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오늘은 그냥 이런글이 쓰고 싶었습니다,

참고로 엄청길어요.쓰는데만 30분 걸렸습니다(칼럼가야하나? 근데 가긴 좀 뭐한 글이라)


읽다가 재미없으시면 뒤로가시면 되시고, 뭔가 재미라도 조금 건지셨다면 댓글이라도 남겨주세여



대중문화가 있고, 모든 대중에게 사랑받지는 못하지만 
예술적으로 가치가 뛰어나고 고급스러움으로 치장한 문화가 있고,
대중에게 소외받지만 어떠한 가치가 있는 문화를 
비주류문화(혹은 고급스러움과 반대되는 Counter-Culture<반항적인 문화정도로 해석가능>라는 
의미의 하위문화 혹은 서브컬쳐)가 있습니다.



문화라고 하는게 이건 이렇다 저건 저렇다라고 구획이 나눠져서 그걸 즐기는건 아니고
어떤 유행이라는게 있고, 흐름이라는게 있고, 그걸 그냥 부르다보니 뭐 그렇죠.




물론 비주류문화에도 어떤 유행이라는게 있고, 흐름이라는게 있고, 
뉴욕에 가면 이제 힙스터(비주류 문화만 쫓는 사람들, 자세한 건 인터넷 검색창에 찾아보시면 자료가 많기는 합니다만)
란 단어는 조롱의 의미로 쓰인다고 누군가에게 들었는데 주어는 확실치 않네요ㅋ



스노우보드 커뮤니티니까 스노우보드를 이야기할께요. 
그 전에 서핑에 대해 잠깐 이야기 하겠습니다. 
스노우보드도 눈에서 서프보드를 타기 시작한게 기원이니까요.




서퍼들은 서퍼들 특유의 문화가 있습니다
Localism 이라고도 부르던데, 한국말로는 좋게말해 지역주의 라고 할 수 있겠네요.
서핑 스팟을 지정하고, 파도를 탈때의 locals only 라던지(이 쪽 파도는 로컬만 가능함 뭐 이런거 =ㅇ=)
자연을 중심으로 한(자연이라기보단 파도) 라이프 스타일, 패션, 악세사리 등등에 많은 부분에
대중문화에게도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그 다음엔 스케잇 이야기도 잠깐,
서퍼들이 땅에서도 서핑을 할 수 있어서 즐겼다고 하고요. 
영화 로드오브독타운을 보시면 스케잇의 발전방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ㅋ 서퍼들이 파도를 타듯 시작해서
수영장에 물을 빼고 거기서 타고 그렇게 기물들이 생겨나고 점점 과격해지죠. 
기술들이 점점 생겨나고, 올리에서 플립, 그러다가 핸드레일도 타고, 계단에서 뛰고 등등...
스케이터들 또한 특유의 문화가 있습니다. 
미국은 걔네랑 안타봐서 잘은 모르겠고 
한국은 Localism이 강하긴한데 워낙 즐기는 사람이 적어져서...따듯한 로컬리즘 ㅠㅠ



한국은 이제 서핑이 커가고 있는 수준이구요. 
미국의 상업화된 서핑과는 조금 다르게 순수하다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비주류 문화를 이야기 하면서 서핑과 스케잇 이야기를 한 이유는 
이들 스포츠가 비주류 문화이기 때문입니다.
서핑은 많은 인디 아티스트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고, 
스케잇같은 경우는 BMX,픽시,그라피티,비보잉,패션등등과 함께 
스트릿컬쳐라고 불리우고 있죠. 
스트릿컬쳐는 하위문화의 도시버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뉴욕이 가장 발달했다고 하네요. 가본적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뉴욕은 ㅋㅋㅋ



자 이제 진짜 스노우보드 이야기를 해볼까요.


스노우보드는 1963년, Tom Sims가 학교에서 반의 프로젝트로 SkiBoard"라 이름을 붙인 스노우보드를 제작한것이 
거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고 하네요.
몇년뒤 스키의 기술을 스노우보드 데크에 접목시키기 시작했고 단추사의 사장님이신 
Jake Burton이 1980년대 초, 스키기술을 이용하여 스노우보드를 운행하는 
실제적인 기법이 축적되어 지금의 스노우보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90년대에는 서퍼들과 스케이트보더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 스키장에서는 천시받았다고 하구요.
스키라는 스포츠 자체가 고급문화였기에, Counter-Culture의 대표주자들을 스키장에서 좋게 볼 수 없었다는
이유였다고 합니다. 그건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였고, 국내에서도 보드가 리프트를 올라갈 수 있었던게 
제 기억으로는 아직 20년이 안넘은거 같네요. ^^

하지만 스키의 영향을 부정할 수는 없어서 스키와 함께 많은부분들을 차용하며 발전합니다.


