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이제 머지않아 결혼을 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함께 하이마트에 갔다가 티비를 구경하고 있는데

 

참으로 많은 종류들이 있더라구요..3D까지 ....ㅋㅋ

 

눈이 참으로 호강하는 시대로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저 종류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구요..

하이마트에 갔다왔는데 전시상품은 할인이 많이 되던데... 이런 물건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

엮인글 :

방군

2011.04.04 21:58:42
*.208.244.42

pdp의경우 전력소모가 심하구요..

led의경우는 아직 가격 거품이 심하더라구요..

그래서 전 lcd 구매했어요..

s(불사조)z

2011.04.05 08:03:11
*.160.98.200

pdp 전력 소모가 크다는 말은 이제 통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이젠 전기료 차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럭셜보더

2011.04.04 22:08:00
*.103.42.159

예전엔 pdp 전력이 엘시디 비해 차이가 있었지만 요즘엔 신경쓰지 않아도 될정도라고 알고있구요

 

추천한다면 엘시디 led보다는 조금 기다렸다 3d 티비가 좋을꺼 같구요 엘시디 추천합니다

경희야~♡

2011.04.04 22:27:22
*.12.218.13

화면크고 저렴한거로 사세요.

새파랑

2011.04.04 22:36:38
*.160.37.83

차후 전기세를 생각하시면 led 지 말입니다.

아직 가격이 좀 비싼게 흠;;;

우선 아는데로 차이점 PDP는 전기세 장난아니게 나감, 요즘 가격 많이 다운됨, LCD는 PDP에 한 1/3 정도일듯

화질은 LCD에서 흑색인가 뭔가 표현 약해 PDP화질이 좀 더 나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러나 PDP는 TV안나오면 그냥 버릴 생각하시는게 좋아요. 브라운관 같은 거 통째로 갈아야하거든요.

LED는 현재 가장 최신품으로 가격은 좀 비싸지만 전기세가 PDP에 비해 1/7 정도 일거예요.

크고 화질 좋고 전기세까지 절약되면... 그런데 판매가가 ㅎㄷㄷ ㅎㅏ 죠~

제가 신혼으로 준비할 거면 오래 쓴다는 가정하에 LED로 가겠어요.

TV는 중요하잖아요 ㅋㅋㅋ

EcoDrive

2011.04.04 22:47:43
*.10.148.73

PDP 를 전기세 및 발열로 운운하는건 차라리 언급을 안하셔야 중간을 가시는 겁니다;;;

 

보통 일반 찌라시(?) 제품 스펙 등등을 보면 PDP는 최대 전력 (  쉽게말해 허옇게 제일 밝게) 을

 

측정시만 최고로 나오는데 당연히 LCD 등은 평균전력으로 치죠 ㅎㅎ 마진이 많으니...

 

전기세요? PDP, LCD 거기서 거깁니다. 발열요? 2-3시간 켜둬두 뒤에 만져보면 그냥 따뜻한 정도...

 

뭐 브라운관 TV 보단 덜한편???

 

장단점이 틀립니다 PDP는 장시간 시청시 눈이 편하고 영화 및 스포츠 관람시 잔상이 없어 일반 사용도가 높죠

 

단점은 역시 번인현상은 아직까지 완벽하게 해결은 안 되었죠...

 

LCD는 고해상도에 깨끗한 화면을 보여주죠... 대신 잔상은 개선 했다지만 어쩔 수 없고 장시간 시청시 눈 아픕니다.

 

PC및 기타 기기에 자주 연결하면 LCD가 좀 더 낫겠고 그냥 일반 시청이라면 당연 PDP가 좋죠~

 

그리고 LED는 우리 나라에 상용화된 LED TV는 없죠? 백라이트만 LED입니다.

 

LG에서 작년말에 30인치 풀 LED 모니터 런칭가격 보니 1천만원 넘었습니다 ㅡ,.ㅡ;

 

지금 일반 가전으로 파는 LED TV는 제가 알기론 없습니다.

우후스

2011.04.05 11:16:58
*.242.171.24

이분 말씀이 정답입니다

피디피구입자

2011.04.04 23:02:48
*.5.235.74

위에 ecodrive 님의 말씀에 백만표 던지면서 경희야님의 말씀에 천만표 던져봅니다.

