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우선 지금 있는 전세집은 4년째 살았고 10월 31일자로 계약 만료입니다.

 

계약 만료후 집을 옮기겠다는 통보는 만료일 약 3달전에 주인에게 통보했습니다.  (제가 먼저 한건 아니고 집주인이 전세값 올려달라고 전화왔길래 나갈테니 알아서 하라고 했습니다)

 

전 10월 31일에는 당연히 집을 비워야 하는것으로 알고 옮길 집을 열심히 구했습니다. 10월16일자 집이 있길래 지금 살고 있는 집주인에게 양해를 구하려고 전화했더니 집주인 왈 "그렇게 날짜 정해서 구하면 맞추기 힘들다. 추후 발생하는 피해는 너 책임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더군요. 계약 안했습니다.

 

추석전에 구해두는게 낳을듯 해서 31일 맞춰서 전세집 계약을 하고 다음날 지금 집주인에게 통보를 했습니다.

그랬더니 똑같은 이야길 하더군요. 날짜 정하면 어떻하냐. 안구해지면 어떻할거냐? 이렇게 책임회피성 발언을 하더군요.

 

전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3달전에 계약만료시 나갈걸 미리 통보했다. 그럼 된거 아니냐"

열이 확 올라서 언성을 좀 높였었죠. 나중에 이리저리 알아보니 원칙은 맞지만 집주인이 배째면 해결하는데 6개월은 걸린다고 하더군요.

결국, 여기저기 부동산에 집을 내어놓고 기다려보기로 했는데....불안합니다. 거기다가, 집주인은 집을 팔아버릴 생각이라 전세가 아니라 매매로 해놓았을 가능성도 있구요

전 일단 계약 만료시 나갈거라는 내용증명을 한통 보내놓으려고 하는데...\

 

질문 두가지

 

1. 31일까지 집이 안나가고 집주인도 배째버리면 제가 할 수 있는 법적 조치는 ?

 

2. 만약 전세가 아니라 매매로 부동산에 내놓았을 경우, 제가 전세로 내놓으라고 하거나, 아니면 매매로 내놓았으니 31일 계약 만료시 전세금 돌려달라고 요구 할 수 있는지요?

 

부동산 고수님들 좀 도와주세요 ㅠㅠ  

엮인글 :

-

2011.09.15 09:49:31
*.179.32.103

집을 그렇게 구하시면 안되죠

통장에 전세금 돌려줄만큼 현금 꼽아놓고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된다고;;;

이사들어올사람 구해지면 그사람이랑 날짜 조율해

이사 나가실 집 구하는겁니다

쎄션.

2011.09.15 09:55:58
*.68.238.163

물론 새로 들어올 사람이랑 맞으면야 좋지만,

어쨌든 계약기간이 있잖아요 계약기간 맞춰서 나 살 집 구해야하는거아닌가요?

새 사람이 언제 들어올줄알고 그 사람에 맞춰서 집구하나요..

계약만료 전이야  전세금 돌려받을걸 감안해서 새 입주자와 맞춰서 집구하죠..

 

미리 집주인과 얘기도 하셨다면서요,

통화할때 다 녹음하시나요?

 

받는방법 이런건 잘 모르겠지만요, 사전에 얘기가 된거라면 계약만료일에 맞춰 나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깡통팩

2011.09.15 10:09:53
*.218.112.140

100% 법적근거는 아니고요. 그냥 그간 알고 있던것만;;;;

 

계약종료가 된 시점에서 전세금을 돌려달라고는 할순 있지만, 민사문제라 어차피 언제가  됐던간에 돈만 주면

 

집주인은 그걸로 땡인걸로;;; 뭐 계약만료 후 돈 안준다고 법적절차를 받을 순 있지만, 집을 옮기는게 타이밍문제라

 

ㅠㅠ 집주인이 강제조치가 날라올때까지 최대한 뻐팅길 수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만....

 

그래서 집없는 설움 겪어보지 않으면 모른다는 말이..;;

 

 

 

ㅂㄷ

2011.09.15 10:12:15
*.234.216.44

애정남이 필요한사건이군요. 원칙은 계약해지 통보를 했으니 계약 종료 날짜에전세금 돌려 주는게 맞으나 그렇게 딱딱 맞게 돌려 받는사람 별로 없을겁니다. 괜히 세사는 서러움 이런 말이 있는게 아니죠. 내용증명을 보내는게 법적으로는 확실하나 집주인이 배째라고 나오면 신경만 쓰이고 별로 실익도 없습니다. 최선에 방법은 세입자를 빨리 구하는겁니다. 매매하는지 전세로 하는지 확인하시고 글쓴님도 알아보세요.

