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마지막으로 스키장에 갔다 왔습니다.


급경사 슬로프에 전에 봤던 보더분이 여전히 슬라이딩턴으로 내려 오고 있더군요.


전에 한번 만났을때 

자기가 원하는 슬로프에 되던 안되던 

스탠스 앤 발란스와 피봇 그리고 엣징에 신경을 쓰고  등등 에 빠따띠.....



이번에 뵈었을때도 제가 시범을 보이면서 카빙이 가능한 슬로프로 만들라고 했는데

헝글 칼럼에 슬라이딩턴 익히면 카빙이 쉽다 라는 글을 읽었고 댓글이 모두 동조하는 댓글 이라고 하네요.

슬라이딩턴은 상체를 과하게 돌림으로써 만들어지는 드리프트입니다.

턴이 이루어질때 어느쪽이 더 강하면서 섬세한지를 생각해보세요.

솔직히 남의 자세가 어쪼ㅓ니 뭐니 웃깁니다. 원리만 알면 나머지는 자기 몸이 알아서 맞춰줍니다.


카빙턴을 할 수 있는 슬로프에서 슬라이딩턴 익히기

슬라이딩턴이 가능한 슬로프에서 카빙턴 익히기 


어느쪽이 더 후자를 쉽게 익힐 수 있을까요?


너무 과도하게 슬라이딩 턴만 하는 모습이 전 이건 아닌데 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본 보더들의 카빙턴을 보면 구력이 대단한 듯 합니다.

모든 에지체인지가 골반밑에서 이루어지네요. 데크를 넘김에 단숨에 그리고 강하게 에지를 박을때

중심이 이미 하체에 있습니다.

이건 구력에서 나오는 내공이죠.  아마 대부분의 보더들이 저렇게 탄다면 에지체인지후 강하게 엣징이 안되어서

턴이 터져버릴거라고 생각합니다.  


에르큘 보더...

강한 보더 라는 프랑스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강조한 말입니다.

다니엘 프랑크를 휘면서 급경사에서 카빙턴으로 내려오던 선생님들.


특히 카빙 내공을 연마하는 분들은 미디엄 라디우스 턴 (미들턴)에 신경써 주세요.

로테이션보단 데크를 휘어서 라디우스를 줄여주는데 신경쓰세요. 로테이션 너무 많이 주면

턴에서 스키딩 납니다. 강한 스티어링으로 생기는 카빙시의 스키딩은 나중에 배워도 됩니다.

스윙앤 글라이드도 나중에 익혀도 됩니다. 관광보다는 강하게 크시길..

 

그리고 추천해주는 어느 분 의 영상을 봤습니다.

저보다 나이는 어리지만 정말 잘 타는 대단한 보더더군요.

그 분은 훗날 진정 라이딩 이라는 쪽에선 전설이 될 만한 보더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제 생각, 억측 일지도,에 그 분은 스노보드 보다는 스케이트 보드를 먼저 접한 분 같군요.

엮인글 :

말e없는칭구

2011.02.16 10:56:54
*.196.247.195

제목만 보고 리플 달아요... 사는게 먼저 입니다 ;;

악플레이™

2011.02.16 10:57:49
*.232.115.252

 

헉, 자게에서 이런 진지한 보드 이야기를;;;;;;;;;

블랙맘바

2011.02.16 10:59:28
*.98.133.109

원포인트 한번 받아보고 싶네요 ㅠㅠ

가리 

2011.02.16 10:59:52
*.149.95.30

기사님 토론방으로 가주세요~

꿈틀이/이휘

2011.02.16 11:00:22
*.232.124.108

어느분 동영상인가요?

저도 안계를 넓히고 싶어요.

알려주세요~

전투보더얌

2011.02.16 11:01:30
*.50.21.21

이제 스키장 안가신다는거죠?

꾸뎅

2011.02.16 11:03:02
*.243.254.15

진지하게 원포인트 한번 받아보고 싶습니다... 베어스가 어디신지요...


부담스러우시다면 보드복은 어찌 입으시는지요...


찾아가서 어깨넘어로라도 좀 배우고 싶습니다...

보노보더

2011.02.16 11:02:48
*.138.183.90

지난번 글에 이어 꼼꼼히 읽었습니다. ^^;;

저같은 초보에겐 도움이 되는글~~ ㅎㅎ

저도 개인적으로 어떤게 옳은거다라 생각하지 않네요. 자신이 잘 소화하는게 관건이라는데 동의!


저도 영상 좌표 알고 싶습니다.

CABCA

2011.02.16 11:17:48
*.43.209.6

잘 읽었습니다.

 

시즌에 세번 갈까말까한 저로서는..

 

그냥 슬로프 가는 것만해도 신나요~~ ㅎㅎ

개미와 목주름^^

2011.02.16 11:24:40
*.126.31.81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영상 좌표 좀 알려주시면 보고 싶습니다 ..

