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프트 탑승장 앞 대기 중에 스케이팅으로 타는 것과 들고 타는 것에 대한 논란이 상당히 많은데요

결론은 들고 타던 바인딩 체결하고 타던 그 행위를 하는 사람에 달려있는게 아닐까 합니다.


15년 전에 처음 보드를 접했을 때 보더를 거부하는 스키장도 많고 보더가 탈 수 있는 슬로프가 제한되어있던 시절에는
유럽 처럼 바인딩 체결을 안하면 리프트 안태워주는 스키장도 있었죠 (ex 베어스 타운) . 그 당시 겨울 스포츠의 메카였던 동대문 운동장에서 보드 셋을 사니까 리쉬코드를 그냥 달아주더군요(뭔지도 몰랐었습니다. 그냥 점원이 탈 때 다리에 꼭 묶고 타세요 이랬으니까요 요즘은 그런 일 없지만요)

그 때는 지금보다 사람도 적었고 서로의 장비에 대한 예의도 있었으니 스케이팅을 하더라도 데크가 상하거나 하는 일도 드물었으니
맘놓고 스케이팅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그랬는데 어느 순간 부터 보더가 급격히 늘어 나더니 (스키어도 많이 늘어났지만) 리프트 줄도 길어지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도 없어지다
보니 타인의 장비를 상처 내도 그냥 가기 일수고 스키어가 폴로 찍고 하면서 상처가 나더군요 여기까지는 좋습니다. 데크는 소모품이고 가만히 서있는 곳에서 기스나는게 기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겠습니까?.. 한데 데크를  툭툭 치는 신경이 거슬리는 행동이 잦아지더군요 날이 지날수록 그래서 이제는 데크 들고 탑니다.

왜 계속 회자 되는 이야기를 굳이 이렇게 썼냐면 몇몇분들의 글을 보니 마치 스케이팅을 하면 고수고 들고 타면 초보다 못배워서 들고 타는 거다 유럽에서는 다 스케이팅 하는데 우리나라는 후진국이라 보더의 수준이 저질이라 들고 탄다 라는 논지로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한 번 적어보았습니다.

그 나라 실정에 맞게 , 그리고 보더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하는 것이 맞겠지요 물론, 들고 타서 유령 데크를 만들거나 슬로프에 데크 투하로 다른 스키어나 보더를 다치게 해서는 안되겠니 그에 대한 대비는 해야겠지만 꼭 그 해답이 바인딩 체결후 리프트 탑승으로 결론 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엮인글 :

교주™

2010.01.05 11:21:52
*.62.87.66

전 조금 다른 생각인데요...

스키를 예로 생각해보면 간단할듯 합니다.

그 어느 보드장이건 스키어가 스키를 들고 립트 타려 하면 제지를 당합니다.

이유는 당연히 안전을 위해서죠...

타인의 안전도 안전이지만 스키부츠가 미끄럽기에 스키어 본인의 안전을 위해 강제 하는것이죠...

마찬가지로 보드역시 익숙해지고, 약간의 훈련만 되어 있다면 종종걸음 치는거 보단 훨씬 빠르게 립트 반경 밖으로

나갈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케이팅이 꼭 립트위에서의 낙하 때문만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일단 한쪽 발에 결착이 되어있는 상태로 슬롭을 이동하게 될테고, 그로인해 유령 데크의 질주를 볼 확율은 줄어 들겠죠...

초보분들... 나름 터프하게 보일려고 그러는건지 슬롭 진입로에 와서는 바닥에 내 팽겨 치는거 자주 봅니다.

그러다 여차하면 놓치는건데 말이죠... 스케이팅이 강제 된다면 어떨까요?

패대기 치는 모습 볼일 없을겁니다.

나머니 한쪽만 결착하면 되므로 진입로에서 머무는 시간도 줄어들테고...

지금처럼 2열 3열로 늘어진 인의 장벽을 안봐도 되겠죠...


