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얼마전에 들었더니 이제 고등학교 졸업생 숫자보다 대학교 모집인원이 더 많아졌다고 하더군요.

 

이제는 꼭 대학교육과정을 거쳐야겠다고 생각한다면 대학에 가는일이 어렵지는 않게 된 셈이죠.

 

물론 인서울, 명문대, 이런것에 집착하는 한 대학생은 여전히 대학에 호구로 보일수밖에 없지만요...

 

 

 

반값 등록금 때문에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보니 도대체 어디부터 잘못된건지 감을 잡기도 어렵더군요.

 

물가가 오르니 먹고살기 힘들고,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가 안좋다보니 되도록 정규직이 되길 원하고,

 

어쨌든 정규직으로 취업을 하려면 대학교, 그것도 명문대일수록 유리하다는 인식은 아직 남아있고,

 

학력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다보니 이젠 대학 나욌다고 큰 메리트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그러다보니 점점더 명문대에 집착하고,

 

대학은 학문을 가르칠 생각보다 취업률을 올릴 생각만 하는 직업학교가 되어가고 있고,

 

그러다보니 인문학 등 순수학문은 외면당하고, 기본적인 철학이나 윤리의식이 결여된 사회가 되가고 있고,

 

순수학문이 외면당하니, 결국 국가경쟁력의 근본이 되는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도 줄어가고 있고,

 

대학은 연구실에 투자하기보다 겉보기에 화려한 건물올리기에만 급급하고...

 

그러다보니 모아둔 돈은 수십조원이 넘어가는데, 등록금은 1년지나면 무조건 인상...

 

 

 

모르겠습니다... 도대체 교육정책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지...

 

사람이 올바르게 살기보다는 잘사는것에 더 가치를 두는 풍토때문인지

 

돈많은 사람은 영웅시되고, 착한사람은 바보 취급당하는 이런 일이 너무 싫어지네요...

 

 

 

개인적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좀 뜯어고쳐야 되지않나 싶습니다.

 

대학은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는 곳이 아니라, 학문을 하기 위한 곳입니다.

 

물론 법관이 되고 싶어 법학을 공부한다거나, 과학자가 되고 싶어 공대에 가는 경우도 있지만,

 

원론적으로는 회사에 취직할때 이력서에 OOO대 졸업 이거 한줄 쓰려고 가는곳은 아니죠.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정규직으로 취직해서 결혼하고 애낳고 사는데 문제 없다면,

 

과연 학력 인플레이션이 이정도까지 치솟았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대학에 가는 비율이 적어지면 정부에서 충분히 교육비지원도 가능할거구요...

 

학력수준이 하향평준화되는 것을 우려하시는분도 있으실지 모르지만,

 

이미 학력과 국가경쟁력 사이에는 그렇게 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중론이고,

 

개인적으로 지금 대학생들 중 50%는 고졸학생과 별차이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저희 사무실에도 고졸 사무보조보다 일 못하는 대졸 많습니다.

 

그리고 서울에 있는 학교들 캠퍼스 왠만하면 다 옮기라고 하구요. 땅값 싼데로

 

서울에 사람이 너무 많이 살아요... 물론 직장때문에 사는 사람들이 더 많겠지만,

 

교육때문에 서울을 못떠나는 사람도 많을겁니다. 그리고 그 교육이라는 게 대부분 대학교 때문이죠.

 

명문대는 좋은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어야 명문대지, 서울에 있어서 명문대가 아닙니다.

 

명문대 지방캠퍼스보다 서울안에 있는 중위권 대학이 더 인기있다는건 뭔가  이상한거죠. 아닌가요?

 

 

 

반값 등록금... 물론 지금 힘든 대학생들에게 등록금을 지원해주는 것도 좋지만

 

그것보다는 근본적인 사회분위기가 바뀌는게 우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정책이 바뀌는게 우선인거 같네요...

 

 

 

 

 

아 제가 쓰면서도 뭐부터 손대야하는지 헷갈리네요...

 

 

 

 

 

엮인글 :

카레맛지티

2011.06.08 12:31:07
*.12.68.29

대학은 돈내면 가는 곳. 으로 전락한지 오래죠..

