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 허리 waist 가 자신 부츠에 비해 좀 넓은 것과   반대로 부츠가 좀  삐져나올 정도 좁은  보드 중 하는 수 없이 하나를 골라타야하는 선택의 기로에 선다면 당신의 초이스는?

  

  전.. 일빠^^  개미 허리  보드요.. ㅎㅎ

엮인글 :

한현호

2020.10.06 09:32:21
*.7.55.131

붓아웃으로 스트레스 받느니 큰게 낫죠

guycool

2020.10.06 09:34:17
*.30.118.207

 제 허리를 보면 전 무조건 개미 허리임다...

soulpapa

2020.10.06 09:48:05
*.39.246.251

저도 전향이 아니다보니 허리 넓은 것 보다는 좁은 쪽에 맘이 가요...

과체중보더

2020.10.06 09:53:48
*.127.166.107

허리가 넓으면 반응성이 굼뜨고.. 좁으면 반응성이 빠르고..

전.. 붓아웃이 나오더라도 반응성 빠른 데크를 선택 하겠습니다..

무한무도리

2020.10.06 09:59:48
*.70.50.200

이글은 토론글인가 질문글인가... ㅎㅎ
전 250mm라 붓아웃 걱정이 없으므로 개미허리데크요!!

Ellumi

2020.10.06 10:08:58
*.91.7.130

저도 개미허리로...ㅎㅎ

취향

2020.10.06 10:40:02
*.212.31.189

전 뚠뚠이로...

넓은 허리에서 오는 관광보딩의 안정감도 있고...

넘기기 힘들고 한 것은 하체단련으로 극복을...

날씬한곰

2020.10.06 18:57:45
*.39.200.11

불안한거 보다 힘든걸 선택하겠습니다 ㅎㅎ

GATSBY

2020.10.07 11:56:18
*.149.242.189

붓아웃은 더비나 칸트, 각도조절, 높은 바인딩 등으로 콘트롤이 가능하나, 투머치 와이드 보드에서 나오는


굼뜬 컨트롤과 반응성, 그리고 거북한 느낌의 카빙은 컨트롤이 불가능 합니다.


콜로라도의 설질이야 눈이 폭신하니까 그 지역 특유의 와이드 보드가 유행이지만


강설인 우리나라에, 특히 서양인보다 신발사이즈가 2센치 작은데 굿이 와이드 보드를 택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와이드 보드로 카빙하면 카빙 소리도 다릅니다.  

날부마

2020.10.09 14:36:18
*.44.121.219

혹시 와이드 보드가 몇부터 와이드라고 하면 될까요?

guycool

2020.10.10 12:31:31
*.39.161.24

회사 마다 평균 사이즈 이상 넓은 걸 간혹 내놓으면 그 길이 대비 와이드 모델이라 합니다
하지만 자기발에 비해 넓으면 그 사람한톄는 분명 와이드겠죠

GATSBY

2020.10.12 10:04:05
*.149.242.189

음......디렉트윈 정캠버 데크 158길이, 사이드컷 8미터 내외 기준에서는

허리폭 248~252 = 스탠다드.

허리폭 253~254 = 세미 와이드

허리폭 255~258 = 와이드

라고 하겠습니다. 


날부마

2020.10.12 11:14:32
*.44.121.219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겉멋

2020.10.08 17:15:57
*.239.254.10

왠만큼 허리 과도하게 안넓으면 전진업으로 반응성커버 가능해서 저는 복부비만 허리

Q(^^Q)

2020.10.11 23:19:09
*.151.142.52

동일사이즈 와이드와 스텐다드 제품 2시즌 타보고 와드 방출한 1인입니다.

GATSBY

2020.10.12 11:37:40
*.149.242.189

그리고 붓아웃에서 해방되는 가장 현명한 팁은.

더비나 칸트를 장착하거나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높은 바인등을 선택하심을 강력 추천 드립니다.