김션

2011.02.16 11:26:18
*.110.153.158

와우 알수 없는 전문용어들이 제 눈을 콕콕 찌르네요 ㅠㅠ

 

쉽게 얘기해주실순 없으신가요 ㅋㅋ

살살타야지

2011.02.16 11:27:05
*.39.251.34

전 디지같은 급사에서 살아서 멀쩡히 내려가는게 더 좋음..

 

무리해서 카빙하다 한방에 훅 가고싶지 않습니다 ㅋㅋ

Denis.Kim

2011.02.16 11:29:07
*.148.251.188

저도...슬로프라는걸 한번 찢고 싶지만......항상 눈만 쓸고 있네요...ㅠㅠ

수림아빠

2011.02.16 11:43:09
*.126.136.142

오로지 카빙만을 위한 라이딩 이라면 모르겠지만 상급에서 슬라이딩턴으로 내려오던 카빙으로 내려오던 그게 문제가 될게 있나요? 전 본인이 편한대로 즐기면서 타는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편하게 즐기기 위한 연습은 필요하겠죠.

으쿄랴라

2011.02.16 12:09:42
*.124.195.85

경사가 있는곳에서 카빙하면 사람들이 무서워 해서...;; 실제로 위험하기도 하구요.

 

저도 가급적이면 슬라이딩으로 내려오다가 사람 없는 구간에서 카빙으로 내려옵니다.

 

일단 안전이 제일이니까요.. ^^;;;

ㅇㅇ

2011.02.16 12:18:29
*.142.188.87

솔직히 왜 그렇게 카빙에 목메야 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그럴꺼면 알파인을 타는게 맞지 않나요? (알파인보더라면 할말 없습니다만)


우리나라 슬롭 컨디션상 카빙에 매진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인건 이해를 하지만...

자기가 추구하는걸 남들이 안 한다고 해서 그걸 매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뱅뱅™

2011.02.16 12:33:37
*.128.71.12

전 홍대건축님 말씀에 궁극적으로는 한표 던집니다.

 

슬라이딩 가능한 곳에서 카빙은 힘들어도 카빙되는곳에서 슬라이딩은 쉽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스키장 현실 특히 먹고 살기 바빠서 주말에나 보드장 찾아갈 수 있는 저같은 헝그리보더에게는

 

슬라이딩턴도 필요한 기술이고 이왕 할거면 멋드러지게 하고픈 마음도 큽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라디우스가 뭔가요?

 

저도 경사가 비교적있는 곳에서 카빙할 때(대명 기준 테크노2) 미들턴 만들기가 너무 힘들어요

 

롱턴은 당연히 제일 쉽고 숏턴보다 더 힘들어요 진짜 너무 힘들어요 팁이라도 좀 주시면 땡큐베리감사~

셜군

2011.02.16 12:39:24
*.222.21.35

일반적으로 라디우스는 반지름.

 

홍대건축님이 말한 라디우스는 턴 회전반경의 R 값을 말하시는거 같네요.

뱅뱅™

2011.02.16 12:45:30
*.128.71.12

아 답변감사합니다.... 턴반경을 라디우스라고 하는군요..... 턴반경을 줄이는게 엄청난 곤욕인데....

 

미들턴 힘들어서 못살것습니다...

CABCA

2011.02.16 13:11:05
*.43.209.6

radius 입니다.

블루~☆

2011.02.16 13:06:01
*.244.221.1

R -> 제가 생각하는게 맞다면 캠버와 사이드컷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라인. 인거 같네요.

거기에 사용자의 내공에따른 프레스가 가미되면 ...

답답

2011.02.16 22:57:13
*.141.12.153

평지에서 낙엽하는게 더어려우니 낙엽이짱인가요

나는감자

2011.02.16 13:02:58
*.226.222.9

<p>스키딩 이 뭐예요?


</p>

kucky™

2011.02.16 13:41:19
*.171.102.93

흔히 말하는 슬립입니다...

어디에서는 스키딩이랑 슬립이랑 좀 차이를 두는거 같은데..


결론적으로는 둘다 미끄러지는겁니다..;;


단, 의도적으로 미끄러지냐, 아니면 컨트롤 하지 못하고 데크에 끌려 미끄러지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블루~☆

2011.02.16 13:08:01
*.244.221.1

디지에서 카빙턴 속도체킹없이 쏘다가 힐턴 터져서 패트롤 탓었어요...ㅋ

덕분에 무릎 돌아가서 시즌접을뻔..

 

제 생각에 실력에 맞는 슬로프선택도 중요하지만 슬로프 상황에 맞는 턴의 선택도 중요한거같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종류턴만 하고 내려올건 아니잖아요~

 

그래도!

역시나 안전이 최고인거 같네요.

존재감

2011.02.16 13:12:33
*.143.140.34

여기오는분들이   글쓴분이 얘기하는 프랑스학교 학생들도 아니고

 

그냥 자기 타고 싶은대로 타면 되는겁니다. 조언을 해줘도 강요는 좀 아닌듯

 

그리고 진짜 뭐가 먼저다 얘기하고 싶으면 누구나 칼럼같은곳에 저같은 초보자들도

 

알수 있도록 칼럼 한줄 써주세요.