지금은 보드를 스키와 같은 시각으로 타는 분들이 예전과는 달리 아주 많으시죠. 
영향을 많이 받다보니 그렇게 발전한 것 같습니다. ^^





이들 스포츠와 뉴스쿨, BMX,어그레시브 인라인, 암벽등반, 산악등반, 절벽 다이빙, 모터크로스 등등의 스포츠들을 
익스트림 스포츠라고 부르는데요.


어원도 분류도 애매한 스포츠입니다. ㅎ

굳이 나누자면 위험함, 자연에 대한 도전, 판단기준은 미적기준을 우선, 반항적인 이미지와 젊은 이미지
라고 합니다.


BMX 라이딩은 익스트림의 범주에 안들어가요. 인라인도 그렇고, 
알파인보드도 익스트림의 범주에는 안들어 가니까 어떤건지 딱히 말하긴 힘들지만 대충 감은 오시죠?
뛰고 돌리고 자연에 도전하는 스포츠만 해당합니다. ㅋㅋㅋ



일하기 싫어서 이래저래 주저리 썼는데요.
뭐 내용이 없네요. ㅋㅋㅋㅋㅋㅋㅋ
걍 역사 정도로 알고 넘어가시면 될것 같아요.



스노우보드는 스키의 영향도 좀 받아서 서핑이나 스케잇과는 조금 다르게 대기업들도 워낙 많고,
문화자체는 스키처럼 즐기는 사람도 있고 서핑이나 스케잇처럼 즐기는 사람도 있고, 아예 다르게 즐기는 
사람도 있고 그런것 같아요.



우리가 알고 있고 즐겨입는/타는 브랜드들의 탄생도 보면


볼컴 - 1991년 CA(캘리포니아) 로컬 스노우보더들이 만듬(스노우보딩,스케이트보딩,서핑,공연등등에 투자)
볼컴의 예전 슬로건이 Youth Against Establishment and the Let the Kids Ride Free campaign 입니다.


스투시 - 80년대 CA 서퍼인 숀 스투시가 스팟의 친구들에게 옷을 만들어 주다가 인기를 끌자 홧김에 만듬.


슈프림 뉴욕 - 1994년 옷가게 점원이며 스케이터였던 James Jebbia가 
뉴욕의 스케이트 보더와 아티스트 친구들에게 옷을 만들어 주다가 샵을 차림


빌라봉 - 70년대 Gordon and Rena Merchant가 호주에서 서퍼들을 위한 브랜드로 시작. 
빌라봉이라는 말이 호주 말이라고 하네요.
2000년 인터네셔널로 2001년부터 본지퍼,엘리먼트,닉슨 인수

DC - Ken Block에 의해 Droors(스케잇브랜드)이란 회사의 신발브랜드로 시작. 
Droors가 매각되고 새롭게 시작. 지금은 참 많은 익스트림 스포츠를 아우르는 회사로 성장. 퀵실버 인수

시그널도 CA 로컬 스노우보드 회사

DWD도 역시 CA 로컬 스노우보더들이 창업한 회사고

제가 좋아하는 Airblaster는 K2라이더인 Travis Parker의 회사고

또 역시 좋아하는 Emerica란 브랜드는 유명한 스케이터 Andrew raynolds가 만든 스케잇브랜드입니다.
요새는 Altamont라는 브랜드의 옷도 디자인하고 계시죠. Emerica 같은 경우는 ES,Ethnies,Thirty Two 
같은 회사가 모두 자회사에요.


등등 로컬 스노우보더들이나 스케이터, 서퍼들이 많이 만들었구요. 뭐 회사들 스토리는 많은데 
지금 딱 떠오르는건 이거네요.


