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대한민국의 첫 파이프를 타보았고, 대한민국의 마지막 파이프도 탈 개츠비 입니다.


밑에 파이프 관련 글이 있는데.......예전 썰을풀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파이프들 중 가장 관리가 잘 된 파이프는 문희정 레인져가 관리 하셨던


비발디 파크 파이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2005~2007년)


경사도는 웰팍이나 휘팍보다는 다소 낮아서 속도가 잘 안나왔지만,


트랜지션과 버트는 월드컵 선수들이 최고의 느낌이라고 할 정도로 부드러웠습니다.


또한, 비발디 파크 파이프의 문화가 남달랐던 부분들을 열거하자면.


- 파이프를 시작하고 끝날때 모든 인원이 나라시(사이드 슬립 평탄)에 참여 하였습니다.


- 파이프 레인져분들 뿐만 아니라 저또한 하루에 몇번씩 파이프 하단에서 초급자분들을 위한 레슨을 했습니다.

 초보분들이 잘못된 방법으로 파이프를 타면 파이프 벽도 망가지고,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도

 그 망가진 벽에서 큰 부상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동호회 고수분들도 초보분들을 으쌰의쌰 끌어올려주셨습니다.

 (제가 웰팍에서 그렇게 하려고 했는데, 무시 당했었죠....ㅜ.ㅜ 그 이후로 오지랍 안부립니다.)


- 파이프 종료후 자발적으로 파이프 주위 쓰레기 줍기.

   당시 국가대표 선수인 김호준 선수도 버려진 담배꽁초를 주웠었습니다.


2005년에는 3월 마지막주 수요일 까지 파이프를 탔었습니다.


문희정 레인져님은 우리 식목일까지 탈 수 있겠다고 하셨지만, 3월말에 비발디 영업종료 했습니다.


이렇게 비발디 파크 파이프가 오래간데에는 문희정 레인져님이 팀원들과 잘 관리 해주신 것도 있지만....


비발디 파크파이프 만의 문화를 주도 하셨습니다.


대부분의 보더들이 파이프를 아끼면서 타셨고, 하프파이퍼 동호회 분들도 그렇게 타셨습니다.


파이프는 킥커의 립 처럼 갈고리삽으로 뚝딱 고칠 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모두가 파이프 벽에 데미지를 최소화 하고 완연한 트랜지션을 지키면서 타게 되면....


파이프를 두번깎을 거 한번만 깎아도 되고, 그만큼 벽의 두께는 온전히 유지가 되면서


더 오래 유지가 되고 모두에게 안전하고 보람찬 파이프 시즌을 보낼 수 있습니다.


....


...혹시 다음 시즌 파이프에서 원포인트 강습을 원하시는 분들은, 제가 파이프에 있다면...


언제든지 가능 합니다. ^^ 저를 발견하시면 주저 하지 않고 물어봐 주세요. 파이프에 맞는 세팅 방법부터


빠른 시간에 일취월장 할만한 팁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숙취로 인한 급똥만 아니라면 타는 것을 보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때 비발디 파크의 파이프 문화 유산이 웰팍과 휘팍에서도 이어져 갔으면 좋겠습니다.


스노보드의 꽃은 파이프 라는 믿음은 아직도 믿고 있는 개츠비 입니다.



엮인글 :

U하

2020.03.04 14:50:50
*.130.144.214

다음 시즌 파이프 방문일정을 올리시면 엄청 많은 인파가....

GATSBY

2020.03.04 15:07:51
*.149.242.189

^^ 선출 강사분들 보다는 못 가르치겠지만..........그래도 전 보다는 더 나아지도록 알려드릴려구요.

버트심슨

2020.03.04 14:53:44
*.37.154.204

오랜만에 들어보는 그 이름...나라시 ㅋㅋㅋ 성우에서도 했었어요 단체로 ^^

GATSBY

2020.03.04 15:08:44
*.149.242.189

맞습니다. 성우에서도 했었는데....


12년전 성우 파이프 관계자와 이메일로 엄청 싸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ㅎㅎㅎ

山賊

2020.03.04 15:02:04
*.134.203.93

성우도 파이퍼들이 자발적으로 중간중간 나라시 항상 했었죠ㅋㅋ

한창때 웰팍파이프에서도 종종 타시는것 봤었습니다ㅎㅎ다음 시즌 개츠비님 꼭 뵐수있었음 좋겠습니다.

조언도 좀 구하고요..망할 백립오버는 언제쯤에나ㅜㅜ 프런트만 되네요..반쪽짜리 파이퍼ㅋㅋㅋ



GATSBY

2020.03.04 15:11:14
*.149.242.189

휘팍의 파이프는 백사이드 월이 항상 해가 비추어 20년전이나 지금이나  파이프 자리가 바뀌어도,

백사이드 월이 먼저 망가져서 백사이드 에어는 연습하기 힘들었죠. 그래서 저도 2004년까지 반쪽짜리 파이퍼 였습니다.

