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이제 슬라이딩턴 감이 오는 보린이입니다.
아직 턴의 개념이 확실히 집혀있지 않네요ㅠㅠ
카빙은 기울기를 이용해 엣지로 라이딩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슬라이딩턴도 엣지를 박고 기울기를 주는 것 같아서요
카빙턴과 슬라이딩턴의 가장 큰 차이는 엣지체인징이라고 볼 수 있나요??
차이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엮인글 :

명노정

2022.03.13 03:40:02
*.38.55.134

책상에 엄지와 검지로 자를 세우세요.
앞으로 미는 것...책상에 직선이 생기겠죠...카빙!
옆으로 빗자루질 하는 것...책상에 면이 생기죠...슬라이딩턴!
카빙은 엣지와 같은 방향으로 칼질.
슬라이딩턴은 엣지와 수직으로 빗자루질.

미니저그

2022.03.13 15:18:11
*.235.24.35

이해가 어렵군요ㅠㅠ

냥만

2022.03.13 08:55:46
*.38.33.234

카빙 입문 하기전에 턴이 슬라이딩 턴이라고 보심 됩니다

미니저그

2022.03.13 15:24:42
*.235.24.35

카빙과 슬라이딩턴은 다른거 아닐까요?

급사에서는 오히려 슬턴이 자주 쓰이는것 같은데…
두 기술을 비교하며 난이도를 논할 순 없는것 같습니다

렌드

2022.03.13 10:10:57
*.157.169.152

말로 설명들으시는것보다 유튜브에 검색해서 동영상 보시는게 도움이 더 될겁니다~~

미니저그

2022.03.13 15:24:54
*.235.24.35

네 참고하겠습니다

AZZURRA

2022.03.13 10:14:40
*.234.156.53

쉽게. 얘기 해서
유툽 스노보드 어딕션에서 말하길
폴라인방향이 6시라고 할때
카빙턴은 12시부터 6시 까지 곡선(반원)으로 날 세우는것
슬라이딩턴은 9시(3시)부터 6시 까지 날세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남는 방향에선 쓸어야겠죠)

스무라이더

2022.03.13 10:29:57
*.115.135.210

슬라이딩은 기울기를 주지 않고 상체회전이나 하체회전 둘 중 하나를 이용해서 데크를 운용해요
비기너턴이 슬턴의 기본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쉽게 말해 시선과 상체가 돌면 하체가 돌 잖아요
그게 슬턴으로 가는 기본 자세예요
카빙은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이용해 데크를 움직이는데 이때 상하체가 동시에 움직이기에 기울기가 들어가요
슬턴은 엣지도 쓰지만 베이스가 설면에 많이 닿기에 빗자루 쓰는 모양이 되고 카빙은 베이스는 덜 닿고 거의 엣지를 이용해 턴을 만들어요

미니저그

2022.03.13 15:23:33
*.235.24.35

감사합니다! 턴 구간을 어떻게 지나느냐가 중요할것같은 느낌이 듭니다!

영원의아침

2022.03.13 13:37:12
*.39.251.99

어려운말 다빼고..
슬라이딩턴 - 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횐전력을 이용한 턴, 제자리에 서서 팔벌리고 빙글빙글 돌아보세요.

카빙턴 - 몸의 중심축을 두고 좌우(전향각) 앞뒤(덕스텐스)로 움직여서 데크의 엣지 와 세팅된 라디우스를 이용한 턴.

뭐가좋다나쁘다도 없고, 카빙가기 전단계가 슬턴 이라는 소리도그냥 개소리에요.
눈과 슬로프의 상태에 맞춰서 슬라이딩이든 카빙이든 생존턴이든 적용하시면 됩니다.

ㅣ천지호ㅣ

2022.03.13 14:05:55
*.247.165.221

햐~~ 딱 하고싶은말을 해줬네요.. 카빙전단계가 슬턴이라니... 상급슬턴(슬라이딩숏턴)은 현재 카시 커리큘럼에서도 최상급턴 기술인데 말이죠...

미니저그

2022.03.13 15:22:31
*.235.24.35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슬턴이랑 카빙은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현재는 인터미디어트 슬라이팅턴까지 연습했고 다음시즌에는 슬로프를 옮겨서 어드밴스드 슬라이딩턴을 연습해보려합니다.