이런 브랜드들의 특징은 대부분 로컬 브랜드라는 거고 그 지역의 라이더들을 위해 어떤 혜택을 주고
스팟을 가꾸고 이런데에 많은 노력을 했거든요. 그러다가 글로벌 회사로 성장했고,

볼컴 같은 경우는 프랑스 PPR에게 저번에 인수되었죠(구찌,입셍로랑,발렌시아가,푸마 등을 가진 엄청난 업체입니다)
이제 명품브랜드들이 돈이 될거 같으니까 스트릿 업체들한테도 손을 뻗는거 같아요.
첨 들었을때 하프파이프가 동계올림픽으로 가는걸 반대한 테리예의 마음이 이해가 가더군요 -_-;



이외에 살로몬이나 아토믹, Artec,오클리 등등등 이미 스키등에서 엄청난 대기업들이
스노우보드 시장에 뛰어든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렇게 쓰고 보니 정말 내용은 없네요;;

그냥 주저리주저리 갈겨쓰기나하고 정리할까 하다가 포기했습니다.




암튼 결론은 

스노우보드는 비주류 문화이긴 합니다만, 
비주류라고 하기엔 시장도 너무 커버렸고(한국제외) 조금 모호한 구석이 있어서 
보더들 사이에도 조금씩 많이 다른 분야가 공존하는 듯 하고,
서로의 장르에 대해서 조금씩 이해해 나아가자 정도...? 입니다.



그 첫걸음은 스노우보드와 다른 유사 기원 스포츠들의 역사였구요.ㅋㅋㅋ 
스키는 제외합니다. 제가 아얘 관심이 없어서;;
우리가 알고있는 브랜드들은 이렇게 탄생했다. 뭐 이런것도.



한국브랜드들도 여러가지 역사를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서브컬쳐에서 브랜드의 위치는 대충 만들고 
여느 대기업들처럼 단순히 돈만 밝히는 그런게 아니라



로컬들에게 혜택을 주고 함께 즐기는, 
뭐 그런 브랜드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만...






암튼 오늘의 망글은 여기까지.


긴글 다 읽으신 분들에겐 경의를...


만약 리플이 별로 없다면 
글이 길어서 심기가 불편하신걸로 알고 다신 이런 뻘글 안쓸게요 ㅋ



엮인글 :

닥터리드

2011.11.03 11:06:17
*.104.44.154

잘 읽고 갑니다 ㅎㅎㅎ

빙판위에보더

2011.11.03 11:08:45
*.116.46.60

잘 읽었습니다..창시자가 단추사 사장님이시군요... (웃음)

BTM매냐

2011.11.03 11:08:32
*.187.115.33

엄청난 지식이네여 슭님 ㄷㄷ



누가한줄요약..읭?

져빗

2011.11.03 11:11:49
*.177.84.150

아 저도 스트릿브랜드 꽤나 좋아하는데 저런 역사가 있었군요...
로드오브독타운 한번 봐야겠어요..유익한 정보 잘 읽고 갑니다(2)

CABCA

2011.11.03 11:14:45
*.43.209.6

한국 브랜드들이 역사를 만들기에는 한국 보더들의 해외 브랜드에 대한 brand loyalty가 너무 강한 듯 해요..(비단 보더들 뿐 아닌, 한국 사람 전체의 문제일까요? 브랜드에 집착하는..즉, 남의 눈을 너무 의식하는..)

그나저나..잘 읽고 갑니다..

슭훗

2011.11.03 11:20:14
*.70.97.7

한국브랜드들도 잘만 키우면 좋을 회사들이 있지만

인프라도 지원도 열정도 부족하니 후드회사만 생겨나는지도 모르겠어요.

동대문 비닐원단 브랜드도 좀 생기고...

진심으로 디미x같은 브랜드는 많이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알파인~

2011.11.03 11:15:27
*.115.97.70

심스보드가 유명한 이유기도 하죠..ㅋㅋ

고글벗지마

2011.11.03 11:19:06
*.219.115.199

오..뭐하시는 분이시길래 이런 엄청난 지식을...대단하시네요 ㅎㄷㄷ

안티_무용부

2011.11.03 11:19:58
*.113.128.193

스케잇은 한국에서도 지역주의가 아주 강하죠.

저도 90년대 후반에 사직동 크루가 되기가 빡쎘습니다.

