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요즘에 슬턴을 연습하고있는데요. 생각이 드는게 뒷발차기랑 거의 동작이 비슷하잖아요.

 

그럼 그 둘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나요?

 

 

 

 

내려가는건 빼고 움직임만 기준으로 

 

그냥 생각이 들기론

 

 

뒷발차기는 메트로놈 똑딱이 와이퍼 이런거처럼 노즈가 거의 고정이고 뒷쪽만 왔다갔다

 

슬턴은 노즈가 옆쪽으로 어느정도 진행하는 느낌인데

 

 

좀 더 생각해보니 저걸 매우 숏으로 줄이면 결국 노즈가 한점으로 귀결되는데 그게 뒷발차기와 뭐가 다른건가 싶기도하고...

 

 

 

 

 

엮인글 :

아씨랑돌쇠랑

2024.01.04 17:50:41
*.62.212.140

뒷발차기 하지마라는 건 턴할 때 시선, 로테이션, 스티어링 등등 정석적인 기술을 익히는데 방해되니까 주의하라는 거 같아요.

퀵고스트(실력없이매년나이만)

2024.01.04 17:58:35
*.255.124.70

프리스타일을... 너무 따지는 듯요....  (글쓴님 말고요....)

우럭아왜우럭슬퍼서우럭

2024.01.04 18:01:51
*.54.46.23

제가 보드를 배울때 뒷발차기는 카운터 로테이션이었어요.

 

설명하자면 상 하체가 꼬인상테로 풀면서 그 반동을 이용한 모션이 카운터로테이션 이었어요. 네 뒷발차기요.. 슬턴하고 차이가 확실합니다.

山賊(산적)

2024.01.04 18:02:58
*.101.196.178

뒷발차기만 잘해도 각 스키장 최상급을 내려오는덴 지장이없던군요.물론 모양새는 안나오지만요ㅋㅋㅋ
그래서 전 시간들여서 슬라이딩턴을 배우기보단 뒷발차기를 더 연심히 하기로 했습니다.
그시간에 다른거 할것도 너무 많다는..파크 그트 스키 등등

개카빙

2024.01.04 18:29:56
*.62.212.45

로테이션 차이요 ~~

수용성

2024.01.04 18:37:24
*.14.85.157

위에 적어주신 좋은 내용들이 많아 숟가락 얹어 보자면..
뒷발차기에 슬라이딩 턴 에센스의 일부가 들어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뒷발차기를 업글하는 방식으로 슬턴을 배운지라 둘이 비슷하다고 생각 하긴 합니다만 큰 차이가 있습니다. 뒷발을 차더라도 확실히 노즈를 눌러 전중후 무게이동을 통해 보드를 회전시키고 휘어서 프레스를 발생시켜 초승달 궤적을 그린다면 슬턴이라고 할 만 하겠지만, 위에 언급한 요소들 없이 그저 뒷발차기만 한다면 범프를 만나면 넘어지기 급급한 불안한 라이딩이 될 거에요.

나링

2024.01.04 21:13:26
*.234.195.151

노즈부분은 움직임이적고
테일부분만 왓다갔다...
데크 테일이
\/.움직이느냐..뒷발차기


노즈움직임이
4시5시6시(폴라인)7시8시 다시
8시7기6시(폴라인)5시4시 으로 움직이느냐?
그리배웟던거같아요 슬턴

모미지

2024.01.04 23:22:34
*.234.206.102

보드는 전륜구동 아니면 적어도 4륜 구동으로
스티어링해야 하고 숏턴은 노즈 먼저 토션주고 전경, 중, 후 이렇게 전륜구동이 선행되고...
뒷발차기는 후륜구동이 되어 버리는 거 아닐까요 ㅋ

AliasX

2024.01.04 23:45:24
*.130.137.75

용평 랜보 급사가서 해보세요. 그게 쉽게 되나 ㅋㅋㅋ

늦은밤하늘

2024.01.05 00:22:03
*.138.30.13

일반 뒷발차기의 경우에는 뒷발을 이용해서 턴의 방향을 바꾸고 엣지 체인지를 하거나
로테이션을 했지만 턴이 제대로 진입하기 전에 뒷발로 데크의 방향을 억지로 변경하는 경우 인 것 같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급사 생존보딩으로 일부러 뒷발을 차 브레이크를 걸면서 타는 경우도 있어서 잘못되었다기보다는
초창기에 제대로 로테이션과 엣지체인지를 이용한 턴을 이해하기 위해서 제한하는 느낌입니다.

슬턴은 전경으로 로테이션이 먼저 들어가서 엣지 체인지가 된 다음에 후경으로 밀어주는데
아무리 숏턴을 친다고 하더라도 슬턴과 뒷발차기는 디테일하게 턴 진입하는 로테이션을 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슬턴 잘하시는 분들 고속 숏턴도 슬로우로 보면 그 짧은 숏턴에도 순서대로 로테이션이 다 들어가있더라구요. 

