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natrix님의 칼럼을 읽고는 좀 정리를 해서 머리에 담아야 겠다는 생각에 질문겸 올립니다.
글의 특성상 질답란 보다는 토론방이 서로 이해를 돕는데 좋겠다는 생각에 이곳에 글을 올리니
혹시 장소가 맞지 않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댓글은 누구나 칼럼에서 Lunatrix님의 칼럼을 정독하신 분들께서 올려 주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글의 특성상 질답란 보다는 토론방이 서로 이해를 돕는데 좋겠다는 생각에 이곳에 글을 올리니
혹시 장소가 맞지 않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Lunatrix님의 이번 칼럼을 함축해 보면 올바르고 효율적인 업다운 자세에 관한 글이라고 여겨 집니다.
결국은 올바르고 효율적인 업다운을 통해서 정확한 엣징을 이룰 수 있겠구요...
제가 잘 못 이해했던 부분을 이 글을 통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1. 토턴시의 다운에서는 부츠의 구김이 필수적이며 부츠의 구김을 통해서 올바르고 효율적인 엣징이 나온다.
   -- 지금까지 제가 사용해 본 일부 유명제품의 부츠는 발목의 구김을 오히려 방해하는 쪽으로 발전한 것 같습니다.
       이온의 엄청 하드한 부츠텅이나, 0910 말라의 발목 보강대(일명: 부메랑이고 하데요...)등등---
   그렇다면 좀더 소프트한 나이키처럼 운동화형 부츠가 오히려 좋지 않겠나 생각해 봤습니다.
   그리고 이온처럼 발목구김이 어려운(불가능할지도 모르구요..) 부츠의 경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해 봤습니다.

2. 힐턴시-- 제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자세와 많이 상이해서 다시 이해 하고자 합니다.
    제가 처음 배울 때 힐턴의 "자세는 허리를 굽히지 말고 곧게 세워라" 였습니다.
    그래서 보드가 아무리 프리라 하지만 고릴라, 일명 형님 자세는 좋지못한 자세로 알고 있었고요..

    그런데 칼럼에서 힐턴 자세는 허리를 제법 많이 굽힌 자세가 좋은 자세로 이해 하였습니다.
    저만 그런지는 몰라도 힐턴시 허리를 굽히는 것보다 허리를 펴는 것이 훨씬 어렵고 힘이 드는데
    지금까지 괜한 짓을 했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또 허리를 굽히면 물리적으로 엉덩이는 뒤로 빠지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자세인데
    동영상의 많의 조언중에는 "힐턴시 엉덩이가 빠지네요" 란 글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글의 내용중 "현재 사용하는 엣지의 반대편 설면과 가까워 질수록 큰 엣징이 된다"
     다시 말해서 힐턴시 반대편 엣지인 프론트엣지쪽으로 몸을 숙일수록 엣지가 살아난다는 말인데
     이 내용과 그림대로라면 힐턴시에 허리를 곧게 세우는 것이 오히려 틀린 자세다 할 수 있겠는데...

위의 두가지 점을 제가 옳게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엮인글 :

론리보더 ~ ♪

2010.02.12 18:36:34
*.127.218.162

토턴의 발목 부분은 이부분을 잘 읽어 보시면 될 듯 합니다

---------------------------------------------------------------------------------------------------
부츠를 구기지 않았더니 다운을 할수록 급격한 앵귤레이션이 들어가고 그것때문에 어마어마한 엣징이 생기는걸 알수 있습니다.

B-1은 A보다 더 다운을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엣징이 더 크고, B-2는 비슷하게 다운을 했더니 굉장한 엣지각이 생긴것을 볼수 있죠.

이런 엣징은 일단 우리가 감당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턴이 급작스럽게 작아져서 인클이 따라가지 못해서 데크가 튕기거나 엣지가 너무 서서 설면이 감당을 못하고 슬립이 나게되죠.