선배들의 강압적인 태도도 한몫 했구요.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되서 동호회 문화가 많지만

그 당시엔 정말 살 떨렸음.

슭훗

2011.11.03 11:21:42
*.70.97.7

예전에 사람많아서 펀박스 탈때도 줄스던 그때 말구요 ㅋ

지금은 컬트빼면 어딜가도 사람이 없어요.

니르

2011.11.03 11:22:24
*.220.54.179

재미있게 잘보고 갑니다.^^

슭훗

2011.11.03 11:23:57
*.70.97.7

리플 남겨주신 분들 감사드리구요~ 전 이제 점심먹으러 갑니다~

로렉스보덩덩

2011.11.03 11:27:53
*.7.254.170

정말 대단한 지식이네요 잘읽었습니다.

소리조각

2011.11.03 11:28:54
*.90.74.98

오 정리 잘해주셨네요. 재미있게 봤습니다...

올해 스켑에 입문한 저로서는 저 따뜻한 로컬리즘이라는 말이 참 와닿네요.....
스켑 유행이 다시 왔으면 좋겠어요 ㅠㅠ

㈜쫄매보드

2011.11.03 11:38:50
*.19.148.57

잘 읽었습니다~~!
역시 단추형님 이었군요,,큿

섭취방법

2011.11.03 11:38:07
*.170.32.120

지식인!!

yeol

2011.11.03 11:45:04
*.126.245.241

잘 읽었습니다.
긴 글 읽기 쉽게 잘 쓰시네요.^^

붉은늑대

2011.11.03 11:50:50
*.87.60.234

잘 읽고, 잘 배우고 갑니다!

추천!!! ^ _^)bb

붉은늑대

2011.11.03 11:54:43
*.87.60.234

참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제 페이스북으로 링크해도 될까요?

2011.11.03 12:01:26
*.104.117.11

붉은늑대님 맘대로 퍼가셔도 되시구요 ㅋ 저랑 페북 친구해주셔도 되시구요 ㅋㅋㅋ 넘 잘타시고 열정이 많으셔서 늘 존경하고 있습니다 ㅋ

훈~!~

2011.11.03 12:13:32
*.238.81.177

짝짝짝 가끔씩 장문의 지식전이글도 올려주세요
우리나라에서도 꾸준히 사랑받을수있는 브랜드가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Ricky!

2011.11.03 12:27:26
*.211.56.49

한국의 스케이트보드, 스노우보드, 그리고 서핑의 시작에 있어온 한명입니다.

(스케이트보드는 선배분들이 많으셔서... 2세대의 시작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그간 봐온게 좀 있어서 로컬리즘에 대해 살짝 써보겠습니다.. ^^


진짜 로컬리즘은 해당종목의 지역적, 사회적인 생존을 위해 애쓰는 와중에 생기게됩니다.

단순히 그 지역에 산다고해서 로컬이라는 말을 들을수없으며...

무엇인가 노력을 하고 있는것이 확고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서핑의 경우는 해경, 지역관청, 지역주민 등과의 관계가 존재합니다.

로컬들은 서핑을 위해 그 사람들과 대화를 하며 모두가 동의할수있는 규칙을 만들어내며...

그 규칙에 따라 서핑을 하게됩니다.

그런데.. 만약 외부에서온 서퍼라면 그 지역의 규칙을 모를수도 있지요...

그것을 알려주는것이 로컬의 의무입니다.

가끔은 그 규칙을 얘기해주어도 깨는 외부서퍼들이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들요.. ㅡㅡㅋ

그런경우엔 무엇이 잘못되었다고 얘기해주고 그 규칙을 지키라고 하죠...

그런데도 지키지 않는다면..... 무력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그 규칙을 지키지않는 서퍼가 눈에 뜨이면 해당지역의 해경, 공무원, 지역주민들이

서핑전체를 못하게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서핑을 못하는 경우는 막아야겠기에 로컬들이 나서게 됩니다.

하지만 규칙을 잘 지키고 매너있는 서퍼라면... 아무도 뭐라하지 않습니다. ^^

전세계어디서나 어느종목에서나 비슷하지요~~


진정한 로컬들은 텃새를 부리지 않습니다. ^^

그저 당신이 누구인지 모르니까 친하지 않을뿐이지...

그냥 무조건 밀어내려한다면 로컬이라 볼수없습니다.

