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올해로 3년차에 접어든 초보 보더입니다.


보드를 재밌게 즐기는것도 좋지만


문득, 좀더 제대로 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생각한게 스노우 보드 관련된 자격증을 따 보려고 생각중에 있습니다.


보통 주위에 체대 다니는 친구들 보면 casi 무슨무슨 레벨3이니 데몬이니 그런 얘길 하던데


우리나라에서 딸수 있는 스노우 보드 관련 자격증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엮인글 :

날아라가스~!!

2011.07.13 15:17:11
*.222.4.76

CASI, WSF, JSBA,KSA 등이 대표적인 자격증입니다.

 

자격증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셔야 하는게 바로 '대한스노우보드강사협X' 란 곳에서 발급하는 강사자격증이죠.

 

일부 체대출신 혹은 운동하시는 분들이 따기 쉽다는 이유로 취득하시는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 자격증은 글자 그대로 종이쪼가립니다. 즉, 공신력이 제로입죠. 제로~

 

다른 자격증들은

 

CASI (캐나다 어쩌구 귀찮음..;) 는 1~4까지 있으며 국내에 카시레벨3은 4~5명밖에 되지 않고 그나마 현역으로 있으신분은 딱 두분입니다. (활동하고 계신분 정도로 이해해주십쇼)

 

JSBA (일본 어쩌구임) - 작년부터? 재작년? 암튼, 일본식 라이딩의 유행으로 인해 떠오르는 레벨입니다.

여긴 저도 듣기만 했는데, 최초 레벨러가 되야 뭐 정강사 자격증을 취득할수 있는 시스템으로 괜찮게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구요.

 

WSF( 월드스노우보드 페더 어쩌구임) - 1,2로 구분되어 있으며 어떻게 보면 가장 흔하게, 쉽게 취득할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2렙은 꽤 심하게 어렵고, 1렙은 달성이 그나마 편하다 들었고, 1렙 취득하신분들 이야기중 불만은 거의 못들었습니다.

 

KSA (우리나라~~) - 1~3인가, 4까지 있는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국내협회의 자격증으로 알고 있습죠.

 

이게 WSF 쪽은 KSBA, KSA는 자체..뭐 이런식으로 구성되어 있습죠.

callsign

2011.07.13 15:24:43
*.61.34.22

ksa 자격을 패스하게 되면 사회체육 x급 인가 뭔가? 그거 필기면제 시켜준다고 하는것 같은데 관심이 없어서 패스.

또 ksa 레벨2 취득하게 되면 casi 시험1을 건너뛰고 2부터 볼수 있는 제도가 있다고도 하네요.

쟉슨

2011.07.13 15:34:45
*.46.154.156

어라 이거 진짠가여?? ksia 말하는거죠? 거기 레벨 2 따면 casi1 제낄수 있다는거죠?

그라우스

2011.07.13 15:43:43
*.85.139.122

잘못된 정보입니다. Definitely

쟉슨

2011.07.13 15:49:36
*.46.154.156

이런...ㅋㅋㅋㅋㅋㅋ 아쉽군여..ㅜㅜㅋㅋ

callsign

2011.07.13 16:28:20
*.61.34.22

한국에서 casi 시험을 주관하는 team kassi의 글을 퍼옵니다.

 

==================================

이번 시즌 한국에서 CASI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저희 Team KASSI 멤버께 들었던 내용입니다. 

다름아닌 내용은, 한국 공식 스노우보드 협회인 KSA 레벨러는 CASI 레벨 2 테스트에 직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KAS 레벨러 분들께서 직접적으로 관심이 있고 없고를 떠나 의문을 제기한 분들이 계셔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비슷한 내용이 CASI 에도 있듯이 간단하게 대답을 한다면 "YES" 입니다.

Foreign Affiliate Membership 신청과 KSA 레벨 2 이상이라면 가능한 경우라 하겠습니다.

 

이 경우를 통해서 CASI 레벨 2 테스트를 생각하시는 분들께 알려드릴 부분이 있다면,

테스트의 결과에서, 티칭 또는 라이딩을 패스하지 못한 경우, 

두 부분중 하나의 re-test는 불가능 하다는 것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두 부분(티칭과 라이딩) 중에서 하나만 패스를 하였다면 재 시험은 다시 전체 테스트를 치뤄야 한다는 것입니다.