가끔 토에서 팍 앉으면 몸이 뒤로 확 제껴지면서 자기도 모르게 일어나게 되거나 역엣지 먹는 이유가 바로 이렇게 급작스런 앵귤 작용으로 엣지각이 서면서 인클각이 따라가지 못해서 데크 탄성을 억제하지 못해 생기는 것이지요.
--------------------------------------------------------------------------------------------------------------

이걸 머리로든 몸으로든 이해하신 분들은
토턴시 발목을 이용해서 그립력을 조절할 수가 있죠

엣지 각이 모자르다 싶으면 발목을 펴주어는 동작으로 보완이 가능한데
칼럼에도 나왔듯이 잘 못하면 엣지가 터지면서 데크가 튕기기도 합니다.
반면 잘 되면 턴이 무지 감기는 맛을 볼 수도 있구요

JohnBird

2010.02.12 20:08:28
*.120.104.232


허리가 아니라 고관절을 굽히는 것입니다.
허리를 굽히는 것과 고관절을 굽히는 것은 비슷해 보이긴 해도 엄연히 다른거랍니다~

따랑해

2010.02.12 21:31:11
*.226.215.119

1번의 경우에
------------------------------------------------------------------------------
부츠를 구기지 않았더니 다운을 할수록 급격한 앵귤레이션이 들어가고 그것때문에 어마어마한 엣징이 생기는걸 알수 있습니다.

B-1은 A보다 더 다운을 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엣징이 더 크고, B-2는 비슷하게 다운을 했더니 굉장한 엣지각이 생긴것을 볼수 있죠.

이런 엣징은 일단 우리가 감당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턴이 급작스럽게 작아져서 인클이 따라가지 못해서 데크가 튕기거나 엣지가 너무 서서 설면이 감당을 못하고 슬립이 나게되죠.

가끔 토에서 팍 앉으면 몸이 뒤로 확 제껴지면서 자기도 모르게 일어나게 되거나 역엣지 먹는 이유가 바로 이렇게 급작스런 앵귤 작용으로 엣지각이 서면서 인클각이 따라가지 못해서 데크 탄성을 억제하지 못해 생기는 것이지요.
-----------------------------------------------------------------------------
에서 마지막 역엣지를 먹는것은 순간적으로 강하게 변하는 엣지각을 몸의 중심이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무슨말이면 엣지각이 커지면서 순간적으로 강한 원심력이 나옵니다. 그래서 몸의 중심이 그 원심력에 맞춰서 안쪽으로 옴겨
져야 하는데(인클리네이션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말이지요) 몸의 중심이 그렇게 하지 못하고 바깥부분으로 빠지는 순간
원심력의 제어를 잃게 되어 팅겨져 나가는 겁니다.

하드한 부츠는 상급자에게 좋습니다. 조금의 업다운으로도 커다란 엣지각과 빠른 반응을 가져오기 떄문이지요. 그러나 초보자에겐 너무나 갑작스럽고 큰 변화가 오기 때문에 그에 적응하지 못하는거죠. 그래서 배내밀기등으로 엣지각의 변화를 쉽게 줄수 있으면서도 급격한 변화를 막는 방법을 쓰는겁니다. 아니면 소프트한 부츠로 부츠를 구기며 턴을 해도 좋지요.
상급자에게 소프트한 부츠를 주며 턴을 하라고 한다면 원하는 상황에서 빠른 반응이 안나와서 좋아하진 않을것 같군요.
물론 그것도 조금 타면 적응하고 잘 타겠지만요.
아마 이것은 칼럼을 쓰신분과 다른 의견일듯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하드한 부츠가 따른 반응과 좀더 큰 엣지를 줄수 있기
때문에 좋다고 봅니다.

두번째것은 윗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안전보더

2010.02.12 21:53:03
*.219.82.82

강사님에게 들었던 기억으로 볼 때 첫 번째(토턴)는 따랑해님 말씀대로 거의 비슷한 말씀을 하셨고요.
(따랑해님의 원심력의 제어여부, 원심력과- 인클과의 관계를.. 요즘 연습하면서 절감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두 번째는 '고릴라 마냥 허리를 꾸부정하게 굽히라는 이야기' 가 아니라,
골반을 안쪽으로 접으라는 이야기로 하시더군요.
제가 이해하기에는 허리는 자연스럽게 힘 안드는 자세로 펴주고
(꼿꼿히 펴라는 이야기가 아니죠. 힘들잖아요^^)
골반만 내측으로 접어주면 될 것 같습니다.

