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자 시절 귀동냥으로 들은 이야기 중 스키, 보드 제대로 타려면 장비가 중요하다 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이드각, 소재, 무게 등등 머가 그리 복잡한지.. 잘 모르니까 그냥 렌탈 쓰다가 올라운드 적당한 거 사게 되죠.


리프트 타고 올라가다보면, 빠르고 화려화게 움직이는 사람들을 보면, 장비를 보게 됩니다.

내 실력이 문제가 아니라, 장비가 바쳐주니까 저 사람들이 저렇게 하는거야. 라고 생각했던 때도 있죠.


그래서 나도 실력 올리려면 장비를 업그레이드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동작을 하려면 어떤 장비 수준 정도는 되야 저 동작을 할 수 있을 거야 라고 제가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10만원짜리 중고장비로 제가 입문자 시절 해 보고 싶었던 카빙 숏턴을 성공하면서, 장비의 문제가 아니라 내 실력의 문제였구나 라는 걸 깨닳았습니다.


물론 아직 대회전용, 모글용을 타본적은 없고, 안정감이 더 온다든지, 그런 차이가 있겠죠.


하지만 촌각을 다투는 올림픽 선수가 되려는 것도 아니고, 관광스키, 보더라면, 장비가 그렇게 크게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장비가 후져도 오래타니까, 내가 타고 싶은데로 타 지덥디다. 레벨 2,3 세상은 어떤지 몰라도, 장화를 신든, 샌들을 신든 어쨌든 갯벌이나 산을 걸을 수는 있습니다. 쪼리 신엇다고 산길을 못 것는 거는 아니라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ㅎㅎㅎ

엮인글 :

무인이

2021.02.05 09:47:31
*.171.133.130

저는 반대 의견을 적고 싶습니다. 장비 매우 중요합니다.

경험치와 실력이 뒷받침 되는 상황에서 옛날 렌탈데크로 퍼포먼스를 구현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경험도 없고 실력도 없는 상황에서 장비까지 본인의 퍼포먼스와 맞지 않는 상황이라면

본인이 추구하는 것을 완성하려면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게 일반적입니다. (운이 나쁘면 크게 다칠수도 있죠)


가정1

해머 전향 딥카빙 잘하시는분 (심지어 프리덱 경험도 아주 많으심)

이분께 프리덱으로 전향 딥카빙을 보여달라 한다면 어느정도 까지는 구현 가능하실겁니다.


가정2

전향각 딥카빙을 배우고자 마음먹으신 분이..

저렴하고 말랑하며 사이드컷 짧은 갖고놀기 쉬운 덱에 말랑한 바인딩 부츠 로 배우는게 더 수월할까요?

아니면 적절한 해머덱에 중간 이상 플렉스의 바인딩 부츠로 배우는게 수월할까요?


누구나칼럼 게시판에.. 초보를 위한 강좌로 글을 올리셨는데..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분이 글쓴이 님의 글을 보고 적절하지 않은 장비로 보드를 배우다가

다칠 위험도 있다고 생각해서 몇줄 적고 갑니다.


Chatterbox

2021.02.05 14:53:32
*.39.216.210

신택호님 영상중에 렌탈데크로 파이브 돌리던 영상이 있었죠...
무조건 비싸고 유명한 장비보단 자기한테 맞는, 자기 라이딩 스타일에 맞는 장비를 고르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물론 말씀하신대로 실력이 가장 중요하겠지만요 ㅎㅎ

뒷발차즈아

2021.02.23 01:35:19
*.132.242.32

고무 망치로도 못을 박을순 있습니다. 하지만 쇠망치로 때리면 더 효율적이겠죠.


이 주제는 누구한테는 되고 안되고의 문제로만 생각할수도 있지만

어떤이에게는 효율의 문제일수 있습니다.


결국 자기 그릇의 차이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43
76 기술(테크닉) 나의 숏턴 연습기와 노하우 [27] 하이뷰 2007-02-07 37 15660
75 초보를 위한 강좌 겁많은 여자친구 보드 가르치는 노하우 [58] 슭훗 2010-03-12 62 15697
74 기술(테크닉) 전향자세의 커리큘럼 연습방법 [18] 천현민 2018-01-10 53 15766
73 일반 [경유차] 여름용 경유와 겨울용 경유가 있다? [24] Tardis 2005-12-09 8 15789
72 기타 [추가] 휘닉스파크에 대해 알아봅시다. file [61] 2011-08-24 5 15959
71 장비 관련 말라뮤트 끈 묶기 file [58] 말라말라 2009-12-20 35 16000
70 일반 테크니컬 초보들의 힐턴실수 file [17] -Double.J- 2017-03-02 28 16059
69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3. 업 다운 file [27] Lunatrix 2015-02-24 58 16301
68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라이딩 심화편(급사카빙) file [19] ┓푸른바다┏ 2015-12-09 12 16350
67 기술(테크닉) 스케일을 위한 그라운드 트릭의 기초 팁 [87] 가고일~* 2007-10-23 74 16394
66 장비 튜닝 발꿈치가 뜨세요? 부츠 묶는 법의 결정판(!?!) [43] Mars 2005-11-06 52 16422
65 기술(테크닉) 라이딩에 작용하는 힘의 원리-<3.슬로프 기... file [19] Lunatrix 2010-11-18 14 16465
64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타는 법 (좋은 스타일) [18] 파우더~! 2007-01-22 123 16485
63 일반 벽선반 만들기 !!!! [12] 대장곰보더 2008-06-01 107 16562
62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1. 토션의 사용 file [17] Lunatrix 2014-12-30 33 16725
61 기술(테크닉) 카빙의 원리 [104] 바뷁큐파티 2016-01-09 12 16775
60 일반 그 정답이 없다는 바인딩각도에 대하여.. [13] 출열보더 2008-12-31 53 17014
59 장비 튜닝 붓아웃 현상과 붓아웃을 줄이는 방법들... file [17] leeho730 2013-02-15 20 17069
58 장비 튜닝 바지...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32] 나불나불㉿ 2009-09-24 158 17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