굿모닝베트

2011.09.15 10:17:58
*.234.156.128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제 예상이 맞군요... 사인간에 돈 빌리고 받는건 법으로도 어떻게 안되더라는걸 잘 알고 있었는데 이런일이 ㅠㅠ

 

 

2011.09.15 11:28:14
*.212.7.107

글쓴이님은 가장 기본을 잊으셨네요. 아니 잊었다기보다 모르는듯...

 

맨 위 첫 댓글님처럼 집을 먼저 뺀후에 집 구하는겁니다. 이거 아주 기본중에 기본 입니다.

 

집을 먼저 구할때는 집주인이 돌려줄 돈이 있거나 보증금 돌려받지 않아도 다른집 전세 얻을수 있는돈이 내가 있거나 둘중 하나 입니다.

 

아니면, 지금 사는집이 정말 싸고 좋아서 당장 나갈 집이라거나...

 

이런경우 아니라면 당연히 집 먼저 빼고 얻어야 합니다.

 

계약기간 만료 되었으니 돈 주세요. 이렇게 하는거 아닙니다. 집주인도 돈이 있어야 주죠.

대부분 새로 들어올사람 돈 받아서 기존 세입자한테 보증금 돌려주는겁니다.

 

임대차관련 가장 기본도 모르시는분들 진짜 너무 많네요.

2011.09.15 15:59:57
*.234.200.3

님은 거래의 기본을 모르시는 악덕지주 같네요...

임차권등기명령

2011.09.15 11:40:21
*.123.56.7

원래 돈은 계약만료때 돌려주는게 원칙이니..


짐 다 빼내시기 전에 임차권등기 신청이라도 하고 빼내신다면 차후 문제가 발생될 일은 없겠죠.

(물론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셔서 다른 곳으로 이사를 못가신다면 그냥 눌러 앉으셔야겠지만..)



물론 전세권자(전세권등기되있는 사람.)라면 그딴거 할 필요는 없겠지만요.


그리고 경매 신청하셔서 경매금중 전세금만 받으셔서 그 돈으로 새로 살집 구하시면 될 듯 싶네요. ㅋ


예전에 집주인과 보증금 문제로 임차권등기명령제도 이용해서 임차권 등기신청판결 받고 짐 빼내서 다른 곳으로 이사간적 있습니다.


집주인도 경매 넘어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강도짓을 해서라도 돈 구하겠죠. ㅎㅎ



ㅁ.ㅁ

2011.09.15 12:39:56
*.111.195.128

추천
1
비추천
0

1. 집주인에게 나갈것을 통보한다.

2. 집을 알아 본다.

3. 지금 사는집 나가는 상황도 본다.

4. 2,3을 잘 조율해서 들어 오구 나가는 시기를 맞추어 본다.

5. 보증금 받고 이사 나간다.

 

2,3번을 의무 사항으로 적시 하신분도 계신데 이중에 1번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세입자의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돈을 통장에 넣어 놓고 있든 말든 그것까지 신경 써줘야 하나요? 당연히 법적으로 빼줘야되는 돈인데요.

 

 

다만 현실적으로 나가고 들어 오는걸 조율하는거죠. 이걸 당연히 해야될 사항처럼 요구하면 정말 경매 신청하면

되는겁니다. 나도 조금 불편과 손해가 있지만 집주인은 대단한 불편과 손해가 생기죠.

 

 

두가지 경우가 있었습니다. 계약하고 이사 가는데 집주인이 잔금을 다 치루지 않은 황당한 경우, 부동산에서 중재해서 당일날 재빨리 다른집(빈집) 알아봐서 계약하고 그분께 계약금에 해당되는 위약금을 받은적이 있습니다. 물론 일이 잘처리 되어 이 돈은 돌려주고 이삿집 아저씨들께 얼마간의 돈을 지불(지체된것때문에)해주고 끝난적 있습니다. 그분도 저도 부동산도 서로 잘 조화가 된 케이스였죠.

 

또 다른 경우는 집을 알아봐서 계약했는데 집이 나가질 않는겁니다. 그래서 무척 고민했는데 나중에 이사일이 임박해서 집주인이 혹시라도 잘못되면 위약금을 자신이 부담해주겠다고 이야기를 하더군요. 물론 이사일 임박해서 집이 나갔습니다. 서로 서로 잘 통한것이고 운도 따른 케이스였죠.

 

세입자라고 해서 너무 약자의 위치는 아닙니다. 인터넷 찾아 보시면 다양한 권리들이 나와있으니 잘 찾아 보시고 대처 하시면 될겁니다. 가장 좋은것은 서로서로 말을 맞추어 하는것이지만 그게 않되고 최악의 경우를 가게 되면 서로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구지 세입자만 손해 보는것은 아닙니다. 손해를 보게 된다면 집 경매 들어 가는 사람이죠. 윗분 말대로 경매 들어 가게 되면 없던돈도 강도짓 해서라도 만들어 옵니다.