골반을 접는데다가 + 허리까지 꾸부정 해져버리면, 엉덩이가 빠져 버리는 자세가 맞지요. ^^

너무 피시거나, 너무 굽어버리시면, 원심력과 인클의 부조화가 오거나,
또는 턴이 터져버리는(엣징을 이용하지 못하고 슬립이 되버리는) 경우를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저도.. 이것 때문에 한 시즌을 허비했었습니다. ㅠㅠ)

안단테

2010.02.12 22:01:00
*.16.157.204

토턴시의 부츠구김에 관해서는 좀더 충분한 토론을 통해서 습득을 해야 하겠구요.
2번, 힐턴시에 허리와 고관절 부분은 잘 이해 했습니다.
저도 허리를 새우등처럼 굽히느냐 하는 뜻으로 질문한 것은 아니구요...
다만 고관절의 각도를 앞으로 줄이면 척추도 당연히 그에 비례해서 숙여지고
엉덩이의 빠짐은 피치 못할 것 같은데 제가 강습을 통해서 배웠던 것은
"허리는 펴고 다운을 해라 " 였습니다. 이것이 잘못된 것인가의 질문이었습니다.

아니면 엉덩이를 빼지 않고도 고관절을 숙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안단테

2010.02.12 22:06:50
*.16.157.204

안전보더님의 댓글로 지금 생각났는데 혹시 엉덩이를 뒤로 충분히 빼면서 골반을 접어
허리를 세우는 스쿼트 자세를 말씀하시는 것은 아닌지요...
저도 이 자세를 상상해 보았습니다만 칼럼의 그림이나 설명은 이 스쿼트 자세와는
다르다고 생각이 되는군요.

2010.02.12 23:24:05
*.51.112.62

칼럼에서 서술하신 내용의 이유때문에,
업다운보다 앵귤을 이용하면 보다 쉬운 라이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라이딩을 하면서 느낄수 있습니다.
힘들게 중력과 원심력에 대항해가면서 힘들게 몸을 접었다 폈다 하는 것보다는,
먼저 자연적인 중력에 살짝 몸을 맡겼다가(내경)
그다음 증가되는 원심력에 몸을 살짝 맡기기만 하면(외경)
힘의 균형상태가 유지되어 보다 큰 엣징으로 보다 강화된 프레싱에 의해
별로 힘 안들이고 타이트하면서도 다이나믹한 턴을 이루어낼 수 있으니깐요.

즉, 앵귤에 의해서도 쉽게 프레싱이 조절이 됩니다.
업다운을 전혀 하지 않고도 앵귤만으로도 턴에 필요한 엣지각과 프레스를 충분히 얻어낼수 있지요.

하지만, 이것은 완경사에서의 카빙에서 특히, 턴의 유효반경이 큰 경우에나 가능합니다.
이것만으로는 라이딩의 퍼포먼스를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개는 부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이백 포워드린을 하고서,
적절한 업다운을 같이 가미한 자세로 적절한 앵귤로 엣지각을 얻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유는 앞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프리스타일 스노우보딩은
덕스탠스(?)로 옆으로 타는 자세이고, 소프트부츠이며, 넓은 데크이기 때문에 갖는 한계 때문에,
무리한 자세로 인한 인체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로 안정된 자세로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추구하기 위함이지요.

또한, 마지막에 넌지시 로테이션이 포함되지 않은 이러한 논의는 실제 라이딩 포즈와 너무나도 많이 다르다고
언급하고 계시듯이, 우리들은 그림에서 보여주고 있는 자세로 실제로 라이딩하지 않습니다.