아무리 생각해도 단점보단 장점이 훨씬 많네요...

하다못해 초급을 제외한 중급 이상의 슬롭으로 가는 립트에서만이라도 시행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스케이팅도 못하는 사람이 중급에 갈일 없다는게 제 생각이니까요... 왜 가는걸까요??

교주™

2010.01.05 11:25:07
*.62.87.66

추가하자면... 모든 보드장에서 스케이팅을 강제로 한다면... 지금처럼 논란도 없어질겁니다. 당연한거니까...

그리고 그 당연한게 되어 버리면 상대의 장비에 대한 배려도 생기겠죠...

당연히 스케이팅을 해야하는거니까!

지금처럼 안해도 되는걸 왜 굳이 하나... 이런 생각이 들 여지를 준다면 논란은 계속될겁니다.

위에 말한거 다시 반복하자면... 초급 슬롭 하나만 들고 타게 해준다면 서로서로 편할듯 하네요...

안그런가요?

C

2010.01.05 14:04:33
*.87.61.104

제가 이 글을 쓴 글을 요약하면

"전에는 스케이팅을 했었다가 사람들의 의식 때문에 이제는 들고 타는 것을 바꿨다" 입니다.

매너 있는 상태에서 매너 없는 상태로 흘러 왔는데 강제로 적용하면 매너가 생길 것이다 라는 부분은 저로써는 납득이 가질 않는 군요

또한 위에 썼듯이 그 나라 실정에 맞게 보더의 의지대로 (물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하자는게 제 주장이었습니다.

데크를 들고 타는 사람은 전부 바닥에 리프트에서 내려서 데크를 패대기 치는 걸까요?

데크를 들고 타는 사람만 리프트 하차장에 2열 3열 줄을 만들까요?

위에 언급한 두 가지 사항은 데크를 들고 타는 사람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그 개인 의식 수준의 차이일 뿐입니다.

왜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표방하면서 즐기는 스키 리조트에서 조차 규제를 가하고 일률적인 행동을 하길 바라십니까?

들고 타면 망나니고 문제를 일으킬 것이고 스케이팅 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의 접근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스케이팅할때 자주 일어나는 문제가 리프트 승 하차시 넘어짐 입니다. 그로 인해서 뒤에 사람도 위험하고요

스케이팅 하시는 분 중에 리트스 승차시 앞 리프트 잡고 이동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면 리프트 전체적인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스케이팅은 리조트에서 규제해야 합니다. 라고 똑같이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은 자신만의 잣대로 남의 행동까지 함부로 규제하지는 말자 입니다.

Exception

2010.01.05 14:38:21
*.143.140.167

매너와 안전문제는 다른건데요.

스케이팅을 강제하자는건.. 자유민주주의와 아무 상관 없고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자는겁니다.
안전벨트를 강제하듯이

그리고 리프트 잡고 승차위치까지 이동하는게 고장의 원인이 된다면.. 리프트 어떻게 타나요?
그걸 잡고 흔들고 비틀고 할 정도의 힘도 안되는데
그정도로 리프트가 고장날꺼라면 거기 앉아서 산 꼭대기 까지 올라갈 생각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스펜서

2010.01.05 18:18:17
*.60.150.84

일본 강습 동영상 두 개정도를 봤는데
강습 순서가 스케이팅과 베이스 글라이딩후 리프권/시즌권 끊어서 리프트 탑승합니다.

스키도 처음 초보들은 슬로프 옆 마당에서 열심히 연습하잔아요.
흡사 군대에서 공수접지를 위해 마당공수만 혹독하면서도 지겹게 하는것 처럼요.
보드만 그런 과정없이 리프트 타는 특권을 누린다고 생각하시면
리프트권 사지말고 기본부터 익히고 난 후 리프트권을 샀으면 합니다.

