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3년차 여자사람입니다.

 

전공이 영어임에도 보드용어는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군요 ;;;;;;;; ㅋ

 

라이딩시 <데크와 슬롭의 각도>를 높이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골반으로 눌러줘라! 이런 표현을 들었는데요, 이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힐턴과 토우턴으로 나누어서 설명해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즐건 명절 보내세용~~~

엮인글 :

갖은소리

2011.09.11 22:11:18
*.213.57.65

허리를 세우고 고관절을 꺾어서 살포시 눌러 앉는듯한 느낌을 말하는 거 같은데요 ..

허니읭

2011.09.11 23:13:51
*.23.79.23

미천한 실력에 덧붙여 말씀드리면..

 

"척추로 눌러라" 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허리를 세우고 프레스를 주라는 느낌인데,,

 

힐사이드 턴 시, 같은 몸무게 조건에 허리를 구부리는것 보단 쭉 펴서 앉아주실때

힐엣지에 프레스가 좀더 효과적으로 전달이 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토우사이드 턴시에는 "배꼽내밀기"가 효과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역시 상체를 최대한 세워주시면서 지면과 닿는 면인 "토우사이드 엣지"에 최대한 프레스가 실리게끔

자세를 잡아주시면 된다 합니다.

물론 토우사이드나, 힐사이드 모두 양발 중경또한 중요하구요,

 

물론 내공이 쌓이신 분들은 이같은 자세가 나오지 않아도 모두들 멋진 턴들을 구사 하십니다.

처음 우리가 양팔 벌려서 베이직 턴을 배울때 같이, 프레스의 느낌을 찾기 위한 첫번째 관문으로 생각하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도움 되시길바래요^^ 

BaNfF

2011.09.12 01:27:40
*.183.254.52

긴 설명 너무나 감사합니다.

 

아쉽게도.. 여기까지는 제가 할 수 있는 것 같네요~ 후후후 ^^ (올해 4년차임 ㅋㅋㅋ)

ㅁㄴㅇㄹ

2011.09.11 23:38:51
*.228.157.76

인클레이션 앵귤레이션 두개만 이해하고

 

제일 확실하게 엣지에 체중을 실을수 있는 자세를 찾으면됨

 

누구폼이 좋네 마네는 없음 자기가 편하고 확실한자세를 몸으로 기억해서

 

계속연습해서 타면됨 보드타면서 제일미련한게 일본식은어떠니 카시식은 어떠니 이딴거 고민하는거임

 

결국엔 하나로 포커스가 맞춰짐

BaNfF

2011.09.12 01:24:48
*.183.254.52

무릎굽히고,  허리세우고, 체중으로 눌러주는 것까지는 제가 하는데요.

 

일본 라이딩 동영상보면 골반으로 밀어주는 듯한 모습이 많이 보이는데....

 

그걸 어떻게 하는건지 아시는 분 계시나용? ;;;;;;

소울카버

2011.09.12 02:18:58
*.142.176.74

일본라이더들은 골반프레스란 용어가 따로 있진 않습니다....우리나라에선 쓰는 용어이니 저도 대충 짐작은 하나 정확히 설명이

 

힘듭니다  영상에서 일본라이더가 골반프레스를 쓰고 있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을 보면 쉽게 설명드릴텐데 ...

 

일본에선 다운자세 (하중을 주는 움직임) 가르칠때 고관절(엉덩이관절)을 굽혀라 라고 설명합니다   

BaNfF

2011.09.12 09:09:18
*.183.254.52

네... 저도 한 동영상에서 고관절을 굽혀라 라고 설명한 걸 본 적 있어요... 그 때도 그게 무슨말인가 했었는데... 감사 ^^

 

자니

2011.09.12 01:25:33
*.119.43.75

저도 하다보니 알게 된거지만

힐턴시 엉덩이가 왼쪽 뒷꿈치와 봉으로 연결된것처럼 고정된 상태로 앉아준다 생각하시고

이 점을 중심으로 골반이 반시계 방향으로 돈다고 생각하시고 오른쪽(레귤러 기준) 골반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고 생각하시면서 앉으면서 프레스를 주면 됩니다.