주말에는 비발디,주중에는 지산 야간 파이프 타면서 양방 높이가 얼추 비슷해 졌지요.

지금은 양방 립오버도 어렵습니다. ㅎㅎㅎ

얼곧무

2020.03.04 15:07:11
*.102.0.101

"비밀글입니다."

:

GATSBY

2020.03.04 15:33:41
*.149.242.189

추천
1
비추천
0

안녕하세요?

얼로이 디오의 스토리를 들려드리겠습니다.

2016년초 디오의 첫 샘플이 두개 나왔습니다. 유일무이한 3D 코어로 제작된 햄머헤드 였는데....

하나는 플렉스 13/10 그리고, 11/10 정도로 단단한 녀석이었고

무지막지하게 빠르고 솔리드한 녀석들이었죠..

그런데, 함께 개발을 하던 라이더가 가장 좋아하던 데크가 모스 트위스터인데 그만한 플렉스(7.5 정도)로 만들면 누구나 타기 쉬운 디오가 될것이라고 했었습니다.

     그리고, 16/17 디오 크로닉 부스터 버젼(플렉스 8.5 정도)과 강화 알류미늄 버젼(플렉스 8정도)으로 출시 되었습니다. 가볍고 경쾌하고 컨트롤이 쉽지만 허리와 테일이 다소 말랑해서 급사에서 타기에는 무리라고 이야기를 들었고, 17/18 부터

급사팬들을 위해서 점점 더 강해 집니다. 플렉스 9, 18/19에는 플렉스 10, 19/20에는 플렉스 11정도로 말이죠.

   

    개발자로서 디오 특유의 노우즈의 직진성 외 구심점의 회전성을 강조한  트라이 프로그레시브 사이드 컷과,

유럽 햄머들 보다 다소 긴 노우즈 락커/플랫 길이등 본연 설계의 물리적 성질을 무시하고 더 단단하게 만든다면.....

디오의 가장 큰 장점인 경쾌한 카빙과 빠른 엣지체인지가 뭍혀버릴 수  있다고 판단 했습니다..


그래서....하드한 디오는 19/20까지가 마지막이고, 풀카본 탑시트를 제외하여 강성과 비싼 가격을 낮추었고,

 플렉스도 16/17과 17/18 그 사이로 만들어서 다시 업다운을 동반한 카빙을 마스터한 스노보더라면 누구나

즐겁게 다룰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습니다. (바인딩 인서트홀 바깥쪽 10cm 정도는 그래도 단단합니다.^^)


참고로 16/17 디오는 키 160에 몸무게 48키로의 꽃보더도 편안히 카빙이 가능했었습니다.


디오 뿐만 아니라.......새로운 햄머헤드도 기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미친스키

2020.03.04 15:07:24
*.197.178.3

문레인저님이 윗면? 걸어다니면서 버트 패인데를 삽으로 메꾸는 걸 본 기억이 있네요...

파크쪽도  하셨었던걸로 기억하네요

GATSBY

2020.03.04 15:35:36
*.149.242.189

문 레인져님이 버트가 너무 많이 패이면......그 부분을 각변이 1미터 정도로 정사각형 모양으로 잘라서 파버리고,

 다른 정사각형 눈을 만들어서 넣는 작업을 도운적이 있습니다. ^^ 정말 멋진 파이프를 만드셨었죠.

최첨단삽자루™

2020.03.04 15:11:52
*.112.8.34

스노우보드의 끝은 파이프라는 말 땜에 파이프에 몇년째 질척되고 잇는 중입니다. ㅋㅋㅋ

GATSBY

2020.03.04 15:36:33
*.149.242.189

스노보드의 꽃이 파이프는 맞지만....스노보드의 끝은 아무도 모릅니다.


25년 이상 탄 저도 스노보드의 1000가지의 즐거움중 200가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파이프 너무 잼있죠.

최첨단삽자루™

2020.03.04 15:55:44
*.112.8.34

아.. 끝이 아니라 꽃인데.. 제가 꽃이 생각이 나지 않았나 봅니다. ㅎㅎ

GATSBY

2020.03.04 16:00:06
*.149.242.189

휘팍에서 타시나 봅니다. 꽃보더들이 잊혀진 도시이니까요......