다만 다음시즌부터는 카빙도 시작하고싶네요 ㅎㅎ

영원의아침

2022.03.13 19:51:00
*.35.185.219

둘다 동시에 하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하이원 베이스로서, 아폴로 1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이곳 슬로프 특성이 초반 완만한 완경사여서 베이직카빙, 숏턴,베이스활강, 가볍게 원에리, 스위칭 등 연습하고

중간부분 급사에서는 주로 슬라이딩턴 을 연습합니다.

이후 넓은 완경사지에서는 최대한 기울기를 줘서 카빙으로 내려가구요~

 

물론 시즌초,말 설질이 급격하게 안좋아지거나 슬러시로 바뀌면 설렁설렁 힘빼고 타는 연습도 하지요~+_+

 

슬로프라는게 언제나 똑같은 모양, 똑같은 컨디션이 아니니 그때그때 맞춰서 연습하시면 재미있어요~

Alchemist_OS

2022.03.14 18:36:40
*.247.145.133

우리나라 스노보드 씬에서만 카빙 전단계가 슬턴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것 같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ㅠㅠ

댓글 내용이 너무나도 공감이 가서 댓글답니다^^

ㅣ천지호ㅣ

2022.03.13 14:07:57
*.247.165.221

글쓴분이 잘 보셨습니다... 카빙이든 슬턴이든 전부 엣지를 이용하구요... 대신 프레스 운용할때 로테이션이나 스티어링을 과감하게 사용하여 데크를 슬라이딩 시키는게 슬턴... 그렇지 않은게 카빙이라 보시면됩니다.
아.. 그리고 슬턴의 정식 명칭은 슬라이딩숏턴입니다. 영어권에서는 숏턴이라 줄여서 많이 말하구요...
국내에서말하는 숏턴=숏카빙이지만...

미니저그

2022.03.13 15:18:54
*.235.24.35

아하! 감사합니다!

묵이홀릭

2022.03.13 14:48:18
*.101.193.56

뉴트럴에서 로테이션이 선행되고 기울기가 들어가면 슬턴이되고 기울기부터 들어가고 제한된 로테이션이 들어가면 카빙이 됩니다

미니저그

2022.03.13 15:20:15
*.235.24.35

슬턴과 카빙 둘다 로테이션은 들어가는군요!

묵이홀릭

2022.03.13 16:46:36
*.101.193.56

카빙에서 로테이션은 선택입니다

ㅣ천지호ㅣ

2022.03.13 18:44:01
*.101.66.249

카빙에서 로테이션은 상급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거죠

ㅣ천지호ㅣ

2022.03.13 18:45:46
*.101.66.249

카빙에서 로테이션 = 턴이 터지는걸 방지, 턴을 말기위해
슬턴에서 로테이션= 슬라이딩시키기위해

개념이 다르죠

soulpapa

2022.03.14 10:25:18
*.77.2.208

이해를 돕기위해 스케이트 타는 기분이면 카빙, 썰매타는 기분이면 슬턴... 쉽게는 이렇 느낌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슬턴 카빙은 전단계 후단계 계념은 절대 아님니다... 요거 잘 못 이야기 하면 싸움벌어져요 ㅎㅎ;

일단 초급시절 가장 먼져 선행되는것이 사이드 슬리핑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 하게 되죠... 프런트, 백 모두 슬리핑이 되면 슬턴은 끝났고 다음 단계로 카빙을 간다고들 생각하셔서 입문자분들에게는 슬턴은 그냥 베이직턴 또는 너비스 턴으로만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아서 벌어지는 오해인듯 합니다.

흙기사

2022.03.14 11:18:15
*.180.111.190

프레스를 줄이고 날박으면 카빙

제레인트

2022.03.14 17:05:51
*.140.115.169

턴의 시작을 로테이션 혹은 스티어링으로 시작하면 슬턴
엣징으로 시작하면 카빙

카빙이나 슬턴이나 상급으로 올라갈 수록
엣징과 프레스 모두 사용해야합니다.
위에서 천지호님이 잘 설명하셨지만 카빙도 로테이션 쓸 수 있구요.

BadDancer

2022.03.17 05:00:31
*.255.212.85

설면과 보드와의 마찰관계가 3가지가 있습니다. 슬립, 슬라이딩, 홀드 요렇게 3가지죠.