 

해피가이

2011.09.15 14:21:56
*.243.13.76

") 위 글쓴님의 댓글이 타당하다고 봅니다.

전(월)세 보증금은 세입자에게는 채권이고 집주인에게는 채무입니다.

원글님처럼 계약 만료 3개월전에 통보했다면 당연히 집이안나가더라도 만기일에 맞춰 보증금을 내주어야 하는게

법적으로도 상식적으로도 맞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우리처럼 서민들에게 큰돈이랄수있는보증금을  집주인들이 손에들고있다가  날짜맞추어서 내줄수없는것이

현실이죠.

이사한는것이 쉬운게아닙니다. 내가 나가야할시기,새로들어와야할 사람,집주인,부동산중개인 이렇게 4가지조건이

충족되어야 보증금문제로 골치안썩고 이사할수있는겁니다.

저도 15년정도 집을 세주고 있지만  초창기 IMF 당시 전세값 폭락으로 고생할때 제외하고는 들어오고 나가는 세입자들과

문제는 없었네요..

말한마디에 천냥빗 갚는다는 말이있습니다, 너무 감정적으로 하지마시고 일단 집주인을 살살달래서 일부라도 돈을 받으시는게

유리합니다.

그리고 아무런 법적 보조장치없이 집에서 짐을 먼저빼는거는 절대안됩니다...

굿모닝베트

2011.09.16 00:28:35
*.234.156.128

답변 감사합니다. 우선 집주인과 친한 부동산 이야기로는 안나가도 돈은 내줄것이다....라고 하네요

 

일단은 안심이지만 .... 전세 계약도 참 힘들군요...

 

전 최대한 상식선에서 일을 처리했다고 생각했는데...순식간에 뭣도 모르는 사람이 되기도 하고 ㅋㅋ

 

아무튼 전세권등기에 관한 정보는 제게 아주 유용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디오엔지

2011.09.16 11:24:49
*.94.41.89

혹시나 이리저리 틀어지면 급전은 "전세금대출"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이 동의해줘야 되는건데요. 전세금을 담보로 대출받아서 새집에 대한 잔금만 치뤄주고 (이사는 못나가도요...) 

차후, 지금 집이 나가게 되면 주인한테서 받아서 대출상환하고 전세금 정산하는 돌려막는 방법이랄까요...


다만 대출로 인한 단기간의 이자발생,

그리고 전세금대출이 잡혀있으면 지금 집에 들어오려는 사람이 

등본보고 불안해 할 수 있으니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868
13215 컴퓨터 하드 교체건으로 질문드려요 [5] 몽이 2011-09-15 230
13214 다시 대학교에 간다면...? [14] GdayJun 2011-09-15 500
13213 발 통증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file [7] 345 2011-09-15 997
13212 챠량 수리& 새차(k5) 문의드려요~ [15] 관광보더임 2011-09-15 713
13211 제주도 렌트 [1] 초미 2011-09-15 436
13210 건축법 잘아시는분 있으신가요?? [3] 음.. 2011-09-15 343
13209 웨딩카 질문좀 드릴께요 [5] 나도 결혼 ㅋ 2011-09-15 443
13208 골프 초짜~ 3개월 그후~~~~ [12] 안드레아 2011-09-15 1002
13207 Eclipse로 자바 코딩하시는분들께 질문이요... [1] ㅇㅇ 2011-09-15 235
13206 허리로 유명한 정형외과!!! 추천좀!!! 지역은 서울로 부탁드립니다 ^^/ [4] 보드경찰@.@v 2011-09-15 636
13205 죄송하지만 이거 대충 어떤내용인지라도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유령보드 2011-09-15 304
13204 무선랜 얍삽한 방법에 대해;;; [8] 부자가될꺼야 2011-09-15 599
13203 퇴직금 중간정산 방법 질문 [6] 퇴직금 2011-09-15 725
13202 집에 태양광 전지 설치하는거 괜찮을까요? [8] hare 2011-09-15 1160
13201 무선랜에 대해서 [8] 부자가될꺼야 2011-09-15 360
» 전세집 옮기려고 하는데요.. 보증금 돌려 받는 문제 발생!! ㅠㅠ [12] 굿모닝베트 2011-09-15 1768
13199 일본인데.. [1] 보드어떻게... 2011-09-15 356
13198 요런 조건 갤투 괜찮을까요? [10] 아도라쏘 2011-09-15 401
13197 헝글에서 제일 높은 레벨이 뭐지요?? 그리고 해택은요? [18] 매니아걸 2011-09-15 849
13196 제주도여행,휘닉스아일랜드,한라산~~조언부탁드려요!! [2] Rogy 2011-09-15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