글쓴이(Lunatrix님)는 어떤 진짜 결론을 감추어두고서 일부러 이런 여운을 남겨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글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라이더들이 글쓴이가 쓰신 글의 논리를 잘못 오해해서,
깊은 다운의 자세의 엣지각이 업자세에서의 앵귤로 얻는 엣지각과 같기 때문에
업다운을 힘들여 굳이 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즉, 고추내밀기 자세가 올바른 자세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자칫 이런 자세로 중경사이상의 급경사에서 고속카빙에 이런 자세를 활용하는 경우,
급작스럽게 얻어지는 과도한 엣지각으로 인해 척추부상이라는 중대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칼럼의 내용은 훌룡합니다.
칼럼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클과 앵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보다 바람직한 라이딩 자세에 대한 고민을 우리 라이더들에게 숙제로 남겨둔 듯 합니다.

안전보더

2010.02.13 00:36:20
*.220.129.36

안단테님// 스쿼트 자세를 말씀드린 건 아니고요. ^^ 스쿼트도 척추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자세 아닌가요?^^
허리를 펴라...라는 말을 저는 허리와 골반 허벅지를 L 자로 펴라라는 이야기라기 보다는,
아시는 대로 새우등을 하지 말라는..이야기로 생각됩니다.
(제 이해가 저차원적일 수 있습니다. 저도 배우는 과정이라서 ^^;;;)

강사분의 라이딩도 보고, 라이딩시 지적하시는 부분을 볼 때
상체에 힘을 주지 않으면서 가볍게 골반을 접어서 타라는 말씀으로 들었답니다.
(그래야 돌발상황이든, 다른 상황이 벌어지든 대처가 빠르다는 걸로 이해했습니다만..)
이것도 엣지의 세우는 정도, 원심력의 세기, 프레스의 정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만..

얼마전에 헝그리보더 동영상엔가 올라온
일본인들 동영상 "How to backside" 인가에 하야시 다이스케 인가 하는 분이
이야기 한 걸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싶네요.



가므

2010.02.13 13:50:51
*.69.222.164

이온부츠는 발목이 상당히 잘 구겨집니다.
소프트한 편이죠.

허리를 굽히는것과 고관절을 굽히는것은 전혀 다른내용입니다.
고관절은 최대한 사용하고 허리는 굽히지 말아야합니다.

안단테

2010.02.13 18:51:59
*.16.157.204

네! 여러분들의 말씀 잘 들었습니다.
뭔가 정립된 이론을 통한 업다운이면 습득이 더 쉬울 것 같다는 생각에 제 이해가 조금 딸리는 부분에 대한
질문을 올린 것입니다.
칼럼과 여러분들의 말씀을 숙지하고 스스로 몸으로 터득하는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한가지 제가 아직은 초보자 이다 보니까 뭔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우린 살다보면 논리와 용어에 너무 풍덩 빠질 때가 있습니다.
어떤 행위이든 아주 쉬운 첫 시작점이 있기 마련인데 그 쉬운 시작점을 뛰어 넘어서 헤메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죠...

댓글의 고관절은 접되 허리는 굽히는 것이 아니다 , 혹은 고관절은 접되 엉덩이는 빼지 마라... 등등

저의 얕은 지식으로는 인체 구조상 고관절을 충분히 접기 위해서 허리(등이 아님)의 굽어짐이나
엉덩이의 빠짐은 피할 수 없는 결과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같은 결과물이라도 과정은 다르겠지요.
다시 말해서 고관절을 접기위해서 필연적으로 어느정도 나오는 엉덩이 빠짐과
엉덩이 빼기 위해서 고관절이 접혀지는 것과의 차이 말이죠...

저도 힐턴시 허리를 펴야 한다는 말 때문에 꼿꼿이 펴다가 짜꾸 턴이 터져서 허리를 숙여도 보고
고릴라 자세도 해보고 했습니다만 아직도 어떤 자세가 옳은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지금도 머리속으로 허리를 숙이지 않고, 엉덩이를 빼지 않고 고관절을 접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머리속으로 상상합니다만 그것이 무엇을 말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겠습니다.