엘이디 살 돈으로 피디피 제일 큰 거 사시고 나머지 돈으로 다른 유용한데 쓰세요

처음엔 42인치도 큰거 같지만요. 며칠 안가서 50인치 살걸 후회합니다.ㅋ

그리고 거실이 작은데 큰거 사면 안되느니 눈 버리니어쩌니 하는데요

50인치도 3미터정도 거리두고 영화보는게 젤 좋은거 같습니다.

거실 3미터도 안되지는 않겠지요? ^^

저도 거의 10여일을 고민했던거 같네요. 피디피로 갈까 엘시디로 갈까 엘이디로 갈까를...

결국 피디피로 갔는데요 백번 천번 만족하고 있습니다.

위에님처럼 피디피 사 보지도 않은 분들이 전기세, 발열 운운합니다.

요즘 제품은 전기세 엘시디와 거의 차이안납니다. 많이 안나와요.

또 화질요? 그게 매장에서 나란히 놔두니까 차이나는거 같죠?

집에 갖다두면 저게 피디피인제 엘시디인제 엘이디인지 소머즈눈이 아닌이상 구별도 못합니다.ㅋ

그리고 매장에서는 피디피 일부러 전전모드로 어둡게 틀어논다고 하더군요.

화질이 좀 떨어져보이게 말이죠.ㅋ

 

그리고 피디피 패널고장 운운하는 분들 많은데요

언제적이야기인지...요즘 그렇게 고장 안난다더라고요. 보통 10~13년은 봅니다.

뭐 지금 티비사서 꼭 10년이상 봐야 겠다고 생각하신다면 피디피는 자제해야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피디피를 강력 권장해봅니다.

피디피에 관한 카페도 있으니 후기 많이 보고 제품 구입하세요

 

 

꾸뎅

2011.04.05 00:09:02
*.243.254.15

얼마전에도 비슷한 내용의 글이 올라왔었는데 흠... 그 글에도 리플달았었지만..


50인치 피디피 사용중입니다... 누진세 걱정할만큼 전기세 나오지 않을뿐더러 발열심하다 심하다 하지만


그리 심한것도 아닙니다 몇시간 티비보다가 만져보면 따듯한 정도구요...


같은 크기의 티비를 구매했을때 피디피와 엘씨디의 가격차이면 제가봤을때 못해도 10년간의 전기세는


차액으로 때우고도 남습니다...


참고로 저희가족 3인가족이구요.. 낮에는 집에 누가 없어서 티비를 사용안하지만 아버지 퇴근하시고나면


저녁 7시부터 풀로 켜놓습니다.. 아버지 주무실때도 켜고 주무시고 제가 주무실때 꺼놔도 자다 깨시면 또켜시고 그래요


그래도 전기세 저희집에서는 5만원 이하로 나옵니다... 아.. 저도 퇴근하고나면 컴터 거의 켜놓고 삽니다 ㅡ.ㅡ


전기세 피디피 하나 더 있는다고해서 몇만원이 더 나오는것도 아니구요.. 일반가정이라도 누진세 무서워서


피디피 꺼린다는말 들을때마다  피디피 한번 사용해보고 그런소리하는지 궁금하더군요...

옵션매냐

2011.04.05 09:21:54
*.5.0.5

저도 50인치 pdp를 전년도에 구매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안그래도 전기세 때문에 lcd랑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하이마#에 아는 지인이 있어 물어보니 실상 전기세는 거기가

거기니까 크게 신경 안써도 된다고...

오히려 lcd보다도 장점이 많기도 하다면서 오히려 pdp를 권해주더라구요...

뭐 굳이 단점을 뽑자면 무거운거~~~?ㅋㅋㅋ

근데 뭐 벽에 걸던지 올려놓던지 내가 들고다닐거 아니니까...

이왕이면 모니터 크고 싼걸로 고르심이....ㅋㅋㅋ

암튼 결혼 축하드리고, 그래도 사는 사람이 맘에 드는걸 골라야 하니까 좋은거 선택해서 사심 돼요...

