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속에 항상 생각합니다.

1.날이 무조건 박혀야 다음 동작이 먹힌다. (슬립또는 터지는원인)
2.기울기는 뒤로 기우는게아니라 . 데크 방향으로 몸을 기운다.(옆으로)레귤러라면 힐턴시 몸을 5시 6시가 아니라 8시로 기운다. (데크는 옆으로 가야하는데 몸은 뒤로 누울려고 기울기 주니 엉빠와 동시에 날이 박혓어도 덜덜덜 슬립)
3. 기울기 다음 무조건 시선을 아래 아닌 펜슬로 멀리 본다. 2번과정과 거의 3번이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해도 무방함. (서서히 8시나 9시쪽본다)
날이 안박힌 상황에 위에 것들을 한다면 설사 한다해도 골반이 아에 닫히거나 슬라이딩턴처럼 되거나 털립니다. (눈장벽이 쌓여야 데크가 고정됩니다.)

경사가 쎌수록 날을 세워 박아야만 눈벽이 쌓이면서 카빙이 되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고수분들이 고집하는 외경을 엄청 중요시 하죠.
다운이라 앉는다고 생각하지 마시구 다운은 낮은자세로 외경을 만들어주는 일부 과정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외경이 날을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른팔로 왼다리 부츠에 손에 닿는다는 생각하면 편합니다. 굳이 다운이라 확 앉는다고 생각하고 행동 하면 털립니다.

보통 80프로정도는 힐턴 털리면 왼발에 힘이 다 쏠리니 털리는게 맞습니다만. 엣지를 무조건 박혀야지 골반과 상체가 열수잇습니다.박히지고 않은 엣지 이미 닫힌들 열수가 없습니다. 중력이 잇고 몸은 쏠리고 눈벽이 없는데 데크가 불안한 상황에 골반 절대 못엽니다.

제자리에서 골반열어보세요. 쉽죠? 내리막에서 골반 열어보세요 쉽죠?
근데 왜 슬로프 가면 안되지?? 엣지가 박히질 않았는데 ... 골반은 무슨 .. 엣지 박는부분 먼저 신경써야합니다. 애들 놀이터에 스프링 달린 용수철 1인 시소 아시나요? 명칭은 생각안나는데 오토바이 드리프트 짤 모양 용수철 생각하면 되겟네요.
아무튼 거기 올라갓다고 생각하고 기울기 주면 무릎이 닿겟죠? 몸도 틀수 잇습니다. 그런데 그 용수철이 기울기 주는 순간 빠졋다고 생각해보세요. 몸과 시소 일체엿던게 분리가 되면서 내몸은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 어떤움직임도 할수 없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독학으로 타면서 남들 1시간 2시간 집중할때 전 계속 고뇌하고 연구 해봅니다.
알듯 말듯 8시간 풀로 타면서 스트레스 받으면서 탑니다. 전 혼자니까요.
저같은 분들 잇으니까 조금이라도 힘내시고 빠른시일내 카빙 마스터 하시면서 멋지게 타보세요.

요약. 날이 안박히면 어떤동작이든 카빙을 구사할수 없다.
엮인글 :

스노미도

2021.02.02 19:23:15
*.165.50.250

진짜 존경합니다 ~~~  짧지만 굵직하고 최고에 칼럼입니다~~~

스노미도

2021.02.02 19:49:21
*.165.50.250

혹시 5시 6시가 의미하는 방향이 전체적으로 봤을때


리조트 방향을 의미하는건가요 ???

풀밥

2021.02.05 07:17:39
*.177.16.190

데크 위에 있는 내 기준인 것 같습니다.. 뒤로 눕지 말고 좌측후방으로 기울이란 말씀이신듯?

iiaceii

2021.02.20 21:07:24
*.235.48.50

진행방향으로 기운다는겁니다. 초보들 실수가 데크는 옆으로 가는데 몸을 뒤로 기우니 아에 시작전에 넘어지는 경우가 흔해요. 힐턴에서 상체를 열고 옆으로 넘어진다 생각하면 됩니다.

iiaceii

2021.02.20 21:14:19
*.235.48.50

힐턴 진행 방향입니다. 시작전 5시 6시 로 기울기 주는 자체가 엉덩이를 내밀고 뒤로 눕겟다는 겁니다. 이게 초보들 흔한 실수가 기울기주기도 전에 넘어지거나 털리는거거든요.
폴라인이 시작됨과 동시에 옆으로 눕는다 생각해야해요.힐턴에서 상체를 오픈하고 옆으로 기운다 생각하면 됩니다.

스노미도

2021.02.22 10:26:52
*.165.50.250

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1
97 기타 서핑 스노보드 부상 방지를 위한 허리 골반 ... [3] 스크래치 2020-11-22 3 630
96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할 때 굽은 등을 펴는 방법 [2] 통역좌 2020-11-23 4 2005
95 초보를 위한 강좌 고어텍스 보드복 입는 법 통역좌 2020-11-27 2 1099
94 장비 튜닝 [장비튜닝] 보호필름 단돈 2천원으로 입히기... [4] 독학보더(원뽕) 2020-11-30 1 728
93 장비 구입 보드복 구입시 알아두시면 좋은 것들 입니다. [3] megabomb 2020-12-02 9 1670
92 기술(테크닉) 신체무게중심과 압력중심점 file [3] 문박사 2020-12-03 8 1242
91 기술(테크닉) 업과 다운의 방향 file [5] 문박사 2020-12-04 2 1820
90 장비 관련 플럭스 바인딩 스트랩 파손 AS 후기입니다 file [19] 보타싶 2020-12-08 15 7347
89 기술(테크닉) 다타고 보드데크 눈 털때 [2] 피브리조 2020-12-09 3 1511
88 헝그리 캠페인 스키 보드 다 타시고 에어 컨프레셔로 하실때 [4] photoable 2020-12-21 2 1322
87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 포지션의 모든 것 [4] 통역좌 2020-12-26 8 1079
86 초보를 위한 강좌 더럽게 헷갈리네. 린인/린아웃 알고 갑시다. file [12] 소리조각 2020-12-29 19 2830
85 초보를 위한 강좌 올해는 데크를 눈 위에서 띄워 봅시다 [1] 레인보우시스타 2021-01-02 3 10051
84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비기너 턴 | 최상급 슬라이딩... [4] Jake! 2021-01-02 8 1061
83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사이드슬리핑 연습방법 [2] 통역좌 2021-01-07 5 747
82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너비스 턴 팁 | 급사 고속 라... [2] Jake! 2021-01-07 5 1055
81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후 뭐가 달라졌을까요? 휘팍 중급자강습... [2] 레인보우시스타 2021-01-15 5 1114
80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강좌:인터미디엇 슬라이딩 턴 팁 |... [3] Jake! 2021-01-17 4 954
79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베이직 카빙 연습방법 [2] 통역좌 2021-01-21 5 1205
»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 카빙 힐턴 초보 팁 [6] iiaceii 2021-01-24 13 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