밑재

2011.11.03 12:43:30
*.91.106.39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볼컴이 팔렸군요 ㅠㅠ
알타몬트는 왜이리 비싼지..
분당에서 스케잇 2.5세대 로.. 6년전부터타다가 4년정도 타다 접은 사람으로서 하나 적어봅니다..
그냥 찡찡글 정도?

스켑은 로컬라이즘이라고 하나요
스팟 위주로 돌아가고 그스팟에 로컬분들이 위주로 타죠

서핑하고 다른건 텃새 이런건 없습니다.
오면 정말 다들 환영합니다

10명이 새로오면 그중에 3달후에도 남아있는건 한명이면 많다.! 2명이면 정말많다
대부분 10명이새로오면 10명이 떨어져나갑니다.알리 하는데도

3~4달이 걸리니 다들 벅찬거죠
분당의 스켑로컬들은 새로사람들오면 가르쳐주고.

로컬들끼리모여서 돈모아서 테이블박스나 뱅크 같은 기물 만들고
구청에선 주기적으로 싹모아서 갔다 버려버리고

가끔 경찰들와서 잡혀가고
4년전에 '스켑이 인기가 슬슬 생기는것같음!!'

했더니 '10년전에도 그랬어'
'15년전에도 그랬어'

쩝...

슭훗

2011.11.03 12:53:30
*.70.97.7

릭키님 글 잘읽었습니다. 서퍼의 입장에서의 로컬리즘에 대한 글 좋네요 ㅎ
서핑쪽을 제가 너무 텃세에만 맞춰서 썼나보군요.
사실 릭키님이 쓰신 로컬의 환경을 위한 노력 이게 필요하다고 브랜드들에 대한 이야기를 쓴건데
두서가 좀 없긴 했나봐요 ㅎ 암튼 댓글 정말 너무 잘 읽었습니다. ^^

밑재님 스케잇 로컬리즘은 요새 진짜 훈훈하죠. 워낙 안타니까...ㅠㅠ
알타몬트는 미국에서도 조금 비싸요. 그래도 세일하면 바지가 50-70불 정도까지 내려가긴
하더라고요. 어찌보면 아울렛이 따로 인터넷에는 없고 오프에만 있는 스투시 보다는 쌉니다 ㅎㅎㅎ

다른분들도 리플 감사드립니다. 장문의 글인데 별로 호응이 없으면 어쩌나 했는데
기우였나보네요 ㅎㅎㅎ 암튼 좋은 하루되세요~

DandyKim

2011.11.03 13:13:01
*.143.36.80

긴 글 엄청 재미나게 읽다보니
스크롤바가 끝나버렸네요.

정말 유익한 글이었음 굳이에요 굳굳!

숨어라오리씨

2011.11.03 13:40:19
*.113.247.54

오앙. 재밌어요!

슬로프에 니킥

2011.11.03 13:49:31
*.235.43.133

아 어떡해요 이렇게 호응 좋은데
전 스크롤 쭉쭉 내렸........... -ㅅ-

트리키짱

2011.11.03 14:43:05
*.171.200.171

글 정말 재밌고 유익하게 잘 읽었습니다~
국내에선 시장이 작아서 그런지 비주류 하면 판매가 적다는 뜻이 되는것 같아요
그만큼 매니아는 좋아하시겠지만요^^
하지만 스노우보드 시장 만큼은 독특한 비주얼을 선호하시는분들도 많죠~

수용성

2011.11.03 15:27:45
*.67.250.106

재밌는글 잘 읽었습니다. 퍼스.트디센트보면서 느꼈던 감정들이 다시 흥하는군요^^

필리핀유덕화

2011.11.03 17:05:23
*.218.154.154

좋은글 추천~
이런건 칼럼으로!!

리틀 피플

2011.11.03 18:14:29
*.32.102.178

잘 읽었습니다.

USS2

2011.11.03 19:07:33
*.229.22.9

좋은글 정말 잘 읽고 갑니다.. 많은걸 느끼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날퐁

2011.11.03 23:16:55
*.38.127.129

쭉 읽었는데 뭔가 어렵지만... 즐거운 글이네요 ㅋ

깜봉드샤넬

2012.01.11 11:59:23
*.33.27.16

늦게나마 검색을 통해 잘보고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9677