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법적으로 머 소송당할수도 있나요?

 

 

이유는 말할수 없고요...

 

어찌되나요?

 

1년 연봉직이구요..

엮인글 :

파라다이스

2011.09.27 08:41:02
*.209.102.184

무단 결근으로 인해 회사(사업주)가 피해를 입었을경우 민사로 소송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울트라슈퍼최

2011.09.27 08:52:01
*.247.145.54

계약서에 퇴직에 대한 항목도 명시되어 있을텐데요...

ㅎㅎ

2011.09.27 08:52:30
*.246.70.50

휴가계 결재 받아 제출하면 되죠...

342

2011.09.27 09:18:21
*.249.8.13

손해배상 소송 가능으로 알고 있습니다.

Zety

2011.09.27 09:41:50
*.165.73.1

내일만 쉬는거면 별일없겠지만 허락 안 받았는데 맘대로 쉰다면 나중에 소송당할걸요?

i솔연청풍i

2011.09.27 09:52:14
*.94.41.89

근로기준법  32항인가 31항인가에 보면 회사는 사직을 표명한 직원의 사표를 최대 32일간 연장할 수 있다..

라고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사직서를 제출했다면 32일간은 회사에서 인수인계하는 기간으로 놀면서 월급받으시고

그 이후에는 인수인계가 제대로 되었은 안되었든 안나가도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무단결근을 하거나 잠수를 타버리면 회사에서는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striker

2011.09.27 10:03:09
*.98.48.129

다음날 출근 안한다면 별 문제가 안되고

다음날'부터' 출근안한다면 큰 문제가 되겠죠

넝덩부

2011.09.27 10:49:42
*.158.250.170

1.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가. 근로기준법은 사용자 근로자 간 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 관하여 제한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나. 예컨대,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 손해배상예정(위약금 약정)을 하더라도 이는 무효입니다.

다. 한편, 판례는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가 이유있다 하더라도, 그 손해액 산정에 있어서는 신의칙 상 상당액을 감액할 수 있다고 하여 근로자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2. 무단 퇴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가부

가. 근로자는 통상 사용자에 대하여 퇴사 전 일정 기간 내에 이를 통보하게끔 근로계약에서 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무단퇴사의 경우에 분쟁 발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 그러나 근로자가 무단퇴사를 했다 하더라도, 사용자에 이를 이유로 근로자에게 손해배상을 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근로자의 무단퇴사로 인하여 어떤 구체적인 손해가 발생했는지를 입증해야 합니다.

다. 그런데 일개 근로자의 무단퇴사로 인한 회사의 손해 발생 및 그 액수라는 것은 실제에 있어서는 입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3. 귀하의 경우

가. 만약 계약서에 무단퇴사에 대한 위약금 등을 정하고 있고, 귀하가 여기에 서명을 했다 하더라도 이는 근로기준법상 무효이므로 회사에 이를 지급할 의무가 전혀 없습니다.

나. 회사가 손해배상청구를 검토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나, 실제 소송 등에 있어 귀하의 퇴사와 회사의 손해발생 간 인과관계 등을 입증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므로,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듯합니다. 아마 회사 입장에서는 경고 외에 더 이상 소송으로 나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고(귀하의 근로기간 등 제반사정에 비추어 손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미할 것으로 보임), 설사 소송을 제기하더라도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를 방어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다들 겁주셔서 몰래 몰래 검색해봤는데 이렇다는데..

 

다들 겁주신거죠?

뜨거운수박

2011.09.27 11:41:36
*.30.99.1

자게글이나 토론방 등의 글을 읽어 보면 헝글인들 대부분 진보적인 생각을 ㅏ진 것으로 생각했는데, 위의 댓글들은 의외네요.
법적으로 문제 없습니다. 근무한 날짜에 따라 퇴사 전 고지를 해야 하는 기간이 있는데, 1달 미만은 전날 구두로만 말하더라도 피고용주는 자신의 책무를 다 한 겁니다. 6개월 미만은 3일인가 될 거에요. 정확치 않으니 잘 찾아 보시구요.

