무원 외벌이 하시는분 계신가요?? [14] official 2010-12-18 7618
3367 소셜 커머스 위폰~왜 계속 연결이 안되죠?~ㅠㅠ 푸리스타일 2010-12-18 616
3366 skype 헤드폰 뭐 사야대나요> 추천좀 부탁요 [1] 스카잎 2010-12-18 847
3365 취업..문의..ㅠ [8] ^^ 2010-12-18 808
3364 hotmail 이 안되네요.. 핫메일 2010-12-18 673
3363 의류 브랜드 인데요.. ㅁㅁㅁㅁ 2010-12-18 628
3362 영어 한문장만 해석 맞나 봐주세요 [1] ㄴㄴ 2010-12-18 1232
3361 +001001 번호로 전화가 왔는데요 [2] ㅇㅇ 2010-12-18 1849
3360 에덴 시즌권 양도비+재제작비?? [1] 슈팅~☆ 2010-12-18 705
3359 스키장에서 차에서 컵라면 물 끓이는 방법 뭐가 좋을까요? [6] 사담후시딘 2010-12-18 2867
» 소나타 vs 라세티 프리미어 디젤 무엇을살까요? [19] 1122 2010-12-18 2116
3357 오오~~ 소개팅!! 강남역 소개팅하기 좋은 장소 추천좀! [2] 유령보드 2010-12-18 1385
3356 내가 삐져도 먼저 연락 안하는 남친 [9] 차도남여친 2010-12-18 4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