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자전거는 얼마전 의무화 되었고... 뭐 그전에도 제대로 타는 사람중에 헬맷 쓰지 않는 분은 거의 보질 못했습니다만;;

스키는 제가 개인적으로 뵌 분 중 헬맷을 쓰지 않는다는 분은 한번도 보질 못했습니다.

보통 어떠한 사례를 평가할때, 절대적이진 않더라도 유사한 외부 사례를 참고할 수는 있겠죠...

뭐 그렇다고요...
엮인글 :

조운c

2022.01.01 21:18:22
*.235.15.151

곧 스키장 헬멧도 의무화 될듯 합니다. 하이원이 사망사고후 의무화 했듯이. 사망을 중상으로, 중상을 경상으로 경상을 무사고로 만드는게 안전보호구고 그중 헬멧이 가장 중요한것 같아요.
다같이 안전한 스키장이 되길 희망해봅니다.

붉은표범

2022.01.01 21:37:36
*.38.56.4

헬멧 권장하는 건 좋은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권장을 넘어서 비하하는 건 문제가 있죠..

트윅스

2022.01.01 21:38:23
*.111.5.240

맞습니다 … 저도 그게 좀 그런거에요 …
안쓰는걸 쓰자고 독려하는건 인정하지만
안쓰는 사람은 인성이 그렇니 저렇니 하는게 넘 보기 안좋네오

붉은표범

2022.01.01 21:40:01
*.38.56.4

네 저도 몇몇 글이나 댓글보면 안타깝습니다
헬멧뿐만 아니라 무슨 특정이슈가 나오기만하면
무슨 갈라치기하려는 마냥...아쉽네요

양지빌런

2022.01.01 23:49:04
*.203.90.71

헬맷 착용 여부는 제도상으로는 재량, 스키경영자협회 기준 강한 권장 내지는 의무 정도로 보여지니

비하할 필요는 전혀 없죠.

양지빌런

2022.01.01 22:31:26
*.203.90.71

저는 개인적으로 이 부분은 자율성 보다는 어느정도 규제가 합리적으로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도 보는데...

자전거는 그래도 도로교통법에 묶여있고 이동수단이라는 현실적인 이유때문에 헬맷의무화가 되었다고 봅니다.

 

근데 스키/스노우보드 레저스포츠는 제도가 현실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따로 정부나 협회 차원의 제도화 노력도 안보이고 그냥 리조트에서 손님들 유혹하는 수단의 하나로 보는게 아닌지...

익스트림 스포츠로서 다수가 즐기는 상황에서 사고가 적어서 그렇지, 위험성 면에서는 mtb 등과도 유사하다고 보는데

아직도 2~30년전 수준의 안전의식이 팽배한 것 같아 이 부분은 좀 개선되었으면...합니다.

(단순히 헬맷 얘기가 아닙니다. 리프트 흡연으로 인한 방화 시 산림보호법 제53조에 의거, 3년 이하 징역 대상입니다)

 

참고로 스키장경영협회에서 제시하는 안전수칙에는 헬맷 착용이 권장보다 의무에 가깝게 적시되어 있긴 합니다.

https://skiresort.or.kr/sb_safe.html

s턴잘하고싶다

2022.01.01 23:02:30
*.101.194.94

저도 딱 이생각 들더라구요
스키타는분중
렌탈로 제어 안되는 초급자 제외
중급이상분들
헬멧 안쓴분 한분도 못봤어요
하나를 보면 열을 알고
나쁜 습관이 관행처럼 계속 이루어지면
그게 당연시 되는 법이에요
당연히 신규 유입되는 분들은 내선배도 안썼는데
하면서 안쓰는분들이 많아지겠조
입장 차 들이 있지만 비하하거나 너무 심한 비유는
적절치 않아 보입니다
시즌 이제 시작이잖아요 다같이 화이팅입니다

양지빌런

2022.01.01 23:42:00
*.203.90.71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입문자는 보통 자신을 입문시킨 선배를 보고 배우기 마련이죠.

생각해보니 저를 보드로 입문시킨 선배도 비니를 쓰고 상급자 슬로프를 타곤 했습니다...

s턴잘하고싶다

2022.01.01 23:50:13
*.101.194.94

맞습니다
저도 이전직장에 신입들을 입문시킨적이 있는데
장비 중고로 다사고 비니쓰고왔길래
다음날 바로 하이바 두명 다 사주고
꼭 써야하는 이유를 설명해줬더니
그다음부터 헬멧 꼭 챙겨 씁니다
저도 뒷쩍으로 하이바 박살났었고
그 이유를 설명해주니 장비 챙길때 하이바 꼭 챙기더라구요
이제 이직하고 베이스도 다르지만 그 버릇은 평생 가는거거든요
프로랍시고 멋부린답시고 사소하게 하는 행동하나하나를
상당수 입문자들이 보고 배운다고 생각해요
프로일수록 경력자일수록
모범을 보여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여러모로 안타깝네요

양지빌런

2022.01.01 23:23:32
*.203.90.71

본인 의견과 다르다고 스팸 신고해주신 분 감사드립니다.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스팸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뭔지 모르시는 것 같으니 첨언해 드리면,

광고글을 의미합니다.