제가 앞에 논리와 용어 얘기를 하면서 쉬운 시작점 얘기를 했습니다만...
그래서 저 같은 초보자에게는 "예"를 들어 " 고관절을 접는 것은 허리를 굽히는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는
아주 쉬운 시작점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다운자세에서 등이 아닌 허리를 굽히는데 고관절이 접히지 않을 수가 있는지...
또 고관절 환자가 배꼽인사를 할 수 있는지... 등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지 않겠는지요.

그런데 "고관절을 접는 것과 허리를 굽히는 것은 다르며 허리를 굽히면 안된다"로
바로 시작을 하니까 저 같은 초보가 헤메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 것입니다.

제가 Lunatrix님의 칼럼과 그림을 보면서 깊은 흥미를 느낀점도 제가 느낀 것과
같은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었고 그 중의 하나가 힐턴시의 자세였습니다.
그래서 옳다구나! 이제 허리를 굽혀보자~
그 전에 내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바른 것인지 이곳을 통해서 확인해 보자...

글을 올리게 된 계기가 이렇게 되었습니다.
암튼 제게 숙제가 되었으니 모든 분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연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돌씨

2010.02.14 22:30:40
*.127.102.17

동영상에 일본 프로들 설명 (번역까지 된) 나오는것 있는데 거기서 고관절 사용에 대한 부분, 힐턴에서 단순히 무릎굽히고 다운하면 보드가 오히려 누워버린다는 점을 몇명이나 강조하더군요.

레귤러면 왼다리는 오히려 펴고 후경에 가깝게 하는 식으로 타는게 각을 세운다는 면에서 유리할수도 있고...

역시 동영상이나 프로들의 실전얘기들이 많이 참고가 되더라구요.

남군

2010.03.02 11:23:30
*.147.11.250

고관절의 굽힘을 이용한 힐턴을 보며 '엉덩이가 빠져 보인다. 그래서 잘 못된 자세다'라고 하셨던 분들이 꽤 많았지요..
^^ 열심히 라이딩하여 직접 경험해 보시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18
1142 부츠 275 사이즈에서 바인딩 사이즈에 대한 고찰 [8] 장어구이 2014-01-21   3515
1141 디렉트윈과, 트윈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6] 잇뽀 2011-12-25   3452
» Lunatrix님 칼럼에 관한 이해... [12] 안단테 2010-02-12   3013
1139 중고 헬멧 과연 뽑기인가?? [22] 리나인바스 2013-09-23   2679
1138 강사로 잘먹고 잘 살 수 있을까요? [27] 빵쿠 2014-11-16   8423
1137 통합 리프트권에 대한 초보 보더의 짧은 생각~~^^ [19] 혼이담긴보더 2011-03-14   6139
1136 보드와스키의 충돌사고후 보상이 막막하여 분통터집니다.제발 읽어주세요.ㅠ file [33] 초코무비 2016-01-15   10947
1135 빅에어...... [5] DJ.sw 2010-01-15   3654
1134 정말로 황당한 보더네요~ 보더들도 기본 예의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12] georgee 2011-03-09   7394
1133 리프트에서의 담배..ㅡ.ㅡ;; [49] 내비둬라 2011-01-31   6935
1132 박순백 칼럼에 올라온 보더에 관한 문제입니다. [65] 쿨러닝! 2012-01-10   7450
1131 카페, 동호회 정기캠프시 초보자 강습과 관련하여... [9] 아르미스 2010-06-16   3258
1130 리조트 주차장에서 발생되는 고객차량파손은 고객의 몫이다. [8] 한준희 2010-01-18   3541
1129 초보에게 오히려 역캠이 좋다?? [12] H2]히로 2012-02-08   5985
1128 시즌방 게스트 비용... [12] 정~ 2011-11-28   4161
1127 다들 좋은 장비 있으신가요?? [47] 피브리조 2018-12-11   6920
1126 슬림핏 보호대 진짜 보호가 잘 되는 건가요? [34] 꽃(등심)보더 2010-11-01   5617
1125 닉네임 겨울감기 [9] 작은당 2010-12-30   3116
1124 트릭의 시작은 언제? [53] 라이딩의끝... 2010-11-05   5955
1123 자신의 시즌 년차 계산은 어떻게 하시나요?? [34] 보노보더 2011-01-13   4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