 

슬립은 사이드 슬립생각하시면됩니다. 중력에 의해서 보드가 낙하진행하고 그 낙하때문에 진행하는 힘이 생기고 보드를 내려가는 방향에 수직으로 긁을 수 있죠. 슬립은 왼발과 오른발의 엣지가 동일한 마찰력(즉 같은 기울기)을 가지면서 눈을 긁는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드는 회전하지 않고 내려가는 방향에 수직으로 계속 긁히죠.

 

슬라이딩은 앞발과 뒷발의 마찰력이 차이가 나면서 긁히는걸 말합니다. 사이드 슬립을 하고 있다고 해보죠. 일정하게 내려가고 있는데 이때 보드를 비틀거나 혹은 한쪽 발을 살짝 각도를 죽이면, 즉 보드가 비틀리면서 긁히고 있는 엣지의(힐사이드면 힐엣지)마찰력이 양발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마찰력이 작은 쪽이 먼저 진행하면서 보드가 회전하게 됩니다. 슬라이딩턴의 원리은 이것입니다. 이때 보드의 비를림을 만드는것이 로테이션, 피벗팅, 스티어링이라고 불리는 기술입니다. 상체 로테이션을 해보면 한쪽발 앞꿈치나 뒷꿈치가 내려가는걸 느낄 수 있습니다.

 

홀딩은 보드의 비틀림없이 다만 슬립처럼 진행방향에 보드를 긁으면서 설면을 지나가는 것이 아닌 방식으로 보드 엣지와 설면이 관계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3가지 방법중에 가장 마찰력이 작은 방식이겠죠. 기본적으로 특수한 경우나 기술을 위해서가 아니라면 데크에 비틀림은 주지않으려고 하는 상태에서(그래도 비틀립니다) 설면에 눈벽을 만들면서 그 눈벽을 타고 지나갑니다.  비기너카빙이 기울기만 사용하는 카빙인 이유는 이런 이유에서이죠. 로테이션, 즉 데크의 비틀림을 능동적으로 만들지 않습니다. 

미니저그

2022.03.17 21:46:35
*.235.24.235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811
234924 전향각으로 스위치 ㅠ [13] 알라야스키 2014-12-05 1206
234923 대두(전역모62)+앞뒤튀어나옴+얼굴도큼 -> 헬멧과 고글 추천부탁드려요? [2] 허걱사람살려 2014-12-05 1206
234922 신장 170 그라운드트릭 데크길이 [4] 영진 2014-10-13 1206
234921 매트릭스이스케이프!! [7] 이남규 2014-10-06 1206
234920 슬림핏바지 추천좀부탁드립니다. [22] 스캇지누 2014-09-30 1206
234919 트릭용 데크 길이 질문이요 [11] 에이스톡 2014-04-04 1206
234918 대전에서 휘닉스/용평/하이원 다니시는분~~ 시즌버스가 리무진인가요?? [5] 추_남 2014-01-27 1206
234917 곤지암 휘슬 완전히 열었나여? ( 어제까지 반쪽만 열었던데) [3] 곤지암 2011-12-13 1206
234916 헬멧안에 비니쓰는거요~ [3] 헬멧안에~ 2011-09-21 1206
234915 하이원인가 용평인가 아~~ 고민입니다. [7] 호암 2011-03-21 1206
234914 엉덩이 보호대... 아프지 않을 용도가 아니라면 굳이.. [30] 흠냐 2010-11-12 1206
234913 보호대 관련.... 추천쩜^^ [27] 호야_1017527 2010-11-01 1206
234912 여러분은 고글 언제쓰시나요? [45] 오징어따콩 2023-03-20 1205
» 카빙턴 슬라이딩턴 차이점?? [26] 미니저그 2022-03-13 1205
234910 전향 베이직 다운자세가 안돼요 file [14] 사책 2020-12-10 1205
234909 쓰락시스 신고 다운하는건 어찌하나요...? [28] 이웃집또털어 2020-01-08 1205
234908 힐턴 털리는 이유는 보통 뭐 때문인가요? [11] 보드재밌어? 2019-12-13 1205
234907 덕스탠스는 원래 힐턴이 원을 그리기 힘든겅가요? [3] 호로롤롤 2019-02-09 1205
234906 1718 말라뮤트 바나나가 없나요? file [6] 하이원광식이형 2018-05-14 1205
234905 긴급! 휴게소에서 셔틀버스 놓쳤습니다 [18] 뉴타입피씨 2018-02-11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