마치 높은 의자에 걸터 앉는 느낌으로 왼쪽 발 뒷꿈치와 왼쪽 엉덩이가 긴 봉에 의해 연결 된것처럼

수직으로만 움직이고 골반을 돌려주면서 오른쪽 무릅은 오른쪽 엄지 발가락을 눌러주는 느낌으로

상체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토우의 경우는 아직 운동접점을 찾기 힘드네요.

지금 하는방법은 오른쪽 무릅과 엄지발가락에 봉이 있는 것처럼 이곳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골반을 돌리는 건데, 이럴 경우 고속에서 토 턴이 좀 뜨는 현상이 나타나더군요

무게 중심을 앞에 두고 토턴을 하게 되는 방법을 생각해 봤지만 그럴 경우 체중은 앞에 실리나

뒷무릅이 펴지는 단점이 생기더군요

올해는 토턴에 대한 연습을 더 해보고 말씀 드려야 겠지만 말씀드린대로 하시면서

왼쪽 무릅으로 엄지발가락 위를 누른다는 느낌으로 프레스를 주시고 양 무릅을 좀 가까이 붙인다고

생각하시면서 무릅을 조이시면 될것 같네요

BaNfF

2011.09.12 01:40:46
*.183.254.52

와우...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원하던 답이네요!!

 

힐턴 마지막에 상체의 회전운동이 상하운동으로 바뀐다고 표현하신거는,,

 

힐턴시... 골반을 시계반대방향으로 꺽어서 눌러 각도를 더 높이라는 말씀이시지요?

자니

2011.09.12 13:29:11
*.119.43.75

상체의 회전운동을 골반에서 상하운동으로 바꿔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골프를 칠때 왼쪽에 벽이 있다고 생각하고 스윙을 하라는 것과 같이

힐턴 하실때 왼쪽 엉덩이와 뒤꿈치쪽에 기둥을 박아두고 벽에 기대면서 오른쪽 골반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시면 됩니다.

단 억지로 밑으로 다리를 구부려서 안는게 아니고 벽을 세운  왼쪽 등과 엉덩이 다리가

벼텨주는 힘을 밑으로 보내주는 거죠

말로 표현하긴 어려운데 보딩자세 취하시고 뒤꿈치랑 엉덩이를 일치시킨후 왼쪽 뒤꿈치를 축으로

오른쪽 골반을 돌려보세요 안지는 마시고요 그럼 이해가 되실 겁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알파인에서 나온것 같기는 한데,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과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회전축을 정확히 주고 순간적인 프레스를 많이 주기 위함이고

여기서 좀 더 되시면 무릅을 밀어주면서 밴딩턴도 가능하십니다.

그리고 또한가지 이유는 중심을 좀 위로 뒤고 턴을 하기 때문에 원을 크게 그리면서 턴을 하게 되서

좀 더 많은 원심력과 가속력을 얻기 위함입니다.

일반적인 앵귤과 잉클을 이용한 턴들이 무릅과 허벅지 사이에 중심을 두고 턴을 한다면

골반을 돌릴경우 허리쪽으로 중심이 올라와서 좀더 많은 회전력과 가속력을 얻을 수 있는것 같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다행입니다.

곤지암에서 타는데 허접하지만 시즌때 보러 오세요.ㅎㅎ 아는 한도내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BaNfF

2011.09.12 16:38:10
*.183.254.52

와....... 정말 감사합니당!!! 작년에 들어던 말도 비슷했는데... 그 때 제가 이해를 못했던 것 같아요.

 

한 번도 안가봤지만... 곤지암에 꼭 가보고 싶네요 ^^

Lunatrix

2011.09.12 02:12:15
*.166.208.121

제가 알기론 알파인쪽에서 먼저 나온 말루 알고 있고요...