코요

2010.01.05 23:31:00
*.199.144.207

사람 없는 평일에야 바인딩 체결하고 가는게 맞다 치더라도 주말에 보드 타 보세요 스케이팅 엄두가 감히 안 남니다.
저도 처음에 몇년간은 스케이팅하고 리프트 탔지만 주말보더다 보니 이제 가끔 리프트에서 스케이팅 해서 내리려면 어색하네스스케이팅을 강제한다면 주말에 리프트 타려면 눈이 없는 맨땅위에서 대기 해야 할 수도--.--

스키는 리프트 바에 걸기가 보드보다 불편하고 갯수도 많다보니 부주의 하면 떨굴 수 있게 되죠 . 그래서 리조트에서 제제 하는거겠죠.. 그리고 보드는 리프트 바에 걸고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떨어질 일 거의 없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리조트 상황상 스케이팅 보다는 차라리 리쉬코드를 의무화 하는게 맞다고 보여지네요.

C

2010.01.06 08:45:58
*.87.61.104

스펜서 님의 말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코요님도 지적 하셨듯이
우리나라 처럼 스키장 수에 비해 사람 수가 현격하게 많을 경우 예외가 인정되어야 한다는 말이지요
본문에도 썼듯이 예전에 상황이 허락하는 내에서는 스케이팅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만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무조건 규제만 하자 라는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리쉬코드 의무화 정도의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최소한의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말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멜랑

2010.01.06 16:50:14
*.106.96.161

예전에 어떤 초보분이 와서 바인딩은 어떻게 묶냐고 물어보더군요...
자세히 가르쳐 주긴했지만.
정말 심각하지요. 상급 슬로프 한가운데서 나란히 바인딩 채우고 있는 초보분들에게 뭐라 할말이있겠습니까?
몰라서 그런거겠지요
처음 입문자에게는 어느정도 기초지식과 스키장문화를 가르쳐야하는데 돈주고 강습받는거 너무 아까워합니다.
친구나 동호회에들어가 입문하는것이 문제가 있지않나 싶어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리프트 대기열이 많을때 스케이팅 좀 싫습니다.
들고타는게 훨씬 안전하고 편합니다. 옆사람에게도 편하구요.
뭐 리프트타다가 보드떨어져면 많이 위험하다고하는 발상이 의심스럽습니다.
리쉬코드 하면 안전한가요?
스케이팅하면서 리프트 탈때 내릴때 정말 아찔한 순간을 많이 격었습니다.

뷰티헤어

2010.01.07 11:56:51
*.253.80.126

예전의 이 관련된 어떤글에 리플을 달았는데 그 아래로 댓글이 하나 더 달렸더군요.
사고는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기때문에 그 가능성이 매우 작아도 그런 경우를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바인딩을 채결후
리프트를 탑승해야한다. 라는 내용..

만에하나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대비가 다른 위험성을 높이지 않는다면 당연히 그리해야겠죠. 예를 들면 헬멧을 쓰는일은
다른 누구에게도 어떤피해가 없으므로 필수라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상황에서 리프트 바인딩체결탑승은 그렇지 않습니다. 여지껏 리프트에서 떨어진 데크를 맞아 누군가 상해를 입었다는 뉴스를 여기계신 분들은 단 한번이라도 본적이 있으신지요? 검색을 해보아도 이런 경우는 아직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극 희박한 사실상 없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승하차시 추가적인 위험이 생기고 서로 불쾌한일도 많아져 부가적인 문제가 생기는 등의 일을 모두 감수해야 하는것인가 의문이 듭니다.
차라리 슬롭위를 리프트가 지나가는 구간에 안전망설치를 스키장에 요구하는게 바람직하지 않을지요.
바인딩 쪼르르 앉아 채결하는 초보때문에 불편하다면 초보들이 않아서 바인딩 묶는 구역을 따로 만들어 달라고 스키장에
요구하는게 더 나아보입니다.