부츠가 데크 높이브터 1센치가 높아진다면 데크 허리폭 2~3센치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바인딩을 더 높이 장착이 될 수록 그만큼 허리폭이 얇은 데크를 선택해도 되는 것이지요.


알파인 스노보드가 그 예시 입니다.

캡틴아메리카

2020.10.13 07:57:00
*.39.156.86

저도 넓은 데크를 ㅜ ㅎㅎ

조조맹덕

2020.10.13 19:58:29
*.38.52.40

둘다 장단이 있던데급사 딥카빙 아니면 데페로 발만 안크묜 가능합니다 근데 디지급은 터지더군요 더비등 올려야가능

호요보더

2020.10.16 09:54:41
*.209.31.170

지인 보드가 166-29.3(도넥)인데 타본 사람들 말로는 엣지가 전환 엄청느리구 어색해고 들었습니다 대신 탈때는 롤스로이스급 안정감
카빙을 즐기지 않는 저로서는 개미허리가 더 좋쿠요

화이트믹스

2020.11.02 14:33:48
*.122.144.72

주는데로 타것슴돠~

조조맹덕

2020.11.11 11:21:50
*.38.52.188

좁은걸 선호하는데 딥카빙.즉 미들턴 이상 급사에서 타기엔 적당히 두꺼워도 좋더군요 255 아우터쉘 작은 부츠입니다

피부미남

2021.10.24 18:28:20
*.211.52.15

전 뚠뚠~ㅋㅋ

guycool

2021.10.25 14:16:36
*.38.95.28

허리 넓은 보드는 때론 매우 힘들고 불안합니다 넘기기 굼띠고

아이들이 아빠 신발 신고 가듯이

업다운맨

2022.08.21 16:43:40
*.235.27.223

둘다 나름의 재미가 있을것같은데......하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65
1342 스키장별 시즌권 가성비 [44] 슴톰 2015-04-28   21255
1341 해머헤드 데크는 언제부터 사용이 가능한가?! [67] X-ray 2014-12-07 9 19904
1340 전향각 vs 덕스텐스...... [37] 할배보더 2011-01-09   18400
1339 라이딩은 전향각으로 타야된다? [70] Tech. 2015-01-27 1 17818
1338 유독 대한민국에서만 헤머데크가 인기있는 이유가 뭘까요? [72] 야볼 2017-04-06 30 16752
1337 카빙시 다운을 하라는데... [37] ☜RABBIT☞ 2008-03-01 137 15877
1336 유령데크를 발견했을 때 대처법... [31] 결눈이쁜보더 2007-12-10 154 15774
1335 지산 대박................ 여러분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49] 래원아빠 2008-02-15 118 15717
1334 리버스카빙의 위험성... [68] Brembo 2017-09-03 21 15140
1333 카빙과 바인딩 각도에 관해 의견을 공유했으면 합니다. [12] 클리기 2007-12-02 129 14849
1332 카빙턴과 슬라이딩턴은 종이한장 차이?? [41] 부자가될꺼야 2015-02-16 4 14634
1331 오늘 타이거월드에서 일어난 상황에대해서................... [112] 써든데크 2007-07-27 76 14157
1330 전향각 자세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32] 무주팬더 2021-11-02 2 14113
1329 스노보드 생초보 강습비 정하기를 토론해 봅시다. file [79] GATSBY 2015-01-05 57 13499
1328 보드 즐기는 스포츠 아닌가요? [70] 꼬맹이신 2016-03-18 7 13391
1327 카빙턴과 슬라이딩턴에 대한 생각. [37] 초특급자빠링 2017-01-27 14 13372
1326 천정부지로 치솟는 시즌방비 [56] 나옹이25 2017-05-29 1 13305
1325 바인딩을 채울때 지켰으면 하는 매너 [91] 보노보더 2010-11-27 1 13258
1324 국내 스키장 가장 재미있는 슬로프는??! [58] 김피카츄 2016-01-11   12760
1323 기본을 경시하고 보여주기식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132] 웰리힐리1231 2017-01-12 31 12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