설사 위의 예를 든 사전 고지 기간을 지키지 않고 다음 날 바로 퇴사를 했다 하더라도, 고용주가 그로 인해 얼마만큼의 피해를 보았다고 아주 구체적으로 증명을 하여 민사소송을 해야 합니다. 한 마디로, 소송 절대 못 합니다.

계약서에 기재된 내용, 법적으로 허무맹랑하고 근거없는, 지키지 않아도 될 것들 넘쳐납니다. 회사에서 녹을 받을 때야 왠만하면 고용주가 시키는대로 지키는 것이 맞겠지만, 서로 갈라질 때는?

법대로 하세요.

불꽃탱이

2011.09.27 12:36:28
*.241.147.40

ㅋㅋ 재밌다

포인트

2011.09.27 17:24:34
*.158.250.170

어디부분이 잼있는지요? 포인트좀 알려줘연~

드리프트턴

2011.09.28 01:45:37
*.142.242.5

음... 무슨 말씀이신지...

 

1년 계약직이신거죠?

 

그리고 무슨일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

 

계약서를 쓴 상태에서 사직서도 안내고 내맘대로 그만둔다고 할수 없습니다.

 

만약 한다고 해도 아무일도 없을꺼라 생각하시는건 아니시죠?

 

객관적으로 보시면 계약서를 쓰고 회사와 글쓴님과 거래를 한겁니다.

 

그런데 아무말 없이 글쓴님이 거래를 파기한다면 그에 따른 무언가가 따르겠죠?

 

사회생활입니다. 아무리 드럽고 손해를 보고 불리한 입장이라도 순서에 따라서 행동을 하셔야 나중에

 

누가봐도 수긍을 해줍니다.  현명한 판단 하셨으면 좋겠내요.

 

 

멀까..

2011.09.28 11:43:45
*.158.250.170

 

1년이란 계약은 내가 이돈으로 동결로 일하겠따 그런 의미에서 연봉1년이란것이지

 

1년동안 일하겠따라는 계약이 아닐텐디요... 그러면 위약금 내면되나요?

 

제가 할인 받은거라두 있나요?

 

이직의사의 자유가 있는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830
13595 돌반지 가격이 보통 ?? [7] 루이잉 2011-09-27 1474
13594 연금저축손해보험 질문이예요!~~~~~~~~ [3] Come back ! 2011-09-27 294
13593 교대 나와서 140 받고 어떻게 살아요? [20] 궁모 2011-09-27 1337
» 회사 오늘 얘기하고.. 다음날 출근안한다면? [13] 넝덩보 2011-09-27 690
13591 헬스기구 벤치프레스 주문관련 질문입니다. 눈샤람 2011-09-27 457
13590 이런 스타일 어떤가요? <사진있음> file [17] 남자 2011-09-27 926
13589 왜 저는 동영상 밑에 댓글이 안보일까요.. [3] JAYCH 2011-09-27 282
13588 펀드 질문입니다! [8] 럭셜보더 2011-09-27 334
13587 넷북과 노트북 고민입니다.. [11] 보드짱~! 2011-09-26 396
13586 금강제화구두 VS 에스콰이어구두 (50대선물) [4] 6 2011-09-26 894
13585 스맛폰 3G 한달에 평균 얼마나 쓰시나요 ? [11] TAMAMA 2011-09-26 457
13584 아이폰 3gs 액정 관련 질문 ㅠㅠ [3] ㅠㅠ 2011-09-26 270
13583 지리산등반 [4] 지리산 2011-09-26 300
13582 신원보증서및 보험증권 아시는분 [7] 합격 2011-09-26 624
13581 대학교 성적증명서 질문.. [9] 합격 2011-09-26 510
13580 신호위반으로 인한 보험료할증 질문이요~~ [1] ㅜㅜ 2011-09-26 323
13579 여행질문드립니다. [2] 허허실실 2011-09-26 230
13578 들으면 힘나는 노래!! [17] 빠샤 2011-09-26 1277
13577 울산바위 철계단 [3] 음.. 2011-09-26 448
13576 강화도 펜션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Jangs 2011-09-26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