업체 상무님 아들이 초교~고교 축구 선수 였는데, 무슨 일인지 축구를 그만두고 2년 놀더니 전문대 간다하더군요;
뭐 제가 뭐라 할 건 아니지만, ;;;

그 친구와 나름 친하고 잘 아는데,
정말 공부가 하고 싶어서 가는 건지, 남들 다 가니까 가는 건지 의문이 들더라고요. ㅠㅠ

그냥 지잡전문대지만, 아들이 대학가기로 결심했다며, 등록금 내주며 뿌듯해 하는 상무님의 모습과,
남들 다 가니까 간다는 그 친구의 얘기가 오버랩되었던 기억이;; ㄷㄷ


물론 가장 큰 문제는 대학 졸업장 하나 없으면 이력서도 넣지 못하는 이 사회겠죠..

대학 = 돈 내면 가는 곳 = 스펙 쌓는 곳

capsule

2011.06.08 12:33:45
*.205.186.216

대학이라... 어려운 문제내요... 돈내고 열심히 공부하는 이는 몇%나 될런지..;;

Adapter

2011.06.08 12:37:02
*.118.102.18

등록금의 80~90%이상을 교육에 쓰도록 법으로 정해야합니다.
국립 대학교도 좀 늘리고..

회사원

2011.06.08 13:27:00
*.154.203.159

시스템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치환하면 답이 없죠.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통로가 취업으로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대졸 딱지가 없으면 시작부터 루저나 다름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런 문제를 가지고 소수의 성공사례로 나머지 다수의 노력부족을 지적한다면 아무런 발전이나 개선을 기대할 수 없죠.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기 전에는 반값 등록금이 의미없다는 얘기야 말로 의미가 없는 얘기입니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부분에서 개선을 시작하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문제만 지적하면서 시니컬한척 쿨한척 해봐야 아무것도 바뀌지 않으니까요.

사실 지금처럼 명확한 어젠다가 설정되고 공론화 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기에 지금이 조금이나마 뭔가를 바꿀 수 있는 좋은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으로 이런 얘기가 오간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거죠.

쿨러덩쿨렁

2011.06.08 15:56:48
*.70.111.199

대학을 죄다 가는 게 문제죠. 등록금은 부차적이고 부수적인 문제일 뿐입니다.

단순히 얘기 하자면 독일 식으로 김나지움에서 본인의 적성에 따라 대학-직업학교-실전(취업) 으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의무 교육에서 기를 것은 지식이 아니라 민주 시민이 될 소양이겠죠.

길게 말해봐야 복잡하고 헷갈립니다.

유럽이 미국과 중국에 밀려도 웨 계속 세계의 패권에서 밀려나지 않는가를 단순히 생각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412
25634 아침 학교 오는데 벨로스터 사고난거 봤네요 [13] 누나꺼 2011-06-09   1666
25633 하염 없이 눈물만 ㅠㅠ [12] 요이땅 2011-06-09   934
25632 해장 흙... 2011-06-09   299
25631 안녕하세요! 요즘 웅진 가시는 분 계신가요?? [4] 훈봉's 2011-06-09   1560
25630 하일성 위원 [3] 2011-06-09   1144
25629 연애한지 3주째;;; [9] 부자가될꺼야 2011-06-09   883
25628 지오다노 정말 안되겠네요 [2] 포크 2011-06-09   844
25627 오상진 아나운서... [1] 맹구대리인 2011-06-09   713
25626 못난이못난이 [1] 못난이 2011-06-09   510
25625 최고의 사랑에서 차승원의 몸을 보면 [13] 니에베(nieve) 2011-06-09   1154
25624 나이를 먹더니... [2] 세르난데 2011-06-09   496
25623 생일이지만 축하문자 한통 없는... [29] 유령보드 2011-06-09   645
25622 travis.. [8] 잇숑* 2011-06-09   592
25621 당구 증후군 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0] 연말까지80 2011-06-09   836
25620 몰라서 못하냐...알면서도 못하는 거지. [3] 환타_ 2011-06-09   440
25619 다이어트... [7] (━.━━ㆀ)rig... 2011-06-09   634
25618 요즘 게시판에... [4] 나돈데 2011-06-09   530
25617 정리 했습니다. [30] 여대생 2011-06-09   1356
25616 헤어졌어요 [5] 이별 2011-06-09   748
25615 보크도 못 봤는데, 심지어 홈스틸까지 세잎이네요.. [19] 치명적인미소 2011-06-08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