앵귤레이션 확보를 위해 골반을 사용하게 되고 (거의 정면을 보는 라이딩 자세에서 앵귤레이션을 강화하려면 골반을 쓰게 되죠) 그러다 보니 골반쪽에 상체의 하중이 많이 걸리는 느낌이라 골반으로 프레스를 준다는 이름이 붙은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근데 프리로 오면 알파인과 달리 골반이 상당히 옆을 보기때문에 많이 애매해지죠.

자연히 골반프레스(?)를 쓰기위해선 상체는 오픈되어야 하고 이렇게 오픈되면 다리가 미친듯이 꼬이게 되어서 이걸 처리하는데 또 여러가지 비기(?)들이 등장하는것 같아요.


이런것들은 단순히 인클 앵귤의 원리만 이해해서는 구현하기 힘든 정말 어려운 고급기술들인거 같아요.

작년부터 헝글에서도 히로유키니 모니 하믄서 이런 라이딩이 많이 화두에 올라오긴 했지만, 아직까지도 이걸 제대로 이해할만한 어떠한 명확한 실마리는 전무한게 사실이구요.

아마도 고수님들끼리 알음알음 전해지고만 있는 그런 단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구 저는 이 용어가 굉장이 테크니컬한 용어라고 보기에 함부로 지면에 옮기거나, 말로만 설명하려는것은 무척 조심스러워야 하지 않나 보구요...

때문에 너무 이 용어의 정체를 밝히려고 노력하시기 보다는, 일단은 인클 앵귤을 충분히 이해하신뒤에 고수분들이 그걸 어떻게 구현하는지 잘 살펴보시고 시즌 오픈하면 정식으로 강습을 받아보시는게 실력향상에 가장 좋은 방법일거 같습니다.


BaNfF

2011.09.12 09:15:17
*.183.254.52

네이버 검색을 해보니... 알파인쪽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근데 프리와 달라서...  이해가 잘 안되었어요. 

 

작년 슬롭에서 살짝 아시는 분이... 제 라이딩 보시더니,, 골반으로 조금만 더 눌러주면 완벽하겠다란 소리를 들었어요..

설명해달래서 설명을 들었는데도 잘 이해가 안되었어요 ;;;;;;  그 분과 연락이 되는 것도 아니고 해서....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K.dana

2011.09.12 02:53:34
*.246.69.61

상체를 완전히 오픈하지도 않아도 골반을 이용해서 가압을 할 수 있지만, 오픈한 것보다 이해와 습득이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가압에 골반이 일정 부분 사용이 되지만
가압이 처음부터 마무라까지라면 다른 부분의 가압과 같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골반에 가압이 이루어지는 중요포인트가 있기때문이죠)

기술적으로... 글로 쓰기가 참 어려운 문제군요.(주변에 알파인 프로나 선수가 계시면 가서 물어보세요. 100을 다가르쳐 주지는 않겠지만 도움은 되실겁니다.)

성우에서 뵙게되면 가르쳐 드리고 싶지만.. 저도 잘 못타서...!!!! 헝글에 유명하신 라이더 분들이 답글을 달아 드릴겁니다..^^*+

요엘

2011.09.12 15:53:00
*.205.2.50

오웃 성우 유저 안냐세요 ^^ ㅋ

K.dana

2011.09.12 17:50:52
*.246.72.83

방갑습니다..!!!

성우.. 화이팅..^^*+

BaNfF

2011.09.12 16:31:12
*.183.254.52

할머니댁 다녀오느라 답이 늦었어요 ^^  성우에 배우러 가야겠네요~~ ㅋ

K.dana

2011.09.12 17:49:12
*.246.72.83

골반을 이용하는 것 전에 기본적인 자세가 확립이 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이미지 트레이닝 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잘못 습득하시면 상하체 발란스가 꼬여서 나중에 고생하시게 됩니다.

이미지트레이닝 잘 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실길 바라겠습니다.