외국과 우리나라는 슬롭환경도 다르고 현실이 다른데 외국은 이리하니 우리도 해야한다고 하는 주장도 이상하고,
데크 투하 등의 극단적인 몰상식한 예를 드는것은 적합하지 않은듯 합니다. 이런 상식밖의 사람들은 스케이팅 의무화가 되어도 바인딩을 풀고 그런 행동을 할 소지가 없다고 못할테니까요..

항상 혹시모를 위험때문에.. 라는 논리로 스케이팅을 강제화하자고 주장하는 분들이 보여서 자꾸 글을 쓰게 되네요..
스케이팅때문에 훨씬 위험한 일도 많습니다. 리프트하차할때 초보가 옆사람 잡고 넘어지면서 아수라장이 한두번 되어보면 생각이 좀 바뀌시려나요.. 저도 강촌다니다가 이런일 두번쯤 겪고 대명으로 옮겼습니다. 엄청 위험합니다..

교주™

2010.01.07 15:24:22
*.62.87.66

좀.... 리프트 하차할때 넘어지는 경우의 수를 가지고 말씀하신다면... 거참...

그 전에 스케이팅의 연습후에 립트권 발권이라는 말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코요님... 스키는 떨어트릴까봐 강제하는것이 아니고 스키 부츠 자체가 워낙에 미끄럽고 걸음 자체가 부자연 스러워서

강제 하는거랍니다.

자꾸 우리나라 현실을 말씀하시는데...

안전상의 문제를 말하는데 있어서 왜 리프트 대기줄이 길어짐을 말하죠?

무슨 관계인가요...

외국의 경우엔 우리나라 처럼 팬스가 전 슬롭에 걸쳐서 쳐지지도 않았습니다.

스스로가 실력에 맞는 슬롭을 선택하여야 하는거죠...

그런곳에서도 바인딩 체결후의 스케이팅을 강제 하는 이유가 뭘까요...

조금이라도 사고의 여지가 있다면 막아야 겠죠...

하차시에 넘어져서 다치는거랑, 낙하로 인한 다침... 혹은 낙하후의 유령데크로 인한 2차적인 피해랑

어느것이 더 큰 사고로 이어질지 생각해 보시길...



profile

내친구블랙싼

2010.01.08 10:29:46
*.185.189.131

전 스케이팅시 왼발 체결하는데요..

리프트 대기중에서는 왼발을 뒷쪽으로 빼서 보드 엣지가 하늘을 향하게 하고 있습니다.

정인교

2010.01.08 10:50:13
*.176.123.30

저같이 무릎이 안 좋은 사람이나 고관절이 안좋은 사람은

한두시간만 그렇게 타도 통증이 장난이 아닙니다...
심지어 평지에서 걷기도 힘들어서 한시간 넘게 휴식을 취하기도 했었구요

개인차도 인정해야 할 문제라고 보네요

Mito

2010.01.12 10:15:23
*.193.194.24

우리나라 상황에선 스케이팅이 힘들어 보입니다.

차라리 리쉬코드 의무화가 나을듯하네요..

교주™

2010.01.14 13:13:05
*.62.87.66

스케이팅하고 리쉬의무화................... 같은말 아닌가요? ㅡ_ㅡ;;;

volcomsnow

2010.01.14 23:40:24
*.178.36.137

이런걸 또 얘기해야하나...

리프트에서 떨어진 보드사고는 꽤 많이 있었고요

리프트 대기줄에서 스케이팅은 안해도 되고요 리프트 탑승전에만 하면 되고요

제일 중요한건 내가 안전하게 들고 타면 되는게 아니고

그걸 따라하는 초보 라이더들이 안전의식없이 따라하는걸 더 문제로 여기는거랍니다.

즉 난 안전하게 들고 타는데 왜 나한테 모라하지~?

요게 아니라

그런 의식없이 따라하는 초보 보더들이 문제이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여기 헝글에서조차도 그게 왜 중요한지를 아직도 모르는걸 보면

다른 분들은 더더욱 모르리라고 생각 됩니다.