우후스

2011.04.05 11:23:19
*.242.171.24

피디피의 최고 단점은 전력소비, 화질 등등 이런게 아니고, 소음입니다

 

양품이 걸리면 걱정안하셔도 됩니다만, 잘못걸리면 스트레스 많이 받으실겁니다

 

피디피는 최고 350볼트정도의 고전압을 이용하고,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발생된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이므로, 고전압 생성을 위한 트랜스포머, 인덕터, 커패시터등에서 소음이 발생될수 있으며, 가스방전으로 인한 유리기판과 격벽과의 접촉 및 진동으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동일한 화면(PC화면같이 정지화면)을 오래 표시해두면, 버닝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지요

 

개인적으로, 이두개단점만 아니면, 무조건 싸고, 화면큰 피디피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Tyndall

2011.04.05 14:58:57
*.30.15.48

PDP 똥값 됐죠~

똥값이란게 값이 많이 떨어 졌다는 말입니다.

 

왜? 수요가 없으니깐요...

 

TV...무리해가면서 오래도록 볼일 몇번이나 있다고 화질을 따지는지 ㅎㅎ

 

요즘 나오는 TV들 화질은 거기서 거기죠...전문가나 알 수 있는 화질 차이...ㅎ

 

결국은 최고사양 TV를 사더라도 케이블 망이 그 TV 기능을 따라 갈 수 없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좋은 TV 사도 케이블 HD화질로 못봅니다. 정규 채널만 가능하죠...

 

TV는 3D 스마트 TV로 하실거 아니면 그냥 LCD 큰 화면 추천 드립니다.

 

남들 집에 왔을때 TV 화질 보나요?

 

크기부터 봅니다... 

 

 

새파랑

2011.04.05 23:08:26
*.160.37.83

ㅋㅋ 제가 잘 몰랐네요. 좋은 설명이 많네요~ 제 것은 참고만~ ^^;; 민망해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386
44319 전면썬팅 35% 도.. 도저언~~~!? (Tint a Car) [18] 카레맛지티 2011-06-29 3535
44318 노트북 교체 주기 어떻게들 되세요? [5] 월차내고보... 2011-07-30 3532
44317 신차 살때 영맨의 능력은 차이가 많이 나나요 ? [9] 식소장 2015-09-03 3531
44316 은행창구에서 무통장입금할때요 [5] 입금 2014-11-06 3531
44315 19금) 질문이요ㅠ [10] 제일리 2014-05-09 3531
44314 강릉 회 포장 할만한곳? [3] 피타입 2014-01-25 3530
44313 찜질방에서 속옷 입고 지내시나요...? [19] nexon 2013-09-29 3530
44312 반팔 와이셔츠 [13] 하아 2011-05-16 3529
44311 쌀집 계산기 사용법 질문이요 난이도 높음~ [4] 울트라슈퍼최 2010-12-02 3529
44310 전입신고 하면 우편물 이사한집으로 오나요? [10] 스위친 2018-03-21 3528
44309 가죽자켓 세탁 비용 [2] dumber 2013-02-25 3527
44308 크롬 플러스 북마크(즐겨찾기) 추출하는 방법은? [1] ,. 2011-02-24 3526
44307 SK브로드밴드 vs Wii Wifi 연결방법 [1] 스피드™ 2010-11-08 3526
44306 고프로 해상도및 설정좀 도와주세요! [9] 흠;;; 2014-01-07 3525
44305 서초동(남부터미널~뱅뱅사거리인근)에 테니스 배우는곳 있나요? [10] 성우로복귀 2011-11-02 3523
44304 같은 도수의 안경을 맞췄는데 어지러운 경우.. [10] 폭폭 2010-12-02 3522
44303 욕실 변기나 세면기 세면대 샤워기 예쁜거 파는곳 아시는분?? [5] 욕실 2011-07-07 3520
44302 고프로히어로5 블랙 [3] 창원거북이 2016-11-22 3518
44301 스마트키침수ㅜㅜ우짜죠ㅠㅠㅠㅠ [9] 보드짱~! 2015-05-11 3518
» LED, LCD,PDP 이 차이가 도대체 뭔가요? [13] tiger82 2011-04-04 3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