소이망

2020.03.04 15:20:29
*.252.90.110

파이크가 있어야 타는대 ㅠㅠ


담시즌엔 웰팍으로 가봐야겠어요 


비발디엔 파이프의 흔적만 ;; 

GATSBY

2020.03.04 15:37:04
*.149.242.189

웰팍에는 꽃보더들도 많죠~~~~

무차

2020.03.04 15:21:39
*.201.171.111

트렌지션 정설 ㅋㅋㅋㅋㅋ
웰팍에서도 하시더라구요 ㅎㅅㅎㅋ

GATSBY

2020.03.04 15:37:53
*.149.242.189

오....웰팍은 호이다이 류 프로가 멋지게 이끌어주고 있군요.

youngie

2020.03.04 15:24:49
*.38.33.23

그냥 보는 것만으로 파이프는 꼭 있어야한다 생각합니다.

보드의 낭만이죠

GATSBY

2020.03.04 15:38:22
*.149.242.189

낭만이자....꽃..........사실 시즌말에는 눈 자체가 꽃이긴 합니다만...

AK47

2020.03.04 15:41:31
*.36.132.223

그립네요
누구나 들이댈 수 있었던 파이프
사람 참 많았는데...

GATSBY

2020.03.04 15:48:06
*.149.242.189

들이데면 강습해줄 분들이 많았었죠.^^

clous

2020.03.04 15:47:12
*.210.255.32

이번 토요일에 휘팍 파이프에서
트리플콕 한 번 뛸려고 그랬는데
뱅크드 슬라럼이 생기는바람에...
아쉽네요. ㅡ. ㅡㅋㅋㅋㅋㅋ

GATSBY

2020.03.04 15:48:30
*.149.242.189

와....대단 하십니다. 제가 지난주에 알려드린거 마스터 하셨네요?

clous

2020.03.04 15:50:22
*.210.255.32

다음번엔 대기줄에서 드랍인 할 때
손 드는 법 좀 알려주세요~ ♥

GATSBY

2020.03.04 16:05:54
*.149.242.189

1. 대기줄 순번은 좌측에서 우측 입니다. 

2. 왼쪽 분이 내려가고 벽을 3번을 탔을때, 좌우에 껴드는 사람이 있나 없나 확인을 하고

   드롭인을 외쳐 줍니다.

3. 드롭인 할때 롭이 R 발음입니다. 듀뢉인~~~으로 발음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원정 다녀온 로컬 라이더로서 자랑을 하고 싶다면....Dropping in~! 듀뢉핑 인. 이라고 외쳐주시면

   좀더 간지 납니다.

4. 웰팍에서 도레미 에서 미 정도의 저음으로 외쳐주시면 꽃보더들이 처다봅니다.

5. 휘팍에서는 도레미에서 솔 정도의 두성 고음으로 외쳐주시면 꽃보더인줄 알고 쳐다봅니다. 

자이언트뉴비

2020.03.04 15:55:17
*.122.242.65

케돼지도 파이프 탈 수 있나용......?

GATSBY

2020.03.04 16:01:05
*.149.242.189

물론 입니다. 아는 프로님을 비유 하고 싶지만 그분이 저보다 나이가 많아서 ㅎㅎㅎㅎ

숫자 이삼............

고도리삼팔광땡

2020.03.04 16:54:58
*.38.28.20

혹시 232프로님? ㅎㅎ

GATSBY

2020.03.04 17:20:50
*.149.242.189

....................................................................노 코멘트 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무서운 형님이라 ㅋㅋㅋㅋㅋㅋㅋ

부자가될꺼야

2020.03.04 18:16:26
*.214.194.45

다른파이프에 비해 한산한 인원이 제일좋았던거 같아요

그래서 닫았겠지만요;;;

GATSBY

2020.03.04 18:33:00
*.149.242.189

티바를 탈 수 있는 스킬이 기본이었죠.

제이11

2020.03.04 20:55:18
*.38.17.34

안녕하세요 글잘봤습니다!
올해 처음 보드 입문하여 파이프도 몇번타본 초보 보더입니다.. 월턴은 어느정도 하겠는데 그 이후 립오버나 에어턴은 도대체 어떻게하는지 이론부터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속도만 더 빠르게하면 되는지, 립에서 점프만해주면되는지.. 아무리 시선.어깨를 립에 맞추었다해도 점프를 하면 위가아닌 옆으로 뛰어져서 버텀으로 떨어질것만 같은 두려움도 있는데 팁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아 그리고 어떻게 타면 파이프가 망가지고
어떻게 타야지 파이프에 손상이 안가는지도 궁금하네요.. 파이프가 더 많이 더 오래 열기를 바라고바랍니다..

GATSBY

2020.03.05 10:24:30
*.149.242.189

안녕하세요?

음 몇가지 내용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 파이프는 높고 긴 그네를 서서 탄다는 느낌으로 타셔야 합니다. 버트를 올라갈 수록 몸이 파이프 벽과 수직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파이프 벽 각도가 82~83도 정도 입니다. 어지간해서 버텀으로 안떨어 집니다.