레이서딴

2011.02.16 20:11:54
*.219.55.2

제게는 많은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blackberry

2011.02.17 00:18:44
*.143.85.195

올해부터 슬라이딩턴 및 카빙숏턴을 연습하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만족할 만한 시즌을 보냈다고 생각이 되네요. 그 무섭던 디지 슬롭도 편안하게 내려올 수 있고......

헌데 절대 롱카빙이 안되더군요. 겨우겨우 해도 디지 급경사 부분을 중간정도는 내려와야 시작할 마음이 생기더군요...

분명 똑같은 슬로프인데 슬라이딩턴할때와 롱카빙을 할때의 그 느낌의 차이란 정말 감당할 수가 없더라구요.

극적으로 올라가는 속도, 슬로프의 굴곡에서 오는 반동, 에지에서 느껴지는 스키딩 하나하나에 정말 마음졸이며 겨우겨우 몇 턴하며 내려와서야...자세고 나발이고 무사히 내려왔다는 안도감에...내려온 라인 보면 스키딩으로 라인폭이 10cm는 될듯하고...휴...


다행스럽게도(?) 올 시즌에 솔로보딩의 기회가 되서 하루종일 디지와 밸리를 오가며 연습하고 얻은 결론은...


아직 내 실력으로는 디지를 정복할 수 없다는 것...


시즌 며칠 안남았지만 연습메뉴를 다시 짰습니다.

1. 밸리상단에서의 J턴 연습을 통해 힐턴에징의 감각과 자세를 교정하고

2. 밸리상단의 모글에서도 '깔끔한 라인이 나오는' 카빙이 가능할 때까지 밸런스와 프레셔컨트롤을 익힌다

3. 카빙숏턴은 더이상 하지 않는다. 오로지 미들턴 연습이다.


연습메뉴를 통해 힐턴에서의 자세를 많이 바꾸게 되었네요. 덕분에 초급자슬로프에서 저속으로 카빙을 해도 2~3M의 반경을 가진 깔끔한 턴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미들턴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되었네요. "프레셔!"


이래서 매시즌이 지나도 보드를 못끊는듯 합니다. 슬라이딩턴 우선. 카빙턴 우선. 급사에선 무슨 턴을 하고. 누가 더 고급스킬을 구사하네 마네...다 좋습니다. 결론은? 보드는 혼자타는 거죠. 자기가 타고싶은 스타일이 있고 그대로 타면 되는겁니다.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에 맞게 스스로 연습하고 자기만의 라이딩을 완성해 가는 재미. 이게 제가 보드를 타는 이윱니다. 이번주도 저는 상급슬로프에서의 카빙을 노리며 휘팍을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2] Rider 2017-03-14 43 309747
18076 여성호르몬 분비... [13] 보노보더 2011-02-16   670
18075 용평논스톱시즌권(대구)...이딴식으로할꺼면....하지마 [5] 숀사돈에팔촌 2011-02-16   834
18074 밑에 랩퍼얘기 나왔으니까 산뜻하게 아이돌 한번 가죠~ [18] ASKY 2011-02-16   616
18073 "사랑이 귀찮아질만큼 사는게 버거운 정도" [20] 나이키고무신 2011-02-16   1172
18072 봄봄봄봄 봄이왔어요 file [12] ㄷㅌ 2011-02-16   602
» 어느 급사 슬로프를 공략함에 있어 카빙턴이 먼저냐 슬라이딩턴이... [28] 홍대건축 2011-02-16   1723
18070 내년 시즌을 언제 기다리나여..ㅋㅋㅋㅋ [11] 테라77 2011-02-16   504
18069 [이벤트] 발렌타인데이 초콜렛 안받으신분!! [83] 정은영  2011-02-16   712
18068 2월15일 [14] 보노보더 2011-02-16   483
18067 꿈이야기(재미없음) [3] 꿈꾸니 2011-02-16   348
18066 일이 하기 싫고 ....의욕이 안생깁니다. [3] 영계소문 2011-02-16   446
18065 1주년 됐어요 ^-^ [31] 상어형님 2011-02-16   622
18064 회식이 힘든 [23] Dave™ 2011-02-16   504
18063 언제부터~~ [15] 로또 2011-02-16   404
18062 이번 시즌은 버린 시즌... [16] 말e없는칭구 2011-02-16   509
18061 국내 랩퍼 이야기.......................... [47] Gatsby 2011-02-16   1458
18060 시즌권 검사.. 왜 저만 하세여 ㅠㅠㅠㅠ [16] 흰둥이v 2011-02-16   951
18059 기분좋은 아침입니다 !!! 아아앙~♡ file [59] Destiny♡ 2011-02-16   937
18058 어제 메카닉 봤어염! [6] 하늘푸른 2011-02-16   508
18057 동생 졸업선물...........줘야될까요옹? [16] 김션 2011-02-16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