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희 집 거실을 떡하니 지키던 브라운관 텔레비젼이 거의 수명이 다하기 직전입니다.
화면이 겹쳐지고... 무슨 코메디 영화 처럼 한대 치면 잘 나오고...
그래서 이번에 텔레비를 사려고 하는데...
가격 적인 부분 때문에 PDP 쪽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런저런 장단점 확인하고 결국 3 가지가 가장 걸리는데요.
PDP 텔레비전 사용하시는 분들 조언좀...
1.매장에서 옆에 LCD LED 와 함께 시연해 놓은거 보니까 화면이 확실히 어둡고 약간 뿌연(?) 느낌이 있더군요.
그런데 인터넷을 통해 좀 찾다보니까 오히려 매장보다 어두운 일반 가정에서는 PDP 화면이 더 체감 만족도가
높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고민입니다. 가정에서 PDP 의 밝기나 화질 충분히 만족 스러울지...
구매 모델은 최근 6 개월 이내 모델로 구매하려합니다.
2.화면 해상도가 HD 와 FULL HD 로 나뉘던데... 실제로 확 구분이 될 정도의 차이가 있는 건가요?
가격이 동일 스펙에서 약 10 만원 이상 차이가 나더라구요. 간간히 USB 에 영화 담아서 보려고 하는데...
3.다들 제품 어디서 구매 하셨는지? 인터넷이 제일 싸기는 한데, 삼성 직영매장, 하이마트, 인터넷... 같은 모델도
판매처에 따라서 부품이 약간 다르다고 들어서요.
헝글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ㅋㅋㅋ PDP 랑 LCD랑 LED랑 세개 놓고 화면 비교하면서 보실거 아니면.. 무조건 인치수 제일 큰 PDP가 장땡입니다 (2)
어차피 브라운관 티비 보시다가 바꾸시는거면 PDP로도 충분히 신세계를 경험하실거구요~
거실에 PDP있고 안방에 LCD있는데, 물론 취향차이는 있겠지만
전 PDP가 눈도 편한 느낌이고 시야각이 넓어서 갠적으로 더 만족스럽네요.
지금 티비 사야한대도 망설임 없이 PDP를 고르겠어요. (LED는 몇년 후에...)
글구, 티비 스펙 암만 좋아도 방송이 구리면 말짱 황이라는...
그냥 유선채널(아날로그) 볼때도 화질 안좋다 생각은 못했었는데
HD프리미엄채널팩(디지털) 신청해서 바꿔보고나서야 '아... 전에 보던게 구린거였구나' 깨달았네요;;
몇달전에 캐치온도 신청해서 영화채널 돌려보는 재미가 나름 쏠쏠합니다. ㅋ
요즘 PDP는 발열이나 전력소모도 예전처럼 심하지 않아요.
가격대비 괜찮습니다. usb에 영화 담아서 보실거면 full HD 추천드려요.
구입은...모델명만 잘 살펴보시고 싼데서 사심 될거같네요.
전 그냥 귀찮아서 하이마트 가서 샀었어요.
가까운데 전자랜드나 뭐 그런곳이 더 있었으면 한번쯤은 돌아보긴 했을거 같은데 멀어서;;
하이마트 포인트카드가 있기도했고, 빨리 보고싶은 마음에 거서 샀는데
나중에 보니 적립은 완전 쥐똥만큼 해주더라구요..췟
시간 좀 넉넉하면 인터넷 좀 둘러보고 싼데서 사는건데 ㅡ,.ㅡ
ㅋㅋㅋ PDP 랑 LCD랑 LED랑 세개 놓고 화면 비교하면서 보실거 아니면.. 무조건 인치수 제일 큰 PDP가 장땡입니다 (3)
LED 가 전기세가 적게 나온다고 하는데
집에서 티비 봐봐야 얼마나 보며
티비 한대의 차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전기세 차액 얼마 안 합니다.
티비 여러대 사용하는 곳이나
티비로 인한 전기세 포지션이 많이 나오는 곳에서나
PDP 보다 LED 가 전기세 적게 나오는거지요.
저희 회사는 2년전에 형광등을 모두 LED 등으로 변경 하였습니다.
전력비? 똑같습니다.........
별반 다른것도 없는데......