 

그 기능이 싫어하는 글에 찬반 투표하는 기능이 아니라는 사실을

한번 더 설명해드릴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양지빌런

2022.01.01 23:36:51
*.203.90.71

빠르게 변화하는 익스트림 스포츠 부분에서, 정책이나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체나 협회, 또는 동호인 수준에서 논의나 자정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스노우보드/스키 분야에서 헬맷 착용 여부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모두가 잘 아시다시피, 스노우보드/스키가 미끄러운 설면에 달랑 몸과 장비 하나로 버티기에는 매우 속도가 빠르고 예상치 못한 설면이나 장애물(심지어 나를 향해 내려오는 물체 등)을 만날 수 있으며, 아무리 실력이 우수하더라도 이러한 상황에서는 충분히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를 지켜줄 수 있는 것은 개인 보호장비(개인용 보호구)이며, 대표적으로 헬맷, 고글, 상/하의 보호구, 팔목/무릎 보호대 등이 있습니다.

 

아직은 법률상 강제가 아니므로, 당연히 헬맷을 써야 한다는 전제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팩트입니다.

헬맷을 쓰는 것을 권장하는 문화로 나갈지 말지는 저희 스노우씬 참여자 분들이 논의하여 여론을 형성하고, 필요하면 이를 법률이나 그 밖에 형태로 명문화시키는 절차가 이행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서, 스키 분야, 특히 알파인 스키 분야는 묵시적으로 헬맷 착용이 정착되었다고 경험적으로 판단합니다.

레이싱은 말할 것도 없고, 인터스키에서도 최고수들이 헬맷 착용을 당연시 하니, 이 문화가 퍼져나간 것이 아닐까 추정해봅니다.

 

그런데 스노우보드 분야는 아직 헬맷 착용에 대해 합의된 의견이 도출되지 않고 있을 뿐입니다.

추정해보면, 스키보다 다양한 스타일이 존재하는 스노우보드 특성 상, 아직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명백한 사실은 헬맷은 착용할 경우,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이 역시 부정할 수 없는 팩트입니다.

양지빌런

2022.01.01 23:56:07
*.203.90.71

+ 역시 좁은 경험이었지만, 제가 본 알파인 보더 분들은 100% 헬맷을 착용하고 계시더군요.

추정컨데, 카빙 라이딩 위주의 스타일의 영향이 아닐까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580
210929 궁금한게 있습니다 ... 탑승반사 file [13] ♥마테호른 2022-01-03   1612
210928 데크 구매할때 잘보고 구매하세요 file [8] s턴잘하고싶다 2022-01-03 2 2424
210927 와이프 임신...출산...육아....보드는 은퇴해야하나 봅니다.. [16] ma-cho 2022-01-03 9 1585
210926 헝글 간만에 들어오니 재밌네용 [1] EISE-김재현 2022-01-03 9 742
210925 슬로프보다 곤돌라를 더 많이 탄 날ㅠㅠ(feat.탁숙희님) file [5] 14년째낙엽중!! 2022-01-03 2 1584
210924 영하권 발시렵거나..부츠가 반사이즈 클때 Tip~!! file [26] 조선인KJ 2022-01-03 7 2451
210923 정말 올만에 왔네요. [3] 꿀태진 2022-01-03 5 459
210922 파나틱 FNTC SoT 워런티규정.. file [31] 광땡 2022-01-03 4 1263
210921 어제 휘팍 몽블랑... file [17] 과체중보더 2022-01-03 5 2519
210920 스키장 인파.... [7] Roeld 2022-01-03 1 2093
210919 아 보드 또 타고싶어요 [5] 날씬한참치곰 2022-01-03 5 639
210918 새해 첫 출근.. file [9] 에메넴 2022-01-03   539
210917 장터 눈팅중 꿀매 공유 [8] 알리V 2022-01-03 3 1392
210916 완전 신박한 템. 발 시려움 바이바이~ file [14] YP광식이형 2022-01-03 2 2020
210915 보드가 정답이 없다는게 [39] 노말그자체 2022-01-03 27 2705
210914 아이폰 프로 골드 비발디서 잃어버리신분 [10] 호크가좀더... 2022-01-03 8 503
210913 오랬만에 들어왔는데 헝글 많이 망가졌네요... [21] 그냥머 2022-01-03 1 1755
210912 선배님들 데크 길이 조언좀여 [9] 개무지 2022-01-03 1 594
210911 갑자기 데크기변 뽐뿌오네요;; [2] 트윅스 2022-01-03   692
210910 22시즌 첫 출정~ file [1] 11*5_타다닥 2022-01-03 3 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