초급11호봉

2024.01.05 00:52:02
*.193.23.233

추천
1
비추천
0

하체나 상체로, 혹은 상체와 하체가 동시에 회전력을 일으키는 로테이션이 있고 상체와 하체가 서로 반발하는(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카운터 로테이션이 있습니다. 말씀하시는 뒷발차기가 카운터 로테이션이구요, 갑자기 제어를 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앞에 장애물이 나타날 때 멈추거나 좁은 슬롭에서 컨트롤 할 때 처럼요. 

다만 슬롭 난이도나 눈상태에 따라 턴 모양과 크기를 다양하게 해서 라이딩 해야 할 경우 뒷발차기만으로는 상당히 제한적입니다. 윗분 말씀처럼 급사에서는 더더욱 힘들테구요. 그냥 재미로 초중급에서 라이딩하신다면 몰라도 좀 더 높은 수준의 라이딩을 원하신다면 좀 더 시간을 투자하셔서 하체 로테이션 연습을 하시면 어떨까 싶어요. 저의 경우 뒷발차기가 습관이 되어서 교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소리조각

2024.01.05 09:55:04
*.104.11.106

추천
1
비추천
0

뒷발차기: 카운터 로테이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슬라이딩턴: 로테이션을 이용한 슬라이딩이 기본임

 

슬라이딩턴을 배울때 뒷발차기를 경계하는 이유는 뒷발차기가 근본적으로 카운터 로테이션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테이션을 이용한 턴을 배우는데 방해가 되서입니다.

 

슬라이딩턴은 로테이션을 통해서 턴을 시작하고 업다운을 통해서 엣지체인지를 이루어내는데, 턴 중간에 카운터 로테이션이 들어가면 턴과 턴이 이어지는 흐름이 깨져버리고 유연한 턴이 아닌 직진-정지-직진-정지라는 형식의 컨트롤만 하게 됩니다.

 

슬라이딩턴이 숏으로 갈수록 노즈가 고정된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구요. 피보팅이 시작되는 방식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절대로 같지 않습니다. 오히려 슬라이딩턴은 숏턴으로 갈수록 토션을 많이 쓰기 때문에 뒷발차기 습관이 들면 토션을 제대로 쓸수가 없어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사족으로 뒷발차기는 절대 나쁜건 아니구요. 필요한 경우도 있고, 프로영상에도 뒷발차기 종종 나옵니다. 파크에선 스피드 체크할때 전부다 뒷발차고 있구요... 급사에서는 어설픈 슬라이딩턴보다 확실한 뒷발차기가 더 사고의 위험을 줄여주죠.

 

(소리조각)

토턴힐턴뉴턴

2024.01.05 10:20:10
*.7.46.244

https://youtu.be/2Zj0ZJGEkew?si=9JtDsaqGj2fFjonh

9분22초부터 봐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838
250739 플럭스 xv 하이백 부품구입 [6] 카빙우예하노 2024-01-06 202
250738 부츠 손상 관련 붓아웃 문의 file [2] gkfnz 2024-01-06 260
250737 전향각 낮은 bbp 팁좀 주세요 [5] 아마추어보이 2024-01-06 382
250736 곤지암 시즌권 이용내역 왜안되는걸까요..? file [1] 송비 2024-01-06 221
250735 장비고민중입니다 [11] 생긋방긋 2024-01-06 333
250734 보린이 입문용 장비 도와주세요 ㅠㅠ [4] 보사장 2024-01-06 199
250733 여기 스키장 어딘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3] 초보보보보도더 2024-01-06 498
250732 최상급, 상급 슬로프 동전줍기 질문입니다.(고인물,굇수분들 환영합니다.) [17] 카빙과커피... 2024-01-06 655
250731 급사 질문입니다.(전향 카빙 다운,외경, 리바운딩) 팁 좀 부탁드립니다. [8] 카빙과커피... 2024-01-06 519
250730 중고로 구매하려는데 두개중 뭐가나을가요? file [8] 기팔 2024-01-06 416
250729 이 데크는 사망인가요..ㅠ 트릭하다가 상태 봐주실 고수님 찾습니다 file [5] dajksda 2024-01-06 563
250728 입문용 장비 도와주세요 ㅠ [8] 보사장 2024-01-06 166
250727 데크 길이 어렵습니다 ㅜㅜ [16] 기팔 2024-01-06 360
250726 입문용 1년짜리 막보드로 버즈런 어떤가요? [5] 이안정 2024-01-06 236
250725 타입알에 플럭스 xf or xv 둘중 뭐가 더 잘 맞을까요? [3] 훈남병찬 2024-01-06 310
250724 아믹스 어그레서 데크 길이 질문 [2] 토오오 2024-01-05 107
250723 스미스메이즈 세나 [1] 안녕하쎄오 2024-01-05 182
250722 플럭스 바인딩 L사이즈 270도 맞나요? [2] 훈남병찬 2024-01-05 156
250721 하이원, 휘팍 말고 아이랑 놀러가기 좋은 스키장 추천좀요!! [4] 눈밥123 2024-01-05 213
250720 보드홀릭vs리다키스 [1] 보사장 2024-01-05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