재 시험의 경우엔 레벨 1을 거쳐서 받은 CASI 멤버쉽 넘버가 필요한데 따른 이유가 가장 크다고 하겠습니다.

 

레벨 2 테스트에 응시(참가)를 할 수 "있다" 하여 또는 "하였다" 하여 CASI 레벨 1의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물론 테스트를 잘 마쳐서 CASI 레벨 2로의 인정을 받는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습니다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레벨 1을 치루면서 CASI 시스템을 알아가는,

그리고 그 시스템 이해를 통해 레벨 2로의 단계를 밟는 것이 가장 일리있고 체계적인 방법이라 하겠습니다. 

 

CASI NTC 인 Jeff Chandler 와 CASI-Korea Foreign Course Provider 로써 의견을 나눈 내용으로

내용면에서 큰 변동의 가능성은 없을것 입니다만, 결과적으로 결정지은 내용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변동 사항이 발생할 경우, 다시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위의 글로 미루어 보아 ksa 레벨이 casi 시험볼때 인정받는것으로 보입니다.

쟉슨

2011.07.13 17:06:46
*.46.154.156

약간 헷갈리는것이 있는데 ksa 와 ksia 가 같은 소속?부류?단체? 인가요..?? 홈페이지는 다르던데..

확실한건 ksba는 관심없습니당..ㅋ

callsign

2011.07.13 17:13:55
*.61.34.22

과거 ksa ==> 현재 ksia 입니다.

ksba가 wsf...

kasbi는 슨상님 --; 

쟉슨

2011.07.13 17:16:15
*.46.154.156

아 그렇군요 ㅋㅋㅋ 이제 머릿속에 개념이 잡혀요 ㅋㅋㅋㅋ 올해 한국에서 ksia2랑 casi2랑 따고 내년에 casi3도전해봐야겠군요!! ㅋㅋㅋ 문제는 영어네..ㅜㅜ

그라우스

2011.07.13 17:32:27
*.85.139.122

casi 1의 경우는 외워서 해도 충분하지만(what, why, how 로 심플하게 설명하면 끝 ㅎㅎ)

casi 2부터는 스탠스 피봇팅 엣징 등의 5섯가지 스킬을 중심으로 하는 설명을 좀 풀어주고

피드백도 상황에 맞춰 해야하므로..... 이것도 미리 예상시나리오 영어로 만들어서 외우면 되지않을까요

한국인이 안되는게 어딨습니까 ㅎㅎ 

쟉슨

2011.07.13 15:34:19
*.46.154.156

한국생활체육지도자 이쪽에서 도 있는걸로 들었어여.. 하지만 땃다는 사람은 거의 못봤어열...

저는 ksia 쪽 자격증을 따보려고 했는데 생각을 고쳐먹고 casi 쪽으로 돌렸습니다. casi level 1,2는 한국에서 딸수 있었는데 또 최근에 1,2도 캐나다 가서 취득해야 한다는 소리가 들리기도..;; 번거로우시면 ksia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level1은 그냥 뭐 간단한 테스트 수준이고 5만원이면 되용.. level2부터 준강사 자격이 주어집니다.. 2박3일 셤봐요

그외 자격증은 문외한이라..;; 근데 카시 레벨3가 국내에 4~5명밖에 안됬군요...와.. 대략 4명정도 누군지 알것 같은데..

그라우스

2011.07.13 16:12:17
*.85.139.122

카시주관하시는분 카페글을 보니 올 시즌도 준비하신다고 본거 같습니다.

휘닉스파크쪽으로 계획중이라고 써놨으나 뚜껑은 까봐야 알듯하네요 ㅎㅎ



2011.07.13 21:04:37
*.10.60.236

비용문제도 고려해 보세요.

 

KSA에서 주관하는게 20만원 정도

KSBA에서 주관하는게 25만5천원

CASI에서 주관하는건 80만원 이상입니다.

 

연회비가 있는곳도 잇으니 참고하시구요

쟉슨

2011.07.14 02:08:20
*.46.154.156

헐.. casi 엄청 비싸네여.. 내년에 워홀로 휘슬러에 계속 머무면서 casi 따려는데 현지서 따면 가격이 덜하겠죵..?? ㅜㅜㅋㅋ

Ricky!

2011.07.14 00:16:46
*.195.78.108

뭐... 커리큘럼이 어떤곳이 더 마음에 드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원래 강사자격증이라는게 누군가를 가르치는데 필요한 강사를 배출하기위한 자격증입니다.

