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냐세용~

 

이번에 자격도 한번 따보려고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레벨1 은 시험 신청 해놔서 유툽보면서 조금씩 공부만하면 될 것 같은데요.. !

 

레벨 1 질문

1. 대부분 시험 목록이 턴 위주던데, 전향으로 세팅해서 타면 힘들겠죠..?

(제가 전향라이더다 보니 고민..)

2. 만약 턴 시험볼때는 15/0으로 세팅해서 본 후 마지막 프리라이딩때는 전향 및 헤머로 바꿔서 진행해도 되나요 ?

 

레벨 2 질문

1. 스키지도자연맹 홈페이지에는 레벨2에 대한 내용은 찾기가 힘든데...레벨2는 어디서 어떻게 칠 수 있나요 ?

2. 레벨 2 는 어떤 과목(?)을 중점으로 볼까요 ?

 

ㅎㅎ

제 한계가 어디까진지 궁금하기도 하고 따보고 싶기도 해서 도전해보려 합니다

엮인글 :

이클립스♠

2021.01.27 14:42:47
*.195.158.97

올해 레벨2 시험은 올해는 어려울 것 같아요. (현재 방역기준이 바뀌지 않으면요)

레벨2 시험은 레벨 1분들 다수가 모여서 하는 것이라서요. 

 

레벨1 시험은 기본적인 덕셋팅이 유리합니다. 마지막 프리라이딩의 경우, 이건 시험보시는 슬로프 환경이나 채점관의 방법에 따라 가능할수도 불가능 할수도 있습니다. 베어스타운의 경우에는 사이드 슬리핑, 펜듈럼, 베이직턴, 너비스 턴 등의 순서로 한슬롭에서 한번에 다 보았기때문에 데크를 교체할 여력이 없었습니다.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4:48:30
*.135.238.129

아하 레벨2가 없는 이유가 그거였군요 ㅠㅠ

 

레벨1 시험을 위해서 15/0으로 연습을 좀 해놓고 세팅도 해야될거 같네요...

극전향이다 보니 덕은 이질감 땜에 힘들거 같고 ㅜㅜ

데크 교체도 안되니 ㅜㅜ

 

유툽보면서 시청각 공부부터 하겟슴니다 ㅎㅎ

이클립스♠

2021.01.27 15:11:00
*.195.158.97

레벨 1 시험 볼때, 전향도 상관없다고 이야기는 하시는데.... (이게 좀 애매하긴 하더라고요. 저는 그냥 FM으로 덕으로 했습니다.) 그런데 15/0도 갠찮으실 거예요. KSIA 시험은 티칭을 꽤 자세히 해주시기 때문에 합격율도 높고, 거의 엥간하면 붙으실 수 있을 거예요. 오히려 스키장경영협회 레벨 시험 결과가 애매할때가 많더라고요.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5:32:20
*.135.238.129

협회 결과랑 합격여부랑 다른가요 ㅇㅅㅇ???무슨 말씀이신거종?ㅇㅅㅇ

이클립스♠

2021.01.27 15:52:49
*.235.9.124

아....애매하게 적은것 같네요. ㅎㅎ 이런느낌요. 난 분명 타인보다 잘했는데 타인은 합격, 난 불합격... 이런느낌요.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5:59:01
*.135.238.129

어엇..... 공부좀 하고 가야겟네요...

 

팁..(?).. 이랄게 있을까요 ?

이클립스♠

2021.01.27 16:08:58
*.195.158.97

KSIA는 현장에서 워낙 자세하게 잘 가르쳐 주셔서, 슬롶에서 미리 연습 몇번만 하시면 무난히 합격하실거예요.

 

스키장경영협회는 KSIA보다는 좀더 난이도가 있는 느낌요. 그리고, 현장에서 티칭은 없고, 사전시범 정도밖에 없습니다.

 

펜듈럼, 베이직, 너비스턴에서 엣지는 최대한 자제하시고 자세를 확실히 보여주시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6:41:13
*.135.238.129

아 KSIA랑 경영협회 시험이랑 다른 거군요!

전 같은 시험을 말씀하시는줄 알았네요 ㅎㅎㅎㅎㅎㅎ

 

현장에서 열심히 듣고,, 엣지 안박기... 메모하겠습니다! ㅎㅎㄱ

감사합니다

팝콘팡팡

2021.01.27 14:43:56
*.33.178.12

레벨1은 알파인이랑 같이봅니다 전향 상관없어요 그리고 셋팅 바꿀 시간이 없어요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4:49:04
*.135.238.129

전향도 상관이 없다만은 턴 위주 시험이다 보니 전향으로 턴하면 좀 힘들더라구요... ㅎㅎㅎㅎ

셋팅 바꿀시간 없으니 고민이네요

Ellumi

2021.01.27 14:44:36
*.86.126.100

1. 전향으로도 붙는 분들 많아요.
2. 관계없습니다.

레벨2의 2. 슬턴 점수 좋게 나오는거 본적이 없는거 같습니다.
인터미디어티드 붙은 턴들은 딱 그 수준에 맞게 타는거라서 더 잘 타도 감점 요인입니다.
이상 낙방자의 소감이었습니다ㅋㅋㅋㅋ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14:49:47
*.135.238.129

더 잘타도 감점이라니... 힘드네요.. 딱 그 레벨 그 시기에 쳐야하는 건가봐요..