윗분들 논리는 작은 확률의 안전 문제로 많은 불편을 격는 스케이팅을 꼭 해야하나 이것인데요..


스케이팅이 꼭 불편한 것만은 아니라고 단언코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

2010.01.21 11:56:34
*.143.183.24

들고타는사람은 들고 타는사람끼리 맆트타고 스케이팅하는 사람 스케이팅하는 사람끼리 탔으면 좋겠네요

저두 스케이팅하는거 적극적으로 긍정하는데요!

간혹옆에 들고 타는분들 있을때 맆트타기전에 데크 밝아서 넘어질뻔한적 수차례 있었고

또 립트 탈때 들고 있던 데크로 고글이나 헬멧 쪽 치거나 스치는거는 엄청 많았구요

스케이팅 힘든것도 아니고 폼으로 하는것도 아닙니다! 단지 안전을위해서 (타인의 안전)

내려서 패데기 치는 사람들은 보통 렌탈하신분들이 많이 그러고 들고 타도 조심해서 하는분들도 많지만!

아무튼 스케이팅 의무화 까지는 아니더라도 스키장 처음 오신분들이 바로 스케이팅을 해라!

이것도 좀 그렇고! 다만! 자기실력에 맞는 슬롶 선택해서 타셧으면 좋겠네요

스킨키드

2010.01.21 13:47:57
*.205.14.130

스케이팅 문제의 근본적인 논점은 대형 인명사고 예방이라고 생각합니다.
리프트 위에서 보드 데크나 스키 프레이트, 폴대의 추락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요소,
그리고 슬로프 상단 스타트 지점에서 데크 및 플레이트 분실로 인한 유령 데크의 폭주가
가장 심각한 문제죠. 스케이팅은 검표 직전이나 통과 직후 체결 등
체증을 덜 유발하는 방법으로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하면 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심각한 위해 요소를 안고 있는 안전문제는
자율적으로 맡겨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의무화' 해야되는 부분입니다.
아직 법규라든가 제도의 미비로 관련 규정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뿐입니다.
스키어나 보더가 지켜야 할 에티켓과 안전수칙이 있듯이,
스키장측에서 의무적으로 확보해야 할 안전장치들이 있습니다.

리프트 이동 경로를 슬로프에서 벗어나게 설치 하든지,
리프트 이동경로 하단에 그물망을 설치하든지,
리프트 이용객에게 바이딩과 플레이트 체결을 의무화 하든지...
어떤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빨리 쉽게 가능하겠습니까?
일단 돈이나 관련 법규 등과 관계 없이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죠.
첫번째 두번째 것이 이루어 지려면 아마도 동계올림픽 유치부터 성공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해외 사례까지 비교하면서 선진 스키장 안전문화를 따라하라고 서둘러 제도를 마련할 테니까요~~ㅋㅋㅋ

어쨌든 세 가지 사항 모두가 의무화 되어야 하겠지만,
결국 세번째 사항이 가장 먼저 실현 되리라 전망해 봅니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는
전국 17개 스키장의 슬로프에서 몇 명이나 될지 모르는 우리 이웃들의
머리가 터지고, 팔다리가 부러지고, 인대와 근육의 심각한 손상, 척추신경 파손에 의한 반신불수 등
최악의 인명사고가 축적되어 보도되고 문제점이 지적되어야 겟지요~
하얀 설원 위에 얼마나 많은 피가 붉게 물들어야 이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까요~~+.+;; 13:33:19


샤넬

2010.01.27 12:11:42
*.44.177.71

역시 스케이트가 진리인가요?
스케이팅을 먼저 숙련시키면서 라이딩 배워도 늦지 않았습니다.
하다보니 늘던데요 안하면 안할수록 못하는거죠. 스케이팅해서 안다치는건 아니지만
저는 스케이팅할래요~

므너

2010.01.30 02:04:42
*.68.125.55

외람된 이야기지만 스케이팅 자체가 라이딩에 도움이 됩니다.

