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초보보더가 바인딩 각도에 대해 문의드려요
제가 아무것도 모를때, 막보드셋이라고 올라온 장비를 사서 약 4년때 타고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겨우 업다운 좀 어설프게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왔는데요.
이제와서 장비를 살펴보니.. 완전 막보드는 아니였고, 나름 K2의 중급자용 세트더군요..(꽤나 말랑말랑한 데크;)
이 중에 바인딩이 고장나서... 바인딩을 하나 새로 장만하려고 보니........
바인딩 각도가 16, -16 으로 되어있네요 ;;;
좀 잘타는 친구가 이렇게 타면 무릎 안아프냐고 물어보는데..... 그렇진 않거든요. 이렇게 계속 턴도 해왔고 ;;
지금이라도 각도를 좀 줄이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이 각도대로 새 바인딩도 고정해서 타는게 좋을까요~?
이렇게 양 옆으로 잔뜩 벌어진 각도는.. 어떻게 탈 때 쓰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트릭할때 이렇게 하나요~?)
작은 지식이나마 저 같은 초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위에분 말하신데로 16도는 없습니다. 15옆에 한칸 더가셔서 16도라고 생각하시는 거 같은데
제 생각에는 18 -18로 타시는 거 같네요. 바인딩 각도는 자기가 편한데로 타시면 됩니다.
괜히 남들은 이렇게 탄다더라 하고 바꾸시면 오히려 적응안될 수도 있습니다.
저도 k사팔육사사사님처럼 15 -12 탑니다.
18 /-18 정도의 덕스탠스는 솔직히 문제가 있는 스탠스로 보여집니다.
의견이 분분하긴 하지만 통상적으로 15 / -15 그러니까 30도 이상 벌어져있는 스탠스는 무릎에 매우 안좋다고 합니다.
많은 라이더들이 15/ -15 정도의 과격한 덕 스탠스로 타다가 무릎 부상으로 스탠스를 줄이는 경우도 많이 봐 왔습니다.
물론 그게 맞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는군요 개인차 이긴합니다.
15 / -15 의 스탠스로 보드를 타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트릭시 자신의 스탠스에서 스위치 ( 자신의 반대스탠스, 레귤러이실 경우 구피스탠스) 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경우에 안정적으로 스위치 라이딩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막상 15 / -15 라고 해서 잘 안되던 스위치 라이딩이 더 잘되고 하는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결국은 연습량의 차이죠.
더군다나 지금 초보라고 하시니 굳이 그런 과격한 덕 스탠스는 도움될게 없다고 봅니다. 스위치 라이딩을 거의 안하실테니까요.
지금은 괜찮을수도 있지만 계속 누적되다보면 어느순간 무릎에 이상이 올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15 / -12 이하의 스탠스를 추천합니다. 나중에 무릎때문에 고생하실 가능성을 줄이는게 좋겠죠.
저는 15 / -9 로 타다가 지금은 15/-6 으로 탑니다.
후와... 과학이론에서나 있을 정확한 덕 이네요...
양손이 있어도 한손을 많이쓰고 양발이 있어도 한발을 많이쓰고,, 양눈이 있어도 한쪽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15, 0 으로 시작해서 자기가 편한 각을 찾지만 라이더 본인이 지금각이 편하시다면
계속 사용하셔도 될거에요...
근데 목적이 스위치 라이딩 이신가요?
저 각의 목적이 스위치 라이딩시 로스가 전혀 없는 각으로 알고 있고요..
라이딩 자세는 고릴라 자세가 되야 이론에 부합합니다..
그런데 이 자세가 중급 이상은 되어야 하고 스위치 카빙은 고급기술 인데요
그리고 어차피 스위치를 한다고 해도 연습으로 카버할 수 있습니다.
초보분이 과도한 덕으로 하게되면 무릎을 벌려서 타게 되서 자세가 조금 보기 안좋고
턴 연습시 들인 노력에 비해 성과가 적게 나올수 있고 나중에 프레스를 연습할때는
엄청 고생하실겁니다...
일단 반나절 정도 18, 6 정도만 해서 연습해보세요,,
그리고 18, -6 정도로 연습해보고 다시 18 , -18로 해보세요
그리고 참고로 각도도 중요하지만 스텐스(바인딩 거리)도 확인해 보시길 권합니다..
모라고 말해야 할지 16-16 각도가 나오나요 ? 홀수로 각도는 나옵니다 한칸에 3도씩 나와요
각도는 주는건 레쿨러 쿠피 양쪽 다 타기위해서 주는 겁니다 일단 각도 정답은 없고요
자기가 편한 각도로하시면 정답입니다 난 15-12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