밥보다보딩

2011.09.12 03:05:41
*.37.10.35

요런 심오한 내용 좋아요~乃


저 또한 심히 고민중인 내용이라 반갑네여~ㅎ


결국 라이딩 중에 얼마나 다운, 즉 내려갈 수 있느냐가 관건이고


그 다운이 엣지각을 죽이지 않고 키우는데 쓰일 수 있어야 한다는게


참 어려운 문제 같아여 ;ㅁ;


일단 다양한 속도나 경사에서 많이 넘어져보면서 그 한계점을 찾아봐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난 많이 다운했다생각하는데 촬영해서보면 아닌 경우가 태반이기에 ;ㅁ;


슬롭이나 집에서나... 정지상태에서 장비를 착용하고 꾸준히 다운을 연습해보시면서 


시즌되면 슬롭에서 들이대보면서 훈련하다보면 몬가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싶어요~ㅎ



요엘

2011.09.12 15:53:59
*.205.2.50

한국의 히로님 늘 꾸준히 열심히시네요!! 메리 추석!!

 

ㅋㅋ 시즌에 슬롭에서 들이되죠!!! 재밌게!!

BaNfF

2011.09.12 16:53:42
*.183.254.52

와~ 한국의 히로님이라고 불리울만큼 잘 타시나용??!!ㅋㅋ

 

즐건 추석 보내세요 ^^

BaNfF

2011.09.12 16:32:26
*.183.254.52

네 맞는 말씀이예요~~ 시즌 전에 미리 이미지 트레이닝 좀 하려고 배우는 중입니다 ^^

뱅뱅™

2011.09.12 11:06:46
*.246.68.110

프리라이딩에 골반 프레스 준다고 볼수있는 예는 헝글에서 유명한 카가야킹에 젤처음 나오는 여자 있잖아요 이 여자분 자세보구 헝글러님들의 심오한 글 보시면 이해가 빨라지지 않을까 싶어요

BaNfF

2011.09.12 16:32:57
*.183.254.52

지금 가서 봐야겠네요.... 감사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88
24803 보드복메이커...하우스탠보스....이거 어디 브랜드에요??? [14] 뿅마니 2011-09-13 1604
24802 신세계몰 휘팍시즌권 일정? [2] 휘팍 2011-09-13 607
24801 작고 마른 남자용 장비셋 추천좀 부탁드려요 [5] incinerate 2011-09-13 422
24800 투표한번씩좀 해주세요...자켓이에요 ㅋㅋ;; file [12] ㅋㅋ3 2011-09-13 673
24799 지산시즌권 지동연특가의 혜택은 뭔가요? [2] ㅎㅎㅎ 2011-09-13 918
24798 시즌권 안사고 장비렌탈안하고 리프트권 할인 받을수 있는 방법 없나요? [7] 양푼이비빔밥 2011-09-13 647
24797 힙필 처음 입어봐요 ~ [11] solenoid 2011-09-13 779
24796 2가지 데크중 고민에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7] 귀엽악마 2011-09-12 469
24795 유니온컨택 프로 40만원의가치? [6] 밑재 2011-09-12 1269
24794 밀리터리 바지에는 상의는 무슨색이..(추천부탁드려요) [5] 이익 2011-09-12 506
24793 스모킨 슈퍼팍 사이즈 어떤가요?? [4] 리르프 2011-09-12 525
24792 머리 긴 사람한테 어울리는 헬멧 추천좀 해주세요 [5] Taylor 910ce 2011-09-12 720
24791 중고 데크 추천좀 해주세요 불쌍한영혼임.. [4] 김승용_1001758 2011-09-12 406
24790 히팍임직원몰시즌권 -______- 2011-09-12 457
24789 비발디 시즌권 질문 [2] 컴투미!붸붸~ 2011-09-12 571
24788 보드입문 2년차인데 장비구입조언좀 부탁드립니다 [3] 범쉐프 2011-09-12 460
24787 부츠.바인딩 관리 질문드려요^^ [4] 하댕이 2011-09-12 513
24786 오피셜과 네버썸머에보 두개중 뭘타시겠어요? [11] 김샘_1012835 2011-09-12 1838
24785 금일 웅플 열었나요? [4] *호타준족* 2011-09-12 540
24784 이번에 지산 주간권을 사려고하는데요 [3] 이루오 2011-09-12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