Ellumi

2021.01.27 15:17:00
*.86.126.100

이게 다른 사람을 가르친다는 전제하에 딱 그 동작 시범을 보여주는거라서 더 잘 타면 단계를 건너뛰는게 되는지라...ㅎㅎ
까다롭더라구요ㅠ

이클립스♠

2021.01.27 15:11:41
*.195.158.97

낙방자였군요. ㅋㅋㅋ (위로를...ㅎㅎ)

Ellumi

2021.01.27 15:17:27
*.86.126.100

ㅋㅋㅋㅋ제 실력부족인걸요ㅋㅋㅋ

◆도르◆

2021.01.28 13:32:21
*.183.119.193

1. 전향 상관없습니다..턴의 기본요소를 얼마나 정확히 구분동작으로 표현하는지를 봅니다

2. 관계없으나 현장 시간상 가능할지...ㅎㅎ

살긋다

2021.01.28 18:07:56
*.205.68.186

얼마전 비발디에서 ksia 레벨1 취득했는데요..!
전 원래 덕으로타서..
1. 전향으로해도 상관은없다하시니 연습해보시면 될겁니다ㅎㅎ.잘타시겠지만 기준이 아예 처음 보드를 접해보는 이들에게 알려주는 입장이되어야해서요! 데몬께서 기본개념들을 이해할수있게 설명을 잘해주십니다. 모든 턴을함에 엣지사용없이 베이스만으로 슬로프를 크게 쓴다고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ㅎㅎ
2. 저같은 경우 시험 진행이 연속적으로 이뤄져서 바인딩각도를 조절하실 시간이 없을것같습니다. 이건 진행되는 스키장별로 차이가있을듯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ㅎㅎ!

Super Naturals

2021.01.29 14:58:47
*.194.80.20

보드,스키 둘다 레벨/티칭 가지고 있습니다만~

연맹과협회 시험방식에서 현장 분위기가 사뭇 다릅니다~

 

레벨 1 질문

1. 대부분 시험 목록이 턴 위주던데, 전향으로 세팅해서 타면 힘들겠죠..?

   (평상시 셋팅 놔두시고 기초과목 시험이므로 속도가 아닌 자세에 신경쓰시면 됩니다.)

 

2. 만약 턴 시험볼때는 15/0으로 세팅해서 본 후 마지막 프리라이딩때는 전향 및 헤머로 바꿔서 진행해도 되나요 ?

   (누가 데크 가지고 밑에서 기다린다고 한다면 모를까...그럴시간 없습니다~ )

 

레벨 2 질문

1. 스키지도자연맹 홈페이지에는 레벨2에 대한 내용은 찾기가 힘든데...레벨2는 어디서 어떻게 칠 수 있나요 ?

 (접수기간이 아니라서 다음주 2월 초에나 발표할겁니다/ -협회 티칭시험은 코로나로 취소-

2. 레벨 2 는 어떤 과목(?)을 중점으로 볼까요 ?

   - 슬라이드 미들턴/숏턴

   - 카빙 미들턴/숏턴

   - 제한활강/종합활강 6개 과목~

   - 구술시험

   - 이론시험

이거는 할말이 많으나  확실한건  레벨 1처럼 생각하면 안됩니다~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9 16:06:03
*.135.238.129

오우 한번에 알아볼수있겠네요 !!

레벨1은 자세만 신경쓰면 된다고들 하네요!

 

레벨2는 공부좀 해야될거같은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830
20 데크 허리길이는 얼마가 적당한가..? [14] 도넥타는토마스 2021-02-23 554
19 곤지암 저격글을 보며,, [14] 도넥타는토마스 2021-02-18 871
18 웰리힐리 슬로프 질문~ [3] 도넥타는토마스 2021-02-09 416
17 남쪽나라 보더 분들은 어디가 가장 좋으신가요 ?! [24] 도넥타는토마스 2021-02-04 599
» 레벨1 & 레벨2 검정 시험 질문! [19] 도넥타는토마스 2021-01-27 531
15 산소훈련국(오투) 관련 질문! [18] 도넥타는토마스 2021-01-14 386
14 피텍스 상판 PPF 잘하는곳! [6] 도넥타는토마스 2020-08-25 439
13 스노보드 캐리어vs루프박스 [14] 도넥타는토마스 2020-07-21 654
12 피스랩 준비물 [16] 도넥타는토마스 2020-05-30 1121
11 클리커를 써보고 싶은데욥.. 흠 [13] 도넥타는토마스 2020-05-13 614
10 O사 로고 크기 [4] 도넥타는토마스 2020-05-11 760
9 보드 브랜드별 스티커 구매처 [12] 도넥타는토마스 2020-05-07 564
8 보드 전손 처리 기준!? [16] 도넥타는토마스 2020-04-22 1050
7 피스랩 일정 [5] 도넥타는토마스 2020-03-24 732
6 피텍스 이염 세척방법 [8] 도넥타는토마스 2020-03-09 359
5 도넥 오너분들! 도와주세용 [8] 도넥타는토마스 2020-02-07 1121
4 도넥 사버우드 vs 사버메탈 ...! [7] 도넥타는토마스 2020-01-16 1819
3 1718 플럭스 XV M -> 255말뮤 호환!? [7] 도넥타는토마스 2020-01-16 200
2 피텍스에 스티커 붙이는 법... [9] 도넥타는토마스 2020-01-14 488
1 동호회 활동 중 블루투스로 대화 하는 거 ㅜㅜ! [16] 도넥타는토마스 2019-11-2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