어떤 커리큘럼으로 어떻게 한명의 보더를 길러내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초보한명을 어떻게 가르치는지를 배우는 내용이 중점이 되겠고...

무엇보다 그 교육기간/시험기간 동안에 어떤 선생님을 만나는가가 더 중요하겠습니다.


무조건 피할곳이 KASBI임에는 틀림없습니다. ^^ㅎㅎ

쟉슨

2011.07.14 02:05:49
*.46.154.156

리키님 말씀 잘 새겨 듣겠습니당~ㅎㅎ 또 제가 착각했던것이 ksba가 kasbi인줄 알았다는...ㅋㅋㅋㅋ

 

그라우스

2011.07.14 04:59:33
*.85.139.122

참고로 canada 내에서 시험응시료입니다. 2010-11 시즌 기준입니다.

Lv 1 cost $347.63 / Retest $110.67 

Lv 2 cost $453.76 / Retest $110.67 

이거에다가 Sales Tax가 붙습니다.(BC주 12%)

렙1만봐도 400불이고 lift ticket은 별도입니다. 다만 시험볼때 리프트 50%할인해줍니다.

Membership fee의 경우 시즌에 인스트럭터로 일할경우와 안할경우로 나뉘는데

일할경우 88불, 안하고 멤버쉽만 하는경우 46불입니다.

 

쟉슨

2011.07.14 11:47:49
*.46.154.156

흠.. 거기도 한국에 비해 엄청 저렴한건 아니네요...ㅎㅎㅎ 우선 레벨 1부터 비싸군요ㅜ

리프트는 어차피 최대한 시즌패스 제공해주는데서 일할 생각이궁..ㅋㅋ 헐 회비 매년 내는것은 아니죠???

매년 낸다고 하면.. 어차피 제 자신 만족을 위해서 따는 목적이 큰데.. 매년 내는건 아니겠죵..ㅎㅎㅎ

개카시

2011.10.26 04:07:33
*.7.74.36

팀카시인가 하는데는 좀 사기꾼들 집단 같은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656
22244 지니어스 데크 아시는분 있나요?? [4] GT3 RS. 2011-07-13 757
22243 2012 YONEX WALL DS에 적합한 바인딩추천요^^ [2] 마른개구리 2011-07-13 580
22242 곤지암 이번시즌 시즌권없앤단소리...근거있나요? [7] grippin' 2011-07-13 996
22241 ride 자켓 파는 쇼핑몰 아시는분~? [2] 클리기 2011-07-13 594
22240 아토믹 알리바이에 맞는 바인딩 추천부탁드립니다. [2] 우캬캬캬캬컁 2011-07-13 536
22239 강촌 vs 지산 vs 대명 어디로끊어야될까요"???(남자입니다...) [11] 짱까는오빠 2011-07-13 1126
22238 오클리 크로우바 렌즈만 따로 살수잇는곳없나요?? [10] 자빠지나 2011-07-13 678
22237 10/ 11 살로몬 플렛지 살려고하는대요... [3] 안녕하세요 2011-07-13 567
22236 부츠+데크 질문이요~~ [1] 불타는물 2011-07-13 363
22235 새신발샀는데 잘샀는지...고수님들 답글부탁드릴게요.. file [3] 미남입니다. 2011-07-13 623
22234 11월 일본 보딩 가능? [5] 라미얌 2011-07-13 592
22233 웅플 소식좀 알려주세요^^ [5] 우끼당 2011-07-13 659
22232 eg2고글밴드구매할수잇나요?? [2] 지알탄장민 2011-07-13 743
22231 살로몬 vs 32 (부츠) 님등의선택은?? [6] poptu 2011-07-13 792
» 스노우 보드 와 관련된 자격증은 무엇이 있나요? [19] ryoko 2011-07-13 998
22229 자신의 바인딩 각 찾기....얼마나 걸리셨나요? [19] 북곰 2011-07-13 1167
22228 롬 a/s 해보신분계신가요 ?? [2] flash22 2011-07-13 572
22227 하드함과 소프트함의 아이러니. [9] 숯땡이짱구♥ 2011-07-13 615
22226 32 팀투 사이즈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4] 양민 2011-07-13 557
22225 버튼과 써리투(32)부츠 사이즈문의 [3] 꽃보더Biin 2011-07-13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