전기세의 메인이 티비가 아니고 티비가 몇대씩 되는것도 아니고
하루 24시간 한달 내내 티비 틀어놓는것도 아니고
PDP 나 LED 나 전력비 차이 많이 느끼지 못 할 정도 입니다.
제가 님과 같은 고민을 1개월은 하다가 피디피 구매했는데요.
1.매장에서 비교할 때 달라보이는 건 매장 사람들이 비싸고 마진 좋은 엘시디나 엘이디를 팔아먹기 위해 피디피
화질을 '최대절전'으로 설정해두고 진열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슈퍼맨 눈깔이 아닌 이상 차잇점 못느끼오니 피디피 제일 큰 티비로 가시기 바랍니다.
거실이 좁은데 제일 큰거 사도 될까 어쩔까 하는 고민일랑 하지 마세요.
저도 이 것으로 42인치와 50인치 사이에서 고민했는데요. (저희집 거실 엄청 작습니다.)
지금은 더 큰걸 살껄 후회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무조건 큰 걸로 가세요
2.제가 브라운관에서 피디피로 바꾸면서 제일 기대한 것이 바로 컴터에서 다운 받은 영화를 유에스비로 옮겨담아 볼 수 있다는 것인데요 전 hd급으로 샀는데요. 이게 블루레이급화질은 지원을 못합니다.
그래서 초고화질급 영상은 보질 못하죠. 그렇지만 뭐 왠만한 화질은 다 지원합니다.
에 또, 파일명이 dts인 것은 또 소리를 지원하지 않고요. 참 제피디피 모델은lgpt550이란 모델입니다.
그래서 10만원정도 더주고 풀hd살껄 하고 후회좀 되더라고요. 참고 하시구요.
3.저도 정말 박터지게 비교해가면서 샀는데요. 옥션,지마켓,11번가에서요. 근데 이게 장단점이 있습니다.
뭔가 하면요 제일 저렴한 곳은 배송이 느려요. 어찌된 시스템인지 잘 모르겠는데 제일 싸게 파는 곳에서 주문햇는데
1주일이 되어도 도착을 안해서 구매취소해버리고 2만원 더 비싸게 파는 다른 판매자에게 주문을 했더니 이튿날 바로 배송이 되었더라고요.구매후기 읽어보시고 또는 판매자와 통화해보시고 배송빠르게 되는 판매처에서 사는게 장땡입니다.
에또 그리고 현찰로 구매하면 특별세일기간이라 10~20% 더 할인해 준다는 곳에서는 절대 구매하지 마세요.
사기입니다.네이버에 지마켓 사기라고 치면 뜰겁니다. 까페도 있고요. 저도 하마트면 당할뻔했네요.ㅋ
아시겠지만 한 판매자가 지마켓,옥션,11번가 다 등록해 놓고 팝니다. 괜히 이쪽 저쪽 둘러보지 않아도 됩니다.ㅋ
저도 살 때 엄청 발품 팔아본 결과 옥션등에서보다 하이마트와 롯데마트 삼성홈플러스 이마트등은 3~9만원정도 더 비쌌습니
다.
4.마지막으로 사람들이 발열발열하는데요. 요즘 피디피 발열거의 없습니다. 티비에 가까이 얼굴을 갖다대야 열기가 좀 느껴지는 정도입니다. 뭔 사람들이 그리 민감한지 원...
그리고 전기세도 엘시디나 엘이디와 거의 차이없습니다. 단, 현재 브라운관티비볼때 전기세보다는 좀 더 나옵니다. 대략 7천원정도? 더 나오는거 같았고요. 화면기능에 최소절전 최대절전 어쩌고 있는데요. 절전기능없이 보는게 더 좋다면 그렇게 보세요. 그것도 차이 거의 없더라고요. 그냥 보고싶은대로 보는게 장땡입니다. 그까짓 전기세 몇천원 아끼려고 티비 볼때마다 그거 조정해가면서 보려면 스트레스 쌓입니다.
pdp나 led lcd 같이 놓고 비교하면 확 티나는데 ...
그냥 집에와서 보면 또 모르겠더라구요 이게 좋은건지 뭔지 ;;
전 led 쓰는데요 인터넷은 그냥 좀 그런거 같아서
전자랜드,하이마트,삼성,마트 중 가격보고 가장 싼곳 에서 했어요 (전자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