- 파이프 벽을 망가지게 타는 것은..........파이프 안으로 들어가보니 생각보다 높은 벽이 막 달려오죠.

  트랜지션을 지날 즈음 겁을 먹어서 엣지를 먹여서 턴을 하는 것이 대부분 입니다. 이때 트랜지션과 버트 사이가

  확 갈려버리는데  고수분들은 파이프 탈때 이부분에서 걸려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속도를 천천히라도 좋으니까 몸을 파이프 벽과 바닥과 수직을 맞춰 주면서 쭈욱 올라가 주고 내려와 줘야 합니다.


- 가장 중요한 팁은 버텀에서는 자세를 낮추고 트랜지션을 올라가면서 턴을 하면서 업을 해줘야 하는데,

  몸을 파이프 벽과 직각으로 맞춰줘야 합니다.

t-rex2

2020.03.04 21:31:23
*.72.142.129

스노보드의 꽃은 파우더보딩이 아닌가 싶네요
꽃이라기보다 마지막 종착지 같은...
슈퍼파이프나 어마어마한 규모의 파크에서 스노보드의 한계점이 어디인지 모를 정도의 기술들이 매번 나올때 그 루키들이 동경하며 보고 배웠던 전세대 라이더 들은 조용히 은퇴후 대자연 속에서 파우더 보딩을 즐기며 사는 경우가 많던데 결국 지금의 그 루키 들도 언젠가 은퇴후 후배를 양성하며
눈덮힌 직벽이나 딥파우더를 찿아다니며 스노보드의 끈을 끝까지 이어가겠죠

GATSBY

2020.03.05 10:26:42
*.149.242.189

파우더 보딩이 스노보딩의 종착 여정이지요.

트래비스 라이스도 그렇고, 테리예 하큰슨도 그렇고.......당대 유명한 프리스타일 라이더들이

알라스카로 갑니다. 얼티메이트 파우더 라고 하죠.


그리고, 제생각은 스노보드는 아직 끝이 안보입니다. 계속 멋지고 신선한 것들이 나오기 때문이죠.

Mlll

2020.03.04 22:13:24
*.63.100.64

비발디 파이프는 3월달까지도 관리가 참 잘되어 있었는데 .

대회도 항상 열어주고,

요즘은 2월하순만되어도 방치 수준이라 오픈도 늦어지는데 말이죠.

비발디 파이프를 타면서 파이프 구멍이나 이런거 별로 없었는데

없어진게 정말 아쉬워요

GATSBY

2020.03.05 10:27:09
*.149.242.189

맞습니다. 차라리 조명 좋은데 저녁에 열어주는게 더 나을지 싶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946
196966 18년만에 용평 가려 합니다. [14] GATSBY 2020-03-06   1104
196965 아직도 고민중..늦은건가요?ㅋ [13] 나는유~ 2020-03-06   860
196964 연말정산 [9] ARENA~ 2020-03-06 1 729
196963 17년만에 찾은 지산리조트 file [10] 山賊(산적) 2020-03-06 1 1256
196962 용평가는길.. file [7] 루비스타 2020-03-06 3 838
196961 지금 인천에서 출발합니다! [2] 민택이 2020-03-06   562
196960 3월6일 출석부 [52] 히야시스 2020-03-06 7 224
196959 이번 시즌 마무 으리!! [8] 히야시스 2020-03-06 10 452
196958 전향 고각분들 블랙탑 더비 소소한팁 [3] MysticDream 2020-03-05 5 1232
196957 셀카로 자기 영상 찍는 법은 없을까요??ㅠㅋㅋ [10] 노광현 2020-03-05   763
196956 아로님 비밀을 편집하다알았음 [13] 보드타는아카 2020-03-05 7 1264
196955 07~09쯤 지산 귀여웠던 아이 [3] JoseCarlos 2020-03-05   960
196954 마지막영상 저장중 입니다ㅠㅠ file [36] 보드타는아카 2020-03-05 13 1202
196953 라이언 형님 슈퍼 와이드 데크 file [15] 아오이스 2020-03-05 1 1572
196952 용평 영상 촬영 나눔 [마감] [60] 닭죽대왕 2020-03-05 29 966
196951 일본. 한국발 입국자 2주간 격리. file [18] Hate 2020-03-05 2 1222
196950 단벌신사의 유래 [20] 소프트탑 2020-03-05 7 919
196949 곤좜 보린이 지산왔어여.. [3] 한현호 2020-03-05 3 697
196948 고정 관념을 버리니 라이딩이 좋네요 file [9] 레몽레인 2020-03-05 4 1316
196947 지지난주 휘팍 감자밭이였는데, 지금 슬로프 상태 괜찮은가요? [2] 십세진 2020-03-05   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