전경을 사용하는 것이던지, 상체의 틀어짐이 없이 베이스 쓰는 것이던지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보드장에살어리랏다

2010.02.01 10:54:15
*.80.124.42

" 마치 스케이팅을 하면 고수고 들고 타면 초보다 못배워서 들고 타는 거다 "

" 잘 타는 사람은 다 덕스탠스이다. "

등등,, 보드에 대한 말도 안되는 논리들은 좀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루비야

2010.02.03 02:36:16
*.141.109.144

3년전에는 스케이팅 했지만, 하차장에서 아찔한 순간을 몇번 겪은 뒤로 들고 타고 있습니다. 그런 뒤에는 겁나더라구요. 따닥따닥 붙어앉은 옆의사람들과 스케이팅으로 하차할때 꼭 엉킬것만같은 심리적 압박감이랄까...? 오늘 혹자는 그러더군요. 스케이팅도 못하면서 무슨 라이딩을 하냐, 보드 처음부터 다시 배워라...라고.

珍매니아

2010.12.13 23:40:05
*.149.255.78

전 스케이팅 하면 발목과 무릎에 무리가 와서...아파서 도저히 못하는데 이럴댄 어쪄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15

스키장 운영과 기타잡설 [14]

1011시즌, 안전을 위한 캠페인과 헝글의 힘 [6]

  • windsong
  • 2010-03-03
  • 추천 수 0
  • 조회 수 3968

여러분들 생각에 최적의 스키장을 고르는 기준과 나의 베이스는? [54]

  • J.routine
  • 2017-09-18
  • 추천 수 0
  • 조회 수 6391

보딩중 헤드셋이용 [22]

귀가행 셔틀에서 경우지 아닌곳에서 내리는 경우 [10]

답없는 얘기지만..라이딩 대체 어떡해야 늘까요?? file [24]

착한놈 vs 나쁜놈 [23]

헝글장터문제 [24]

  • TJ_974937
  • 2010-11-26
  • 추천 수 0
  • 조회 수 3757

데크의 길들이기와 수명 [2]

  • nutjob
  • 2013-12-17
  • 추천 수 0
  • 조회 수 3222

보더의 스케이팅에 대해 [22]

  • C
  • 2010-01-05
  • 추천 수 0
  • 조회 수 4628

예전부터 궁금했었는데 ..... 용어관련 의혹(?) [15]

  • 박기범
  • 2010-03-04
  • 추천 수 0
  • 조회 수 6563

그라운드트릭의 스타일에 관한 생각. [39]

하이원 수건 두 장에 동호회원 1500여명을 쫒아내는 "갑의 횡포"에 희생양이 되고 있습니다. [39]

뒤 에서 와서 충돌 하였다면 .........(초급,중급,상급 슬로프 상관없이) [19]

  • 최훈태
  • 2011-03-11
  • 추천 수 0
  • 조회 수 6371

문어발식 동호회 활동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1]

  • Passionist
  • 2012-10-13
  • 추천 수 0
  • 조회 수 4157

부츠와 바인딩의 센터링이 과연 필요한가요. [20]

광고게시판에 대한 견해 [2]

  • 살색곰
  • 2011-05-02
  • 추천 수 0
  • 조회 수 3040

부득이 장비와 이혼해야 할 경우..ㅠ [7]

  • guycool
  • 2016-09-01
  • 추천 수 0
  • 조회 수 3157

중고 거래할때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44]

  • 흑벽돌
  • 2016-01-23
  • 추천 수 0
  • 조회 수 5764

트루트윈 데크 바인딩 셋팅시 노즈가 짧아지는 현상 [15]

  • TrustMe
  • 2011-11-16
  • 